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 신념 모델에 근거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병 관련지식과 성적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7, 2005년, pp.1304 - 1313  

신윤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전영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조성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조예령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on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신념모델을 근 거로 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틀은 [Figure 1]과 같다. 중재의 첫 번째 시간에는 「성 (sex, gender, sexuality)은 우리 모두의 관심사!」라는 제목으로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 설문지 작성과 교육에서 배우거나 얻고 싶은 것과 성에 대한 생각을 묻는 개방형 질문에 답하도록 하였다. 그 후, 성 에 대한 정의와 우리 사회 성 문화와 문제, 성역할과 성의식 및 양성 평등사회에 관한 것을 포함한 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성관련 연구 및 중재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초빙하여 슬라이드를 활용하여 묻고 답하는 형식의 개방형 강의로 진행하였다.
  • 총 4주간의 프로그램은 건강신념모델을 바탕으로 「성(sex, gender, sexuality)은 우리 모두의 관심사!」, 「위험한 성」, 「안전한 성」, 그리고「너와 나를 지키는 올바른 성 !」이라 는 주제로 성병과 에이즈에 대한 취약성과 심각성을 각인시 키고, 안전한 성생활을 통해 성적 자율성을 신장함과 동시에 성병의 위협이나 취약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의 효과에 대한 개인적 신념을 높이고자 하였다. 대상자가 대학생임을 고려하여 중재내용 및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대상자가 제공받 기를 원하는 교육내용이 무엇인지 프로그램 시작 시에 확인하여 이를 교육에 포함시켰다.
  • 두 번째 시간은 「위험한 성!」이라는 제목으로 에이즈를 비롯한 주요 성병인 매도 임질, 질염 등에 관한 원인, 전파 경로, 증상과 특성 및 예방법에 관한 내용을 대상자의 눈높이 에서 전달하고자 대학생인 연구자가 약 35분간 교육하였으며, 인터넷이나 각종 상담소에 기재된 실제 사례를 통해 간단한 OX퀴즈를 한 후 보상함으로써 실험군의 동기를 부여하여 학 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낙태의 현황, 낙태에 관한 법과 학설에서의 입장과 각계각층의 입장과 견해 뿐 아니라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하여 약 30분간 슬라이드 교육과 육성교육을 한 후 각자의 견해를 나누는 시간도 포함 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신념 모델에 근거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병 관련 지식과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 이 모델은 초기에는 특정 행위에 대한 설명과 예측을 위한 이론으로 개발되었으며 건강관련 행위를 설명하는 데에도 유용한 것으로 사람들의 건강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건강행위를 변화시키기 위한 중재를 제공하면 특정 질환 에 걸릴 위험을 증가시키는 행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제안한 이론이다(Strecher & Rosenstock, 1997). 본 연구에서는 성 적으로 가장 왕성한 시기에 있는 대학생으로 하여금 건강하 지 못한 성행위로 인한 문제를 인식시키고 올바른 성관련 지 식과 성적 자율성을 함양하여 성관련 문제에 노출될 위험을 예방하고, 올바른 성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이 건강신념모델의 틀 내에서 체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고안, 적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신념 모델의 틀 내에서 성교육 프로그램을 고안. 적용한 후 대학생의 성병 관련 지식과 성적자 율성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신념 모델의 틀 내에서 성교육 프로그램을 고안. 적용한 후 대학생의 성병 관련 지식과 성적자 율성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외적 지지요인을 포함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건강신념모델의 구성요소들을 활용하여 올바른 성을 이행하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성병관련 지식의 습득과 성적 자율성을 함양하는 것을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로 수립하였다. 건강신념모델을 근 거로 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틀은 [Figure 1]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신념 모델의 틀 내에서 성교육 프로그램을 고안. 적용한 후 대학생의 성병 관련 지식과 성적자 율성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갖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신념모델의 틀 내에서 성교육 프로그램을 고안 . 적용한 후 대학생의 성병관련 지식과 성적 자 율성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유사 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며, 연구 대상 은 강원도 일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으로 4주간의 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23명이 었다.

가설 설정

  • . 가설 1 :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병 관련 지식이 향상될 것이다.
  • . 가설 1 :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병 관련 지식이 향상될 것이다.
  • . 가설 2 :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적 자율성이 향상될 것이다.
  • Park과 Kang(2003)의 연구에 따르면 가상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이 피임 방법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으나 성교 전에 피임의사를 밝힐 수 있는 자기 결정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그 원인을 자기결정능력은 한 개인의 기본적인 가치, 윤리, 의식에 관련된 것으로 1회의 체험 교육으로 의미있는 변화를 기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 과들을 참조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회성이 아닌 4주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적용한 결과, '가설2: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적 자율성이 향상될 것이다.'가 지지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Y. S., Jung, H. J., & Lee, J. S. (1997).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sex. J Korean Life Science, 15, 137-154 

  2. Bae, S. M., & Cho, K. J. (2002). The influence of AIDS health education upon elementary school'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I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3. Chang, H. S. (1999). Psychology of adolescence. Seoul: Hakjisa 

  4. Chang, S. B. (1997). Prevention stages fo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7(2), 423-432 

  5. Chang, S. B. (2002). Development of sexual autonomy measurement for college students. J Korean Women's Health, 8(1), 106-115 

  6. Chun, M. K., Kim, C. K., & Jin, K. N. (1999). AIDS-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ADIS-education needs of male workers in Seoul and Kyungki areas. J Korean Society Edu and Promotion, 16(2), 1-17 

  7. Han, K. S., & Ham, M. Y. (2000).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toward sexual behavior. J Korean Nurs Edu, 6(1), 115-131 

  8. Han, Y. R. (2001). The effect of AIDS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31(3), 467-476 

  9. Han, Y, J. (1997). The effect of sex education on the degree of sex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of middle-school boy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10. Joan, L., Melissa, M., Charlie, L., Melanie, B., & David, L. (2002). Kon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of homeless African-American adolescents: implications for HIV/AIDS prevention. J Natl Med Assoc, 94, 257-263 

  11. Jung, M. J., & Lee, C. H. (2000). A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human ecology, 1(2), 103-131 

  12. Kim, J. S., & Lee, J. H. (1999). Current occurrence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including AIDS and its prevention strategies. J Korean Public Health, 36(1), 1-11 

  13. Kim, K. S., & Kim, J. R. (1998). College students' dating violence behavior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Science for Better Living, 8, 1-15 

  14. Kim, M. H. (1997). Health belief model approach to health beliefs, attitude, and health behaviors concerning HIV/AIDS.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 14(2), 125-147 

  15. Kim, M. J., & Kang, H. S. (2003). A comparative study of consistent and inconsistent contraceptive users on partner communication, perceived contraceptive control, and sexual autonomy. J Korean Acad Nurs. 33(6), 784-791 

  16. Kim, S, J. (2003). Effective of video-based intervention on contraception for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Ko, Y. S. (2001). A study o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xual attitude and sex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Korean Alliance to defeat AIDS(2004). AIDS information center available from http://www.aids.or.kr. Assessed December 20, 2004 

  19. Kwon, D. S. (1999) Measurement of effects of health educational methods on sex and AI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Kwon, K. W., Lee, K. M., Kim, H. S., Kim, J. S., & Chung, K. K. (2000). Measurement of effects of health educational methods on sex and AIDS.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 and Promotion, 17(2). 1-14 

  21. Lee, S. H. (2001). A participatory research on the life of unmarried mothers in the welfare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2. Lee, S. K., Chang, S. B., & Yoo, M. S. (2001). Self-assertiveness and sexual experiences of teenage girls in Korea. J Korean Women's Health, 7(3), 305-316 

  23. Lee, S. M. (2002) A study on changes on knowledge of sex and attitudes toward sex after delivering a sex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24. Lee, Y. S. (2002) The effect of sex education programs on knowledge and attitude related sex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A University, Pusan 

  25. Park, Y. S., & Kang, M. K.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online sex education program using interactive virtual reality techniques for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1(1), 42-55 

  26. Peter, A., & Ian, W. (2002). Education and HIV/AIDS prevention among young people. AIDS Educ Prev, 14(3), 263-267 

  27. Sa, E. R. (1994). Study on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selected sex education methods to change knowledge and attitude on sexu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Sarvela, P. D., & Ford, T. D. (1993). An evaluation of a substance abuse education program for Mississippi delta pregnant adolescents. J school Health, 63(3), 147-52 

  29. Seo, J. S., & Lee, H. K. (1999). Sexual behavior, attitude, and knowledge of unmarried female students of a college. Inje Medicine, 20(1), 149-161 

  30. Shin, Y. H., & Hong, Y. H. (1996).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IDS in Pusan and Ulsan Areas. J Korean Acad Nurs, 26(1), 33-42 

  31. Strecher, V. J., & Rosenstock, I. M. (1997). The health belief model. In K. Glanz, F. M. Lewis, & B. K. Rimer (2nd ed.),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41-59). San Francisco: Jossey-Bass 

  32. Suh, I. S., & Ann, O. H. (1998). A study of health educational effect on the AIDS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Chungbuk area women.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 15(2), 95-104 

  33. Sung, S. M. (2000).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4. Yoon, H. S. (1997). The effect of an AIDS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AIDS in high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