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ual meanings of 'healthy families' by examining four popular misunderstandings regarding the concept. These misunderstandings are based partly on the lack of consensus on the use of the concepts of 'health' and 'families' and partly on the intentional misreading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 앞에서 제시한 건강가정과 관련된 쟁점 및 그에 대한 대응적 논리 그리고 가족과 가정의 개념 분석에 토대하여, 건강 가정의 개념에 대한 논의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건강가정 개념 에 대한 기본적 내용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어 왔기 때문에 본 장에서는 건강가정의 개념을 반복하여 정리하기보다 는, 앞에서 지적된 쟁점으로서의 건강가정 그리고 그 비판적 내 용에 대한 검토에 기초하여 향후 건강가정 개념의 긍정적 의미 는 더욱 발전, 부각시키고 오해와 편견의 소지가 있는 내용에 대한 대응논리 개발의 전략을 모색한다는 맥락에서 건강가정의 개념을 재해석하기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 넷째,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건강가정의 개념을 재정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 및 건강가정기본법 개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인식적 개념으로서의 가족/가정이 명확히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민법 내 가족 범주가 개정됨에 따라 건강가정기본법에서의 가족 개념도 변해야 한다는 전제 하에, 앞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사회구성원의 구체적인 생활의 장에 서 건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법적. 제도적 지원이라는 맥락에 서는 '생활' 그리고 '생활공동체'의 의미를 보다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가족과 가정의 기본적 개념을 정리 하고, 이 개념의 혼돈이 건강가정에 대한 오해에도 영향을 미친 다는 점을 분명히 지적함으로써, 향후 건강가정의 개념을 담아 내야 하는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제안점도 제시하였다. 마지막 으로 이러한 논의들을 종합하여 건강가정의 개념을 재정립하기 위해서는 건강가정에 대한 정의보다는 관점이 필요하다는 점, 건강가정은 특정한 형태가 아니라 추구하는 지향성이라는 점 그리고 가족과 가정에 대한 혼란을 피하고 건강가정의 개념을 명확히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및 건강가정기본법이라는 제도에 주목하여 건강가정의 개념을 보다 보편적으로 풀어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아래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건강가정의 관련개념으로서 가 족 그리고 가정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함으로써 건강가 정의 개념을 재정립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족이라는 용어와 가정이라는 용어는 일상생활에서 크게 구 분되지 않고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 앞에서는 건강가정과 관련된 쟁점의 분석과 대응적 논리의 개발, 가족과 가정의 개념 분석하고 건강가정 개념의 재정립을 위한 논의점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소위 건강가정담론으로 일 컬어지는 쟁점으로는 비건강가정과의 분리와 대치점에 있는 건 강가정, 전형적 가족으로서의 건강가정, 위기담론 조성에 활용 되는 건강가정 그리고 가족중심주의의 핵심으로서의 건강가정 으로 구별하여 그 비판점을 분석하였다.
  • 이제 앞에서 제시한 건강가정과 관련된 쟁점 및 그에 대한 대응적 논리 그리고 가족과 가정의 개념 분석에 토대하여, 건강 가정의 개념에 대한 논의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건강가정 개념 에 대한 기본적 내용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어 왔기 때문에 본 장에서는 건강가정의 개념을 반복하여 정리하기보다 는, 앞에서 지적된 쟁점으로서의 건강가정 그리고 그 비판적 내 용에 대한 검토에 기초하여 향후 건강가정 개념의 긍정적 의미 는 더욱 발전, 부각시키고 오해와 편견의 소지가 있는 내용에 대한 대응논리 개발의 전략을 모색한다는 맥락에서 건강가정의 개념을 재해석하기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국회보건복지위원회(2002). 가족지원기본법안 심사보고서 

  2. 김경신(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 연구-노년, 중년, 청소년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60 

  3. 김규원(1995).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치관. 가족학논집, 7, 213-255 

  4. 김승권(2004). 법제정의 기대효과.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기념 심포지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과 향후과제 자료집 

  5. 김인숙(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안) 법제화의 철회를 요구하며. 가족해체 방지 및 건강가정 육성 지원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85-91 

  6. 김정옥(2004). 지방분권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대구대학교 건강가정지원센터 개소기념 학술세미나 자료집, 42-56 

  7. 남윤인순(2003). 토론문. 가족해체 방지 및 건강가정 육성 지원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93-97 

  8. 대한가정학회 건강가정육성기본법 추진위원회(2003). 건강가정기본법 길라잡이 

  9. 박민자(1995). 가족의 의미. 여성사회연구회 편.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경문사 

  10. 변화순 . 윤영숙 . 강성혜(1990). 한국가족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1. 변화순 . 최윤정(2004). 가족정책 방향 정립 및 통합적 시행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2. 손애리(2004). 일 . 가족 함께 성평등 가족정책 일 . 가족 함께 성평등 가족정책 마련을 위한 연속 토론회 '가족 정책의 새로운 틀짜기를 제안한다' 자료집, 107-108 

  13. 송다영(2003). 한국의 가족정책 진단과 행정체계. 가족정책토론회 성인지적인 가족정책을 모색한다 자료집, 30-48 

  14. 송혜림(2003). 건강한 가정은 가부장적 가족이 아니다. 한겨레신문 2003년 11월 23일자 왜냐면 

  15. 송혜림(2004a). 건강가정기본법에 근거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과 운영방안. 바람직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을 위한 전문프로그램 소개 및 실무 교육 세미나 자료집, 8-20 

  16. 송혜림(2004b).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과제와 향후 전망. 건강가정지원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움 '건강가정지원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9-31 

  17. 송혜림(2005). 생활과학에서 '건강'이라는 코드의 재해석과 전망. 대한가정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기조강연. 생활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건강 자료집, 19-37 

  18. 송혜림 외(2005). 건강가정론. 제1기 건강가정사 양성교육 자료집 

  19. 신은주(204). 가족정책 방향 및 제언. 일 . 가족 함께 성평등 가족정책 마련을 위한 연속토론회 '가족정책의 새로운 틀짜기를 제안한다' 자료집, 5-42 

  20. 양옥경(2000). 한국 가족개념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 69-98 

  21. 양옥경(2001). 가족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175-199 

  22. 옥선화 . 성미애 . 신기영(2000). 도시 및 농촌거주자의 가족 및 친족관련 가치관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8(9), 1-20 

  23. 유계숙 . 유영주(2002).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0(5), 79-94 

  24. 유영주(1999). 건전가정과 건강가족의 개념 설정에 대한 논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3), 93-102 

  25. 윤홍식(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안)의 법제화를 반대하며. 가족해체 방지 및 건강가정 육성 지원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99-103 

  26. 윤홍식(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주요쟁점과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과제.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및 보육엄무 이관에 따른 보고 . 결의대회 자료집, 71-99 

  27. 윤홍식(2004). 가족의 변화와 건강가정기본법의 대응: 한국가족정책의 원칙을 위한 고찰. 한국가족복지학, 14, 263-293 

  28. 이기영(2004a). 건강가정기본법의 성공적 실천전략. 대구대학교 건강가정지원센터 개소기념 학술세미나 자료집, 20-41 

  29. 이기영(2004b). 건강가정기본법의 내용소개 및 사회적 기여. 대구카톨릭대학교 건강가정지원센터 개소기념 학술세미나 자료집 

  30. 이기영(2004c).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의 의의와 향후과제. 한국아동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1. 이박혜경(2004). 개인의 복지와 사회통합이 목적이 되어야. 건강가정기본법 진단토론회 '건강가정' 있다/없다 자료집, 47-53 

  32. 이영분(2004).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경과보고.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및 보육업무 이관에 따른 보고 . 결의대회 자료집, 57-67 

  33. 이재경(1999). 여성의 경험을 통해 본 한국가족의 근대적 변형. 한국여성학, 15(2), 55-86 

  34. 이재경(2004). 새로운 가족패러다임을 말한다 '위기담론에서 변화담론으로', 건강가정기본법 진단토론회 '건강가정' 있다/없다 자료집, 3-17 

  35. 장명욱(1995). 가정학원론. 서울: 교문사 

  36. 정재훈(2004). '위기' 아닌 '변화'로 인식해야. 건강가정기본법 진단토론회 '건강가정' 있다/없다 자료집, 61-64 

  37. 조은숙 . 옥선화(1995). 가족상 연구의 접근법 및 그 적용. 대한가정학회지, 33(1), 111-123 

  38. 조은희(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분석. 건강가정기본법 진단토론회 '건강가정' 있다/없다 자료집. 19-44 

  39. 통계청 홈페이지 www.nso.go.kr 용어설명 

  40. 한국여성단체연합 홈페이지 

  41.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가족특별위원회(2005). 한나라당 가족 upgrade 비전-신가족주의와 가족의 삶의 질 증진- 자료집 

  42. 황경식(2005). 건강과 질병 그리고 불건강- 건강과 웰빙에 대한 철학적 성찰. 대한가정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기조강연, 7-18 

  43. v.Schweitzer(1983). Haushaltsfuhrung. Stuttgart: Ulmer Verla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