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전라남도 완도수목원의 붉가시나무 간벌처리구 임분의 4년 뒤 지상부 탄소고정량을 추정하기 수행되었다 간벌 처리구별 4년 뒤의 임분 생장은 임분예측표를 이용하였으며, 지상부의 건중량 분포는 $W=aD+bD^2$의 모형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간벌 처리구별 지상부 생체량은 대조구(148.4 ton/ha), 약도처리구(105.6 ton/ha), 중도처리구(68.7 ton/ha) 그리고 강도처리구(39.1 ton/ha) 분포를 보였다. 붉가시나무의 4년 뒤 간벌처리구별 탄소고정량은 건중량에 0.5를 곱하여 구하였으며, 대조구(74.2tonC/ha), 약도처리구(52.8tonC/ha), 중도처리구(34.3 tonC/ha) 그리고 강도처리구의 탄소고정량은 38.2 tonC/ha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aboveground carbon contents associated with four years of thinning treatment of Quercus acuta stands in Wando Arboretum, Jeonnam. Stand thinning was conducted over four years using stand table projection for each thinning treatment. Ten sample trees were cut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붉가시나무의 경우 우리나라도서 해안 및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난대상록 활엽수를 대표하는 수종으로서 기후변화에 따른 난대림의 형성으로 앞으로의 연구적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붉가시나무 임분의 물질 생산량 조사를 통하여 적정 모형식을 추정, 간벌처리구별 임분의 생 장량과 추정 모형식을 적용하여 미래의 붉가시나무 임 분 처리구별 탄소 고정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인위적 시업이 가 해지는 임분에 대한 탄소고정의 변화량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므로 이를 통하여 시업지 임분의 탄소고정량 분석에 대한 산림경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붉가시나무 임분에 대한 산림시 업 경영을 목적으로 실시된 간벌처리구에 대하여 단순한 목재 생 산량의 양적 개념에서 탈피, 산림이 가진 공익적 기능 즉, 기후변화에 따른 탄소고정량 평가라는 산림경영 측면에서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주요 난대 수종의 하나인 붉가시나무의 경우 남부지역 및 도서해안 지 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자원에 대한 목재기능 및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흡수원으로서의 기능평가를 통해 산림자원의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붉가시나무생체량 분석에서 부위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나, 경급 변화에 따른 붉가시나무 각 부위별 생체량의 합을 이용하였다. 비록 임분밀도에 따라 수관 및 수간의 발달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생체량에 있어 다소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추정 모 형식에서 적합성 있는 식의 적용으로 이러한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임분의 직경급에 따른 생체량을 추정, 탄소흡수원으로서의 붉가시나무 간벌처리 구별 탄소 고정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붉가시나무 임분의 물질 생산량 조사를 통하여 적정 모형식을 추정, 간벌처리구별 임분의 생 장량과 추정 모형식을 적용하여 미래의 붉가시나무 임 분 처리구별 탄소 고정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인위적 시업이 가 해지는 임분에 대한 탄소고정의 변화량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므로 이를 통하여 시업지 임분의 탄소고정량 분석에 대한 산림경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이는 전통적인 직경급 모델로 현실림의 미래 임분 상황을 예측하는 것으로서, 각직경급을 갖는 표준지에서 수집되는 실제 직경생장과 기타 정보로서 생장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든 개체목은 예측기간중에 살아있음을 가정하였다. 임분표 예측은 짧은 생장 기간 5~10년 이하 기간 동안의 임분의 변화 분석에 아주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ienaar and Harrison, 1988; Nepal and Somers, 1992).
  • 충주지역 조사대상 목인 굴 참나 무와 신갈나무의 임목본 수가 각각 835, 907본으로 붉가시나무림 대조구와 약도 처리 구 보다는 다소 낮으며, 중도의 경우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강도에 비해서는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임목본 수를 고려해본다면 붉가시나무의 탄소 고정량이 동 일 본 수를 기준으로 가정한다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에 비해 다소 낮지만, 경급 분포를 고려한다면 지상부탄 소고정량은 유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온대지방의 참나무 속 평균치 (Ovington, 1965)인 8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