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림프마사지 교육프로그램이 유방절제술환자의 상지 기능상태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of Manual Lymph Massage on the Arm Function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7, 2005년, pp.1390 - 1400  

이은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김성효 (전남대학교 대학원) ,  김선미 (동강대학 피부미용과) ,  선정주 (순천청암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PMLM(educational program of manual lymph massage) on the arm functioning and QOL(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with lymphedema. Method: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n=20) participated in EPMLM for 6 weeks from Ju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후 보조요법으 로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를 종료한 후 자조모임에 참 여한 자 중 자가보고형 스크리닝 설문지를 통해 상지의 부종 이나 림프부종 전구증상이 있는 자를 각각 짝짓기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할당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 차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유방암 환자의 자조모임 을 방문하여 림프부종의 일반적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 을 시행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을 선정하였으며, 오염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대조군에게 먼저 사전조사와 사전조사 후 2주 째와 6주째에 사후조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림프부종 초기 단계에 있는 유방절제술 여성이 림프 마사지법을 학습한 후 이를 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림프 흐름 도모와 만성적인 림프울혈을 방지해 줌 으로써 상지 기능상태 유지와 삶의 질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림프 마사지 교육프로그램이 유방절제술 환자의 상지 기능 상태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림프부종 초기 단계에 있는 환자가 림 프 마사지법을 학습한 후 이를 수행하여 원활한 림프 흐름 도모와 만성적인 림프울혈을 방지해 줌으로써 환측의 상지 기능상태 유지와 삶의 질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제 2가설 검증 : "림프마사지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상지 기능상태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가설 1 : 실험군은 림프 마사지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후 상지 기능 상태가 증가할 것이다.
  • . 가설 2 : 림프마사지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은 대 조군보다 상지 기능상태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3 : 실험군은 림프마사지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후 삶의 질이 증가할 것이다.
  • . 가설 4 : 림프마사지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은 대 조군보다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
  • 가설 3 : 실험군은 림프마사지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후 삶의 질이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aulac, S. M., McNair, L. A., Scott, T. E., LaMorte, W. W., Kavanah, M. T. (2002). Lymphedema and quality of life in survivors of early stage breast cancer. Arch Surg, 137(11), 1253-1257 

  2. Brennan, M. J., Miller, L. T. (1998). Overview of treatment options and review of the current role and use of compression garments, intermittent pumps, and exercise in the management of lymphedema. Cancer Supplement, 83, 2821-2827 

  3. Boris, M., Weindorf, S., Lasinski, B. (1997). Persistence of lymphedema reduction after noninvasive complex lymphedema therapy. Oncology, 11, 99-114 

  4. Carter, B. J. (1993). Long-term survivors of breast cancer :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Cancer Nurs, 16, 354-361 

  5. Carter, B. J. (1997). Women's experiences of lymphedema. Oncology Nurs Forum, 24(5), 875-882 

  6. Coward, D. D. (1999). Lymphedema prevention and management knowledge in women treated for breast cancer. Oncology Nurs Forum, 26(6), 1047-1053 

  7. Foldi, E. (1998). The treatment of lymphedema. Cancer Supplement. 83, 2833-2834 

  8. Hyun, H. Y., Yeoum, C. H., & Lee, H. R. (2002). The treatment effect of the complex lymphatic therapy for lymphedema. J Korean Acad Fam Med, 23, 646-651 

  9. Kim, S. H. (1998). Comparison of SF-36 between self-administration and interview administration for the follow-up patients of renal transpla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0. Kim, S. J. (2002). Lymph edema. Seoul : Jung-dam 

  11. Kwan, W., Jackson, J., Weir, L. M. Dingee, C, MaGregor, G., Olivotto, L. A. (2002). Chronic arm morbidity after curative breast cancer treatment: Prevalence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J Clin Oncol, 20(20), 4242-4248 

  12. Leduc, O., Leduc, A., Bourgeois, P., Belgrado, J. P. (1998) The physical treatment of upper limb edema. Cancer Supplement. 83, 2835-2839 

  13. Lee, M. H. (1995). An effect of rhythmic movement therapy for adaptation state mastectomy patient. J Korean Fund of Nurs, 2(1), 67-85 

  14. Lin, P. P., Allison, D. C, Wainstock, J., Miller, K. D., Dooley W. C, Friedman, N. (1993). Impact of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on the therapy of breast cancer patients. J Clin Oncol, 11(8), 1536-1544 

  15. Longman, A. J., Braden, C. J., Mishel, M. H. (1999). Side-effects burden, pshchological adjustment and life quality in women with breast cancer: pattern of association over time. Oncology Nurs Forum, 26(5), 909-915 

  16. Mckenzie, D. C, Kalda, A. L. (2003). Effect of upper extremity exercise on secondary lymphedema in breast cancer patients: a pilot study. J Clin Oncol, 21(3), 463-466 

  17. Meek, A. G. (1998). Breast radiotherapy and lymphedema. Cancer Supplement. 83, 2788-2797 

  18. Park, Y. S., Lim, N. Y. (1999). The effect of self-helf group program on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of mastectomy patients. Korean J Rehabil Nurs, 2(1), 61-71 

  19. Passik, S. D., McDonald, M. V. (1998) Psychosocial aspects of upper extremity lymphedema in women treated for breast carcinoma. Cancer Supplement. 83, 2817-2820 

  20. Petrek, J. A., Heelan, M. C. (1998). Incidence of breast carcinoma-related lymphedema. Cancer Supplement, 83: 2776-2781 

  21. Price, J., Purtell, J. R. (1997).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ymphedema after breast cancer. Am J Nurs, 97(9), 34-37 

  22. Pressman, P. I. (1998). Surgical treatment and lymphedema. Cancer Supplement. 83, 2782-2787 

  23. Tobin, M. B., Lacey, H. J., Meyer, L., Mortimer, P. S. (1993). The psychosocial morbidity of breast cancer related arm swelling. Cancer, 72, 3248-3252 

  24. Ware, J. E. (1993). Measuring patient's view: The optimum outcome measure SF-36 : a valid, reliable assessment of health from the patient point of view. British Med. J., 306, 1429-1430 

  25. Wittlinger, H. G. (1995). Textbook of dr vodder's manual lymph drainage (5th ed). Brussels, Belgium; Hang International 

  26. Woods, M., Tobin, M., & Mortimer, P. (1995). The psychosocial morbidity of breast cancer with lymphedema. Cancer Nurs, 18, 467-471 

  27. Yeoum, C. H., Hong, Y. S., Choi, Y. S. (2000). Lymphedema.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3(2), 118-1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