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Wild Tea Extra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2, 2005년, pp.148 - 157  

최옥자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  이행재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  최경희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야생9차를 발효정도에 따라 몇 단계의 발효차를 제조하여 일반세균, 젖산균효모 총 8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항균활성 물질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 에탄올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균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산 야생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의 최소저 해농도는 그람양성균에서는 B. subtilis가 0.2 mg/mL로 가장 낮았고, 그람음성균에서는 P fuorescens가 0.3∼0.5 mg/ mL로 가장 낮았으며, 젖산균과 효모는 1 mg/mL이하의 농도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불발효차인 녹차에 비하여 항균활성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항균효과가 더 높았다. 차 항균활성 물질의 열 및 pH 안정성 은 50∼121$^{\circ}C$ 및 pH 3∼11까지 각 균주의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대조구와 비슷하게 나타나 녹차, 반발효차, 발효차 모두 열과 pH에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차 에탄올추출물을 용매 분획한 결과 물분획물에서 생육억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에틸아세 테이트 분회물, 에테르 분획물의 순으로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헥산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발효가 많이 진행된 차일수록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적었으며, 발효도가 높은 국내산 강발효차와 중국산 홍차의 경우 에테르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Korean wild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fermented tea. Antimicrobial activity was examined against 8 kinds of several microorganism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water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보(21, 22)에 이어서 발효정도에 따른 국 내산 야생차 추출물을 제조하여 일반세균, 젖산균 및 효모 총 8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 색하고, 항균활성 물질의미 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 및 열과 pH에 대한 안정성을 측 정하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을 용매분획한 후 각 분획별 항균 활성을 조사하여 중국 발효차와의 차이점을 분석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정동효, 김종태. 1997. 차의 과학. 대광서림, 서울. p 25-261 

  2. 최성희. 1999. 우리 차 세계의 차 바로알고 마시기. 서원, 서울. p 28-137 

  3. Yeo SG, Ahn CW, Kim IS, Park YB, Park YH, Kim SB. 1995.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3-298 

  4. Rhi JW, Shin HS. 1993.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759-763 

  5. Senji S, Mujo K, Makoto T, Takehiko Y, Takehiko Y. 1989. Antibacterial substances in Japanese green tea extract againist streptococcus mutans, a cariogenic bacterium. Agri Biol Chem 53: 2307-2311 

  6. Muramatsu K, Fukuyo M, Hara Y. 1986. Effect green tea catechins on plasma cholesterol level in cholesterol-fed rats. J Nutr Sci Vitaminol 32: 613-617 

  7. 中林郞, 伊知夫, 板田完三. 1991. 綠茶, 紅茶 烏龍茶の化學と 機能. 弘學出版社, 東京. p 83-122 

  8. Sugiyama K. 1995. Anti-allergic effects of tea.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green tea, Korean Soc Food Sci Technol, Seoul, Korea. p 59-64 

  9. Yeo SG, Ahn CW, Lee YW, Lee TG, Park YH, Kim SB. 1995. Antioxidative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J Korean Soc Food Nutr 24: 299-304 

  10. Moon JH, Lee JK, Song BH, Park KH. 1996. Aroma of tea. J Kor Tea Soc 2: 147-161 

  11. Choi SH. 1998. Characterization of various tea flavor. J Kor Tea Soc 4: 115-133 

  12. Park YH, Won EK, Son DJ. 2002. Effect of pH on the stability of green tea catechins. J Fd Hyg Safety 17:117-123 

  13. Cho YS, Kim HS, Kim SK, Kwon OC, Jeong SJ, Lee YM. 1997. Antimicrobial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J Kor Tea Soc 3: 89-103 

  14. Kim CS, Chung SK, Oh YK, Kim RY.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reen tea against putrefactive microorganism in steamed bread. Korean Soc Food Sci Nutr 32: 413-417 

  15. Kim BY, Yang WM, Choi J. 2002. Comparison of caffeine, free amino acid, vitamin C and catechins content of commerical green tea in Bosung, Sunchon, Kwangyang, Hadong. J Kor Tea Soc 8: 55-62 

  16.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2003.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17. Hong HJ, Choi JH, Yang JA, Kim GY, Rhee SJ.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o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5: 224-230 

  18. Kim MJ, Lee SJ. 1994. Effect of Korean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beverage on the removal of cadmium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3: 784-791 

  19. Lee HS, Son JY. 2002. Antioxidant and synergist effect of extract isolated from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 Korean J Food & Nutr 15: 377-381 

  20. Oh DH, Lee MK, Park BK.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rne 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0-106 

  21.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32: 356-362 

  22. Choi OJ, Rhee HJ, Kim KS. 2003. The sensory characteristics in Korean wild tea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32: 1011-1020 

  23. Bauer AW, Kibby MM, Sherris JC, Turck M. 1966.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by a standardized single disk metheod. Am J Clin Pathol 45: 493-496 

  24. Piddock LJV.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8 

  25. Branch A, Starkey DH, Power EE. 1965. Diversifications in the tube dilution test for antibiotic sensitivity of microorganisms. Appl Microbiol 13: 469-472 

  26. MacLowry JD, Jaqua MJ. 1970. Detailed methodology and implementation semiautomated serial dilution microtechnique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Appl Microbiol 20: 46-53 

  27. Nakamura S, Kato AM, Kobayashi K. 1991. New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lysozyme-dextran conjugate. J Agric Food Chem 39: 647-650 

  28. Kim YG. 199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and foreign green tea extract. Kor J Env Hlth Soc 21: 39-46 

  29. Kong YJ, Park BK, Oh DH.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mongolica leaf ethanol extract and organic acid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Technol 33: 178-183 

  30. Kim YD, Kang SK, Choi OJ, Lee HC, Jang MJ, Shin SC. 2000.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P. 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16-1122 

  31. Kim YD, Kang SK, Choi OJ.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92-696 

  32. Ikigai H, Nakae T, HaRa Y, Shimamura T. 1993. Bactericidal catechins damage the lipid bilayer.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147: 132-136 

  33. Hara Y, Ishigami T. 1989.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ea polyphenols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6: 996-999 

  34. Sakanaka S, Mujo K, Makoto T, Yamamoto T. 1989. Antibacterial substances in Japanese green tea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 carcinogenic bacterium. Agric Biol Chem 53: 2307-2311 

  35. Lee HY, Kim CK, Sung TK, Mun TK, Lim CJ. 1992. Antimicrobial activity of Ulmus pumila L. extract. Korean J Appl Microbial Biotechnol 20: 1-5 

  36. EI-Shenawy MA, Marth EH. 1989. Behavior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the presence of sodium propionate. J Food Micraobiol 8: 85-89 

  37. Park CS, Cha MS. 2000.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s and preservatives to the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Food & Nutr 13: 36-44 

  38. Park CS, Cha MS, Kim ML. 2001. Changes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in various pH of culture broth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06-212 

  39. Shin KH. 2004. A study on the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antimicrobial activity by the degree of fermentation in Korean tea. PhD Dissert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40. Lee JY, Min YK, Kim HY. 2001.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microbial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89-394 

  41. Kong YJ, Kang TS, Lee MK, Park BK, Oh DH. 2001.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Quercus mongolic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38-3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