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PPH 방법을 통한 녹차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Potency of Green Tea by DPPH Meth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7, 2004년, pp.1079 - 1084  

오중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희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 ,  김정례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 ,  문영인 (제주도 북제주군 농협기술센) ,  강영희 (한림대학교 생명과학부 식품영양전) ,  강정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DPPH radical 소거능을 통하여 차잎의 수확시기 및 발효정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에 있어서 변화를 비교하고 일상의 녹차 음용으로 섭취되는 항산화 물질EGCG 등의 함량으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우전과 같이 수확시기가 빠른 것이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특히 볕가림 재배한 옥로가 일반 녹차에 비 해 적어도 비슷한 활성을 나타냈다. 중국의 반발효차에 있어서 발효정도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감소한데 비해 완전히 발효된 흥차의 경우 항산화 활성이 녹차의 수준으로 유지하였고, 이러한 홍차의 항산화 물질에 대해서는 보다 체계적 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분량 2그램의 녹차를3회 우려 마시는 경우 이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항산화 물질은 EGCG 기준으로 109∼147 mg정도이고 비타민 C로는 142∼168 mg에 해당한다. 시판되고 있는 녹차티백은 제품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한 티백으로부터 52∼86 mg정도의 EGCG에 해당하는 항산화 활성을 보였는데 비타민 C로는 63∼96 mg에 해당한다. 증열과정이 긴 냉녹차나 차잎의 분량이 적은 현미 녹차가 낮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감잎차, 뽕잎차, 솔잎차에서도 적으나마 항산화 활성이 보인 반면 식 물의 뿌리 인 둥굴레 차는 항산화 활성 이 거의 없다. 전통적 인 방법으로 차를 3회 우려 마시는 경우 차잎 속에 포함된 항산화 물질의 절반정도가 용출되는 셈인데 가능한 분말차로 사용되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 세번째 우린 찻물에도 상당량의 항산화 물질이 함유된 반떤, 녹차 티백의 경우 3분이면 충분한 항산화 물질이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식품 속의 플라보노이드가 섭취되어 실제로 어느 정도 흡수되는가에 대해서 아직 이견이 있고 플라보노이드의 임상적인 효과에 대해 확실하지 않으나 역학적인 근거로는 긍정적이다. 천연의 항산화 물질을 자연스럽게 섭취하는 방법으로서 차의 음용을 생활화하는 것은 퇴행성 또는 노화관련 질환의 예방차원에서 바람직하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s, fermented teas and other related common teas by examini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2,2 diphenyl l-picryl hydrazyl). Scavenging activity ($SC_{50}$/) of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for 0.1 m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 는 DPPH radical 소거능을 통하여 차잎의 수확 시기 및 발효정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에 있어서 변화를 비교하고 일상의 녹차 음용으로 섭취되는 항산화 물질을 EGCG 등의 함량으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우전과 같이 수확 시기가 빠른 것이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특히 볕가림 재배 .
  • 본 연구에서는 녹차의 수확시 기, 제조과정, 우려 내는 방법에 따른 녹차 속의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의 소거 능을 통하여 비교하고 녹차를 중심으로 시 판되고 있는 몇가지 차의 일상적인 음용을 통하여 섭취되어지는 항산화 물질의 섭취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Green tea I, green tea Ⅱ, ice green tea and rice green tea are products of the same company.
  • 1)Green tea samples of B product or green tea samples of S product were grown in the same region. All green tea samples were manufactured by steaming process.
  • 1)Kyokuro (okro) grown under complete shade.
  • 2)Values are average of three measurements.
  • 3)Kyokuro (okro) grown under complete shade.
  • 4)Values are average of three measureme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revisanato SI, Kim YI. 2000. Tea and health. Nutr Review 

  2. Shin MK. 1994. Green tea science. Korean J Dietary Culture 

  3. Shibata K, Moriyama M, Fukushima T, Miyazaki M, Une 

  4. Chung FL, Schwartz J, Herzog CR, Yang YM. 2003. Tea and cancer prevention: studies in animals and humans. J Nutr 133: 3268S-3274S. 

  5. Hodgson JM, Puddey IB, Burke V, Jordan N. 1999. Effects 

  6. van het Hof KH, Wiseman SA, Yang CS, Tijburg LB. 1999. 

  7. Kuttan R. 2002. Antidiabetic activity of green tea polyphenols 

  8. Hodgson JM, Puddey IB, Burke V, Beilin LJ, Mori TA, Chan 

  9. Feng Q, Torii Y, Uchida K, Nakamura Y, Hara Y, Osawa T. 2002. Black tea polyphenols, theaflavins, prevent cellular DNA damage by inhibiting oxidative stress and suppressing cytichrome p450 1A1 in cell culture. J Agric Food Chem 1: 213-220. 

  10. Sarkar S, Sett P, Chowdhury T, Ganguly DK. 2000. Effect of black tea on teeth.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18: 139-140. 

  11. Kim JW, Shin GH, Kim JH, Lim YS, Han JS, Choi HK. 

  12. Macrae R, Robinson RK, Sadler MJ. 1993. Tea. In Encyclopedia 

  13. Scarbert A, Williamson G. 2000. Dietary intake and bioavailability of polyphenols. J Nutr 130: 2073S-2085S. 

  14. Nah HH, Baik SO, Han SB, Bok JY. 1992. Improvements in analysis of tea catechins by HPLC. J Korean Agric Chem 35: 276-280. 

  15. Lee YJ, Ahn MS, Oh WT. 1998. A study on the catechin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ood Hygiene Safety 13: 370-376 

  16.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Technology 28: 25-30. 

  17. Choi SH, Lee BH, Choi HD. 1992. Analysis of catechin 

  18. Young JF, Nielsen SE, Haraldsdottir J, Daneshvar B, Dragstad 

  19. Rhodes MJC. 1996. Physiologically active compounds in 

  20. Lee JH, Kang YH, Kang JS. 2002. Free radical scaveng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