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2 no.4 = no.58, 2005년, pp.39 - 59  

이정연 (경기대학교) ,  정동열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의 기준과 범위를 설정하여 평가영역 및 평가문항을 설계함과 동시에 대학생들의 현재 정보활용능력의 수준을 진단하고 분석하여 정보활용능력 개발을 위한 평가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정보활용능력 웹 평가사이트를 설계하여 학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였다. 정보활용능력 구성영역을 통계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보자원 영역, 정보요구 영역, 정보검색 영역. 정보분석 영역, 정보기술 및 표현 영역, 정보윤리 영역임을 밝혀내었고, 기초환경 요인, 자가진단 요인, 영역별 요인, 정보활용능력 총점 요인 및 문항분석을 통해 평가설계 요소와 평가절차, 영역별, 수준별 교육 및 평가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정보활용능력의 통합적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their capability of using information, and make a evaluation model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onsists of six fields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needs, inf...

주제어

참고문헌 (30)

  1. 강혜영. 2002.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9:305-343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a. '일반 국민 ICT 활용능력 기준의 표준화 및 교육과정 상세화 연구'. 연구보고서. 정책연구과제 ITP 2002-1. 연구보고 CR 2002-3.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 __. 2002b. '교원 ICT 활용능력 기준의 표준화 및 교육과정 상세화 연구'. 연구보고서. 정책연구과제 ITP 2002-2. 연구보고 CR 2002-4.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4. __. 2002c. '학생 ICT 활용능력 기준의 표준화 및 교육과정 상세화 연구'. 연구보고서. 정책연구과제 ITP 2002-3. 연구보고 CR 2002-5.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 박온자: 1998. 원격 정보이용교육에 관한 연구: 대학도서관 웹 페이지에 수록된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4): 31-52 

  6. 이명희. 2001. 웹 기반 학습이론에 근거한 웹기반 도서관 이용자 교육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2): 165-185 

  7. 이창수, 김신영 .2003.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구성원간 협력방안 연구. '情報管理學會誌', 20(1): 232-257 

  8. 이현실. 2004.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항목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303-322 

  9. 장혜란. 1989. 도서관 이용교육 효과의 집단별 차이에 관한 연구. '圖書館學', 17: 261-273 

  10. 정동열. 1992. '문헌정보학 연구방법론'. 서울: 구미무역 

  11. 日本圖書館協會 圖書館利用敎育委員. 2001. '圖書館利用敎育ダイトライン合冊版: 圖書館における情報リテラン;支援サビスのために'. 東京: 日本書館協會 

  12.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2003. Assess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Academic Institutions. Avery, E. F. ed.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3. __. 2000.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cited 2004. 8]. 

  14.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stitute for Information Literacy. 2004.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 2nd ed. Bundy, A ed. Adelaide: Austrian and New Zealand Institute for Information Literacy 

  15. Bigblue. 2002.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Library and Leeds University Library.[Cited 2003.12]. 

  16. Breivik, P. S. 1999. 'Information Literacy: Revolution in Education.' Reference service Review, 27(3): 271-275 

  17. Bruce, C. 1997. The Seven Faces of Information Literacy. Adelaide: Auslib 

  18. California State University. 2000. CSU Information Competence Survey Repor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Chancellor's Office and the CSU Information Competence Assessment Task Force 

  19. Doyle, C. S. 1992. 'Outcome measures for information literacy within the national education goals of 1990.' Final Report to National forum on Information literacy. ED351033 

  20. Kent State University. 2005. Project SAILS. [cited 2004. 12.5] 

  21. Library Instruction Round Table. [cited 2003. 12]. 

  22. Library Orientation EXchange(LOEX). [cited 2003. 12]. 

  23. Maughan, P. D. 2001. 'Assessing information literacy among undergraduates: a discussion of the literature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assessment experience.'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620):71-85 

  24. O'Connor, L. G & C. J. Radcliff & J. A. Gedeon. 2002. 'Applying systems design and item response theory to the problem of measuring information literacy skills.'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November: 528-543 

  25. __. 2001. Assessing Information Literacy Skills: Developing a Standardized Instrument for Institutional and Longitudinal Measurement. ACRL TechNational Conference. Denver: Colorado 

  26. Smally, T. N. 2003. The Bay Area Community College Information Competency Assessment Project. [cited 2005. 2. 3]. 

  27. Society of College and National & Uni versity Libraries. 1999. Information Skills in Higher Education: a SCONUL Position Paper. [cited 2003.9.20] 

  28. Stufflebeam, D. L. 1971. 'The relevance of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5(1):19-25 

  29. Stufflebeam, D. L. & G. Madaus & T. Kellaghan. 2000. Evaluation Models: Viewpoints on Educational and Human Services Evaluation. Boston: Kluwer Academic 

  30. UCLA library Instructional Services Advisory Committee. 2001. UCLA Library Information Competence at UCLA: Report of a Survey Proje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