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관적 특징에 따른 남한 강수 특성 분석: 30년 (1973~2002) 기후 통계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in Terms of the Associated Synoptic Patterns: A 30 Years Climatology (1973~2002)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6 no.7, 2005년, pp.732 - 743  

나득균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곽종흠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서명석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  홍윤 (기상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3년 기상청에서 분류한 강수유발 기압유형을 근거로 1973년부터 2002년까지 30년간 전국 61소의 시간별 강수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강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시간강수자료를 이용하여 강수의 시작과 종료를 정의하여 지속시간과 집중호우까지의 도달시간을 조사하였고 집중호우 발생 확률을 분석하였다. 지난 30년 동안 한반도의 강수현상을 조사한 결과 연평균 약 179회의 강수가 발생하였으며, 강수지속시간과 강수량은 각각 2.9시간과 7.1 mm로 나타났다. 저기압형에 의한 강수가 전체의 약 $59\%$를 차지했고, 여름에는 장마형, 가을에는 전선형과 태풍형, 겨울에는 지세형의 강수가 나타나는 계절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태풍과 장마 등 열대기류와 관련된 강수유형들은 10 mm 이상의 강수량을 보인 반면에, 국지적인 규모로 나타나는 유형들은 5 mm 미만의 약한 강수량을 보였다. 전체 강수현상 중 집중호우로 이어진 경우는 $1.24\%$로 호우 기준까지 약 12.9 시간이 소요되었다. 집중호우를 자주 유발하는 유형은 장마형과 저기압형으로 나타났으나, 발생 확률은 태풍직접형, 태풍변질형, 열대류수렴형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남해안 지역은 태풍직접형과 태풍변질형, 영동지역은 태풍직접형, 경기 및 강원북부는 태풍변질형, 열대류수렴형과 장마형이, 그리고 충청지역은 태풍변질형과 열대류수렴형에 의한 집중호우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상청에서 분류하였던 강수의 유형은 다소 주관적인 면을 가지고 있으나 한반도 강수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별 무리가 없었다. 특히 새롭게 분류를 시도한 열대류수렴형은 여름철에 많은 강수를 유발하는 기압계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from 1973 to 2002 were investigated. The synoptic patterns inducing precipitation are classified by 10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ssociated surface map analysis. The annual mean frequency of the total precipitation, its duration time and amoun...

주제어

참고문헌 (38)

  1. 기상청, 2003, 최근 30년간의 강수원인 통계조사, 55 p 

  2. 김용상, 박옥란, 조천호, 2004, 불안정 지수를 이용한 여름철 악기상 현상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지, 6 (3), 703-715 

  3. 김은희, 김맹기, 이우섭, 2005, 최근 30년간 한반도 일 강수강도의 지역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 (5), 404-416 

  4. 문영수, 이병곤, 권혜영, 1995, 강수량의 장기변동에 의한 한국의 지역구분. 한국지구과학지, 16 (1), 38-43 

  5. 박순웅, 안현주, 전영신, 1988, 1985년 장마기간에 동부아세아 지역의 대가순환의 시간적 변화. 한국기상학회지, 24 (3), 22-43 

  6. 박혜숙, 정효상, 노유정, 2000, TRMM/PR 관측에 의한 한반도에서의 여름철 호우의 특성: 사례연구. 한국원격탐사학회지, 16 (1), 55-64 

  7. 소선섭, 이영기, 1998, 영동 지방에서 발생한 국지적 호우의 사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9, 590-609 

  8. 소선섭, 임재준, 나득균, 1995, 한국근대 기상관측이래 최다 일강수량을 나타낸 장흥지방의 집중호우의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1, 281-299 

  9. 송병현, 남재철, 남경엽, 최지혜, 2004,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충청지역 집중호우 사례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보 대기, 14 (1), 24-43 

  10. 윤원태, 박정규, 이재원, 이현수, 민승기, 2001, 1998년 여름철 한반도 집중호우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7 (2), 181-194 

  11. 이광호, 김문일, 1982, 집중호우의 종관기후학적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18 (2), 11-17 

  12. 이배수, 이승만, 1985, 집중호우시 강우분포의 특성. 한국기상학회, 21 (1), 46-54 

  13. 이동규, 박정균, 2002, 동아시아 집중호우의 수치모의에 있어서 수분 물리 과정의 비교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8 (6), 581-592 

  14. 임규호, 1997, 여름철 한반도 월강수량과 동아시아 및 태평양 상 등압면 고도의 선형 상관관계. 한국기상학회지, 33 (1), 63-74 

  15. 전영신, 박순웅, 1990, 1982년 과우장마때 아시아지역의 대기순환의 특징. 한국기상학회지, 26 (1), 12-24 

  16. 정광범, 김지언, 권태영, 2004, 영동지역 겨울철 강수와 관련된 하층 바람의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40 (4), 369-380 

  17. 정병주, 홍성유, 서명석, 나득균, 2005, 2004년 3월 4-5일 한반도 대설 사례의 역학.열역학적 특성에 관한 수치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41 (3), 387-399 

  18. 정영근, 1999, 호남지방 대설 발생의 종관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0 (4), 398-410 

  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002, 재해연보, 806 p 

  20.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003, 재해연보, 880 p 

  21. 하경자, 박성규, 김기영, 2003, 한반도 주변의 하계 강수량의 경년변동과 이에 연관된 동아시아 순환의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9 (5), 575-586 

  22. 홍성유, 이동규, 1987, 중간 규모 모델에서의 겨울철 저기압의 시뮬레이션. 한국기상학회지, 23 (1), 35-55 

  23. Akiyama, T., 1973a, The large-scale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Baiu front. Papers in Meteorology and Geophysics, 24, 157-188 

  24. Akiyama, T., 1973b, Frequent occurrence of heavy rainfall along the north side to the low-level jet stream in the Baiu seasons. Papers in Meteorology and Geophysics, 24, 379-388 

  25. Anthes, R. A., 1977, A cumulus parameterization scheme utilizing a one-dimensional cloud model. Monthly Weather Review, 105, 270-286 

  26. Caniaux, G., J.-P. Lafore and J.-L. Redelsperger, 1995, A numerical study of the stratiform region of a fast-moving squall line. Part II: Relationship between mass, pressure, and momentum fields.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52 (3), 331-352 

  27. Chen, F., T. T. Warner, and K. Manning, 2001, Sensitivity of orographic moist convection to landscape variability: A study of Buffalo Creek, Colorado, flash flood case of 1996.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58, 3204-3223 

  28. Chen, G. T. J., 1983, Observational aspects of the Mei-Yu phenomenon in subtropical China.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61, 306-312 

  29. Chen, G. T. J. and C.-C. Yu. 1988, Study of low-level jet and extremely heavy rainfall over Northern Taiwan in the Mei-Yu season. Monthly Weather Review, 116 (4), 884-891 

  30. Hong, S.-Y., 2004, Comparison of heavy rainfall mechanisms in Korea and the central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2, 1469-1479 

  31. Li et al., 1997, Analysis of a heavy rainfall event during TAMEX. Monthly Weather Review, 125, 1060-1082 

  32. Matsumoto, S., 1972, Unbalanced low-level jet and solenoidal circulation associated with heavy rainfall.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50, 194-203 

  33. Matsumoto, S., K. Ninomiya, and S. Yoshizumi, 1971, Characteristic features of 'Baiu' front associated with heavy rainfall.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49, 267-281 

  34. Ninomiya, K., 1971, Dynamic analysis of outflow from tornado-producing thunderstorms as reveaed by ATS III picture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10, 275-294 

  35. Park, C. K. and D. Schubert, 1997, On the nature of the 1994 East Asian summer drought. Journal of Climate, 10, 1056-1070 

  36. Swayne, W. W., 1956, quantitative analysis and forecasting of winter rainfall patterns. Monthly Weather Review, 84, 53-65 

  37. Thom, H. C. S., 1958, A note on the gamma distribution. Monthly Weather Review, 86 (4), 117-122 

  38. WMO, 2005, Weather Climate Water and Sustainable Developments. WMO-No.974, 34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