$\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청수공 시추코아에서 산출된 플라이스토세 포자·화분화석의 화분층서 및 고기후적 의미
Palynostratigraphic and paleoclimatic implications of the Pleistocene Cheongsu Core sediments,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6 no.3, 2005년, pp.276 - 282  

문병찬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정철환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청수공에서 산출된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낙엽활엽수와 초본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풍부하게 산출되는 종류로는 소나무과, 오리나무속, 밤나무속/구실잣밤나무속,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명아주과 및 국화과 등이다. 전체적인 식생 조성에 근거하여 2개의 화분 분대를 설정하였다. 하부의 Zone I에서는 오리나무속, 명아주과 등이 우세하며 전반적으로 초본류가 풍부하게 나타난다. 상부의 Zone II에서는 전나무속, 낙우송과-측백과-주목과, 느릅나무속/느티나무속, 벼과 등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낙엽활엽수가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산출된다. 청수공의 포자$\cdot$화분화석군은 그 조성에 있어 중국의 동지나해 대륙붕에서 설정된 Alnipollenites(Alnus)-Chenopodipollis(Chenopodiaceae)-Compositae 군집대와 잘 대비되며 그 지질시대는 Pleistocene으로 해석된다. 오늘날 식생분포와의 비교 및 우세종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청수공 코아는 한랭한 온대 기후 하에서 형성되었으며 당시의 제주도에는 오늘날의 한라산과 같은 지형적 기복은 아직 발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ternary palynoflora from Cheongsu core, drilled on the western part of the Jeju Island, consists mainly of deciduous broad-leaved angiosperms and herbs. Dominant taxa are Pinaceae, Alnus, Castanea/Castanopsis, Ulmus/Zelkova, Chenopodiaceae and Compositae. Based on palynofloral composition, tw...

주제어

참고문헌 (33)

  1. 김동학, 황재하, 황상구, 최성자, 1989, 제주도 화산활동 연구(II): 제주도 서부지역의 화산층서와 분출사. 과학기술처 KR-88-(B)-4, 49 p 

  2. 김문홍, 1992, 제주 식물 도감. 제주도, 617 p 

  3. 김봉균, 1972, 서귀포층의 층서 및 고생물학적 연구. 손치무교수 송수기념논문집, 169-187 

  4. 민경덕, 원중선, 황석연, 1986, 제주도에 분포하는 화산암류 및 퇴적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광산지질학회지, 19, 153-163 

  5. 봉필윤, 이호영, 최성자, 전희영, 1986, 대륙붕 자원연구-층서고생물, 한국동력자원연구소, KR-86-2-22, 59-132 

  6. 원종관, 1976, 제주도의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12, 207-226 

  7. 원종관, 길영우, 이문원, 1998, 제주도 동북사면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와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9, 3, 329-342 

  8. 이동영, 윤상규, 김주용, 김윤종, 1987, 제주도 제 4기 지질 조사 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KR-87-29, 233-278 

  9.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412 p 

  10. 이창복, 김윤식, 김정석, 이정석, 1985, 신고 식물분류학. 향문사, 395 P 

  11. 전희영, 최덕근, 봉필윤, 이호영, 1985, 대륙붕 자원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85-16, 31-75 

  12. 정규귀,강소라, 윤선, 1997, 제주도 서남부지역 시추코아의 저서성유공충 화석 군집. 한국고생물학회지, 13 (1), 69-85 

  13. 황상구, 2000, 제주도 총악산 웅회환.분석구 복합체의 화산형태 . 대한지질학회, 36 (4), 473-486 

  14. Hu, Z. H. and Sarjeant, W. A. S., 1992, Cenozoic sporepollen assemblage zones from the shelf of the East China Sea.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72, 103-118 

  15. Kang, S., 2003, Benthic Foraminiferal Biostratigraphy and Paleoenvironments of the Seogwipo Formatio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19 (2), 63-153 

  16. Kang, S., Jung, K. K. and Yoon, S., 2002, Benthic foraminferal fauna from drilled cores of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Pala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18 (1), 1-10 

  17. Kim, B. K., 1969, A stratigraphic and paleontologic study of the Smyangri Formation in the vicinity of Sinyangri and Gosanri, the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 103-121 

  18. Kim, B. K., 1984, Cenozoic Biostratigraphy of South Kore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46, 85-96 

  19. Lee, E. H., 1990, Pleistocene Ostracoda from the Marine Sedimentary Strata of the Cheju Island, Korea. Unpublished Ph. D. thesis, Korea University, 400 

  20. Lee, M. W., 1982,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eju volcanic Island, Korea. Tohoku University, Scientific Reports, 3rd ser., 15 (2), 177-256 

  21. Li, Z., Xu, J., Meng, Q. and Zhang, H., 1984, Characteristics of the Spore-Pollen Assemblages from the Mesozoic-Cenozoic South Huanghai Sea Basin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Mem, Bur. Mar. Geol, Inv., China, 1, 1-31 

  22. Park, K. B., Lee, E. H. and Paik, K. H., 1986, Faunal analysis and paleoenvironment of the Plio-Pleistocene Ostracods assemblages from the Seogwipo Formation, Cheju Island: Coll, Sci. Korea Univ., J. Natu 

  23. Paik, K. H. and Lee, E. H., 1984, A Plio-Pleistocene Ostracod assemblage from the Seogwipo Formation, Cheju Island, South Sea of Korea. In: Y. A. Park, et al., eds., Marine Geology and Physical Processes of the Yellow Sea, 223-234, Proceedings of US-KOREA Syrnposium and Workshop on Yellow Sea 

  24. Paik, K H. and Lee, E. H., 1988, Plio-Pleistocene Ostracods from the Seogwipo Formation, Cheju Island, Korea. In: T. Han ai, et al., eds., Evolutionary Biology of Ostracoda: its fumdamentals and applications, 541-556. Kodansha, Japan and Elsevier, Amsterdam 

  25. Traverse, A., 1988, Paleopalynology, Unwin-Hyman, 600 

  26. Wang, W. M., Saito, T. and Nakagawa, T., 2001. Palynostratigraphy and climatic implications of Neogene deposits in the Himi area of Toyama Prefecture, Central Japan.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117, 281-29 

  27. Wolfe, J. A. and Hopkins, D. M., 1967, Climatic changes recorded by Tertiary land flora in Northwestern North America. In: Hatai, K, ed., Tertiary correlation and climatic changes in the Pacific: Proc, 11th Pacific Sci. Cong., Sendai, Japan, 67-76 

  28. Yi, S., Yun, H. and Yoon, S., 1995, Late Quaternary Calcareous Nannofossils from the Sinyangri Formation of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Pala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11, 146-158 

  29. Yi, S., Yi, S., Batten, D. J., Yun, H. and Park, S. J., 2003, Cretaceous and Cenozoic non-marine deposits of the Northern South Yellow Sea Basin, offshore western Korea: palynostratigraphy and palaeoenvironment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91, 15-44 

  30. Yokoyama, M., 1923, On some fossil shells from the island of Saishu in the Strait of Tsushirna, Tokyo Imp. Univ., J. CoIl. Sci., 44, art. 7, 1-9 

  31. Yoon, S., 1981, The Seoguipo fauna (Mollusca) of the Jeju Island, Korea. Proc, 6th Intemat Work, Group Meet. IGCP-114, 149 

  32. Yoon, S., 1988, The Seoguipo molluscan fauna of Jeju Island, Korea: Saito Hoon Kai Spec. Pub. (Prof. T. Kotaka Commern, Vol.), 539-545 

  33. You, H. S., Koh, Y. K. and Kim J. Y., 1987, Nannofossils from the Seoguipo Formation in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Pala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3, 108-1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