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지하수 관측망의 양수시험 자료를 이용한 국내 대수층 특성의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Aquifer Characteristics Using Pumping Test Data of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for Kore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0 no.6, 2005년, pp.32 - 44  

전선금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구민호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용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강인옥 (한국수자원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지하수 관측망의 314개 관정에 대한 양수시험 자료를 분석하여 국내 암반 및 충적대수층이 나타내는 수리전도도 분포, 투수량계수와 비양수량과의 관계, 양수 및 회복시험 유형에 관한 통계 자료를 제시하였다. 충적대수층의 평균 수리전도도는 1.26m/day로 암반대수층(0.076 In/day)보다 약 17배 크게 나타났다. 암반대수층 수리전도도의 평균과 분산도는 국외의 결정질 균열 암반과 거의 일치하였으며, 암종별 평균값은 퇴적암, 화성암, 변성암 순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투수량계수 분석 결과 국가지하수 관측망의 지하수는 암반을 통하여 $32\%$, 충적층을 통하여 $68\%$ 정도가 흐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국가지하수 관측망의 대수층이 나타내는 비양수량과 투수량계수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양수 및 회복시험의 수위강하 양상에 따라 대수층의 유형을 $4\~5$개로 분류하여 각 유형이 나타내는 대수층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국가지하수 관측망 대수층의 대부분$(83.7\%)$은 함양경계형을 보였으며, 관측소 인근의 하천, 암반 및 충적대수층의 수리적 연결에 의한 두 대수층간의 수직적인 지하수의 흐름, 자유면대수층에서 중력배수에 의해 발생하는 지연산출 등 다양한 공급원에 의하여 함양경계형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314 pumping test data of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NGMWs) are analyzed to present statistical properties of fractured-rock and alluvial aquifers of Korea such as distribu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empirical relations between transmissivity and specific capacity, and time-drawdo...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강래수, 함세영, 최성자, 이병대, 2003, 여러가지 양수시험 분석방법 적용을 통한 목천지역 암반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지질공학, 13(1), 67-82 

  2. 강철희, 이대하, 이철우, 김용제, 채병곤, 우남칠, 2001, 이방성대 수층에서의 투수량계수 텐서, 2001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전주대학교, p. 172-175 

  3.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1995, '95지하수 관측망 설치공사 준공보고서 

  4.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1997, '96지하수 관측망 설치공사 준공보고서 

  5.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1998, '97지하수 관측망 설치공사 준공보고서 

  6.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1999, '98지하수 관측망 설치공사 준공보고서 

  7.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1999, '99지하수 관측망 설치공사 준공보고서 

  8.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0, 2000지하수 관측망 설치공사 준공보고서 

  9.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1, 2001지하수 관측망 설치공사 준공보고서 

  10. 구민호, 김형수, 2001, 지하수 및 토양의 온도관측자료를 이용한 함양량 산정기법, 2001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전주대학교, p. 83-87 

  11. 김구영, 이철우, 김용제, 우남칠, 2003, 양수시험 자료를 이용한 균열암반 대수층의 수리적 특성 해석, 지질학회지, 39(3), 359-370 

  12. 김규범, 김정우, 원종호, 이명재, 이진용, 이강근, 2003, 국가지하수 관측소의 장기수위관측자료를 활용한 관측주기 결정연구, 2003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제주대학교, p. 119-201 

  13. 김규범, 이강근, 2003, 수질 장기관측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의 지하수 수질변동특성, 2003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한국지히수토양환경학회, 강원대학교, p. 94-96 

  14. 김규범, 최영진, 유영권, 류정아, 손영철, 2000, 국가 지하수 관측소의 장기관측자료에 의한 지하수 변동특성, 2000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포항공대, p. 36-39 

  15. 김윤영, 이강근, 1999, 한강의 수리시스템과 한강변 대수층의 수리지질특성, 지하수환경, 6(1), 33-41 

  16. 김주용, 양동윤, 조민조, 최영섭, 오근창, 2003, 한국 제4기 미고결층 분포 및 수리지질 특성 연구, 2003년도 대한지질공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대한지질공학회, p. 55-66 

  17. 문상기, 우남칠, 2001, 누적 강수량과 지하수위 곡선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률 산정 기법, 지하수토양환경, 6(1), 33-43 

  18. 문상기, 우남칠, 이광식, 2002, 지하수위 유형과 유역별 지하수 함양률의 관련성 연구: 국가지하수 관측망 자료의 분석, 지하수토양환경, 7(3), 45-59 

  19. 박경우, 고용권, 김경수, 배대석, 조성일, 2003, 유성지역 결정질 암반에서 수행한 양수시험에 대한 해석, 2003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제주대학교, p. 592-596 

  20. 박창희, 구민호, 이대하, 김형수, 2002,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수위 및 온도자료를 이용한 함양량 산정, 2002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서울시립대학교, p. 351-356 

  21. 성현정, 이철우, 우남칠, 김구영, 김용제, 2003, 균열암반에서의 양수시험자료 해석과 GRF모델, 2003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경원대학교, p. 250-254 

  22. 우윤정, 함세영, 정재열, 이상선, 정차연, 박윤석, 김봉상, 2003, 양수시험 분석에 의한 제주도 화산암 대수층의 수리적 특성, 2003년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 292-295 

  23. 이명재, 김규범, 손영철, 이진용, 이강근, 2004, 국가지하수관측소 지하수위 자료에 대한 시계열분석 연구, 지질학회지, 40(3), 305-329 

  24. 이명재, 이진용, 김규범, 원종호, 2005, 국가지하수 관측소 측정자료의 이상값분석, 지하수토양환경, 10(1), 65-74 

  25. 이수곤, 2003, 우리나라 암석의 풍화특성과 지질공학적 특성, 2003년도 대한지질공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대한지질공학회, p. 75-80 

  26. 이철우, 이대하, 정지곤, 김구영, 김용제, 2002, 양수시험 시방사상흐름을 보이는 균열암반대수층에서의 우물손실, 지하수토양환경, 7(4), 17-23 

  27. 정상용, 심병완, 강동환, 김병우, 박희영, 원종호, 김규범, 2001, 크리깅에 의한 장기관측지하수위 결측자료보완, 지질학회지, 37(3), 421-430 

  28. 최병수, 1999, 제주도 지하수의 우물 비양수량 자료를 이용한 대수층상수 결정방법, 지하수환경, 6(4), 180-187 

  29. 함세영, 정재열, 류상민, 김무진, 김형수, 2002, 창원시 대산면 강변여과수 취수지역의 수리지질 특성, 지질학회지, 38(4), 595-610 

  30. Brown, R.H., 1963, Estimating the transmissivity of an artesian aquifer rrom the specific capacity of a well, U.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1536-1, p. 336-338 

  31. Domenico, P.A. and Schwartz, F. W., 1998, Physical and Chemical Hydrogeology, 2nd Ed., Wiley & Sons, New York, p. 506 

  32. Huntley, D., Nommensen, R., and Steffey, D., 1992, The use of specific capacity to assess transmissivity in fractured-rock aquifers, Ground Water, 30(3), 396-402 

  33. Lee, J.Y. and Lee, K.K., 2000, A general solution of determining storage coefficient from multi-step pumping test recovery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7(1), 20-23 

  34. Razack, M. and Huntley, D., 1991, Assessing transmissivity from specific capacity in a large and heterogeneous alluvial aquifer, Ground Water, 29(6), 856-861 

  35. Theis, C.V., 1963, Estimating the transmissivity of a water-table aquifer rrom the specific capacity of a well, U.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1536-I, p. 332-3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