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콩분말 첨가가 반죽 및 면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rminated Whole Soy flour on the Properties of Dough and Noodle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6 = no.90, 2005년, pp.919 - 926  

정해정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민희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학길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김주숙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우정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2시간 발아시킨 신팔달 2호 콩분말을 첨가하였을 때의 반죽특성과 제면특성을 살펴보았다. 발아콩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호화특성은 발아콩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호화점도가 감소하였으며 $3\%$ 소금을 첨가한 반죽에서는 발아콩분말을 $8\%$ 첨가했을때까지 점도가 높았으나 그 이후에는 소금 무첨가군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Mixograph로 측정한 반죽의 점탄성도 발아콩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3\%$ 소금을 첨가한 반죽이 소금 무첨가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면의 신장도를 측정한 결과 발아콩 분말 $8\%$ 첨가군이 치고의 신장도를 나타내었으며 조리면의 무게과 부피증가율은 발아콩분말 $4\%$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조리액의 탁도는 발아콩분말 $16\%$ 첨가군이 0.57로 측정되어 고형분의 용출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면 제조시 발아콩분말의 영향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값은 (-)값이, b값은 (+)값이 증가하여 greenish yellow의 색상을 나타내었다. 조리면의 색도는 생면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같은 경향을 보였다. 발아콩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생면의 hardness와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및 brittleness는 증가하였으나 조리면에서는 hardness, gumminess 및 brittleness가 감소하였다. 조리면의 관능검사 결과 발아콩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고소한 맛과 냄새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ardness와 chewiness는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탸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germinated whole soy flour on dough and noodl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oybeans were germinated for 12 hours at $20^{\circ}C$ and ground to 60 mesh. With increasing soybean flour addition up to $16\%$, the RVA visco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2시간 발아시킨 신팔달 2호 콩분말 을 첨가하였을 때의 반죽특성과 제면특성을 살펴보았 다. 발아콩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호화특성은 발아콩분 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호화점도가 감소하였으며 3% 소금을 첨가한 반죽에서는 발아콩분말을 8% 첨가했을 때까지 점도가 높았으나 그 이후에는 소금 무첨가군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수의 영양 및 기능성의 향상을 위하여 발아콩분말을 국수제조 시 첨가할 때 호화와 반 죽 및 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ACC. 1995.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9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 Bae SH, Lee C. 1998. Effect of soybean protein isolate on the properties of nood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6): 1301-1306 

  3. Brouns F. 2002. Soya isoflavone: a new and promising ingredient for the health foods sector.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5: 187-193 

  4. Chang HG.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millet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6): 952-958 

  5. Chong HS, Park CS. 2003. Quality of noodle added powder of Opunitia ficus-indica var. saboten. Korean J Food Preservation 10(2):200-205 

  6. Coward L, Barnes NC, Setchell KDR, Barnes S. 1993. Genistein, daidzein and their glucoside conjugates: antitumor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from American and Asian diets. J Agric Food Chem 41: 1961-1967 

  7. Hong YM, Kim JS, Kim DW, Kim WJ. 2003. Effect of whole soy flour on the properties of wet noodle. Korean J Food Nutr 16(4): 417-422 

  8. Hyun YH, Hwang YK, Lee YS. 2001. A study of cooking properties of the noodle made of composite flour with green t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4): 295-304 

  9. ICC. 1994.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Rapid pasting method using the Rapid Visco Analyser, ICC-Standard Draft, Vienna 

  10. Kim BR, Choi YS, Kim JD, Lee SY. 1999. Noodle making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composite flou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2): 383-389 

  11. Kim HR, Hong JW,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ei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 579-583 

  12. Kim JS, Kim JK,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 294-298 

  13. Kim KS, Joo SJ, Yoon HS, Hong JS, Kim ES, Park SG, Kim T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n noodle added with Pholiota adiposa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Preservation 10(2) 187-191 

  14. Kim SK, Kim IH. 1998. Effect of tetrasodium polyphosphate peroxidate on quality of kalguksoo, Korean J Food Sci Tech 30(5): 1064-1069 

  15. Kim UJ, Yoon JY, Kim HS. 2002.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pea starch-wheat composite flour. Korean J Soc Food Sci 18(6): 692-698 

  16. Kim WJ, Lee HY, Won MH, Yoo SH. 2005. Germination effect of soybean on its contents of isoflavones and oligosaccharides. Food Sci Biotechnol 14(4): 498-502 

  17. Kim YA. 2002.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 632-636 

  18. Kim YS. 1998.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6): 1373-1380 

  19. Lee HA, Nam ES, Park SI.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maesil(Prunus mume) juice. Korean J Food Culture 18(6): 527-535 

  20. Lee HY, Kim JS, Kim YS, Kim WJ. 2005. Isoflavone and quality improvement of soymilk by using germinated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3): 443-448 

  21. Lee JW, Kee HI, Park YK, Rhim JW, Jung ST, Ham KS. 2000. Preparation of noodle with laver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2): 298-305 

  22. Lee YC, Shin KA, Jeong SW, Moon YI, Kim SD, Han YN.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6): 1604-1612 

  23. Lee YS, Lim NY, Lee KH. 2000.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root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16(6): 681-688 

  24. Lee YT, Jung JY.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ely ${\beta}-glucan$ enriched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 405-409 

  25. Murphy PA. 1982. Phytoestrogen content of processed soybean products. Food Technol 36: 60-64 

  26. Park HK, Lee HG. 2005.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rice noodle added with isolate soybean protein. Korean J Food Cookery Sci 21(3): 326-338 

  27.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2003.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 1021-1025 

  28.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Nutr 17(2): 120-127 

  29. Park WP, Kim ZU. 1990. Making characteristics of extruded noodles mixed with soybean flour. J Korean Agric Chem Soc 33(3): 209-215 

  30. Shin DH, Choi U. 1996.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by three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 240-245 

  31. Shin JY, Byun MW, Noh BS, Choi EH. 1991. Noodle characteristics of Jerusalem Artichoke added wheat flour and improving effect of texture modifying ag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5) 538-545 

  32. Yang HC, Suk KS, Lim MH. 1982.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raw material for noodle, korean J Food Sci Technol 14(2): 146-150 

  33. Yoo YJ, Chang HG, Choi YS. 2005. Effect of defatted soy flou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3): 301-3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