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폴리스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및 방사선 방어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oprotection of Two Flavonoids from Propol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2, 2005년, pp.162 - 166  

정일윤 (한국원자력 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프로폴리스에서 분리한 MDQ 및 quercetin의 작용기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방사선 조사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있어서 두 화합물이 어느 정도의 방어효과가 있는지를 측정 하고자 하였다. 두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시험(DPPH 라디칼 소거활성,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quercetin이 MDQ보다 훨씬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superoxide anion라디칼 소거활성 시험에서 MBQ는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quercetin은 농도 의존적인 강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또한, mouse 림프구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두 화합물의 방어효과 시험에서 MDQ와 Quercetin은 동일 농도에서 거의 유사한 방사선 방어효과가 관찰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두 화합물의 작용기를 고려해 볼 때 B ring에 있는 catechol작용기의 존재 유무에 따라서 항산화 활성의 차이가 있으며 또한 MDQ화합물의 C ring에 존재하는 methoxy group은 quercetin에 존재하는 hydroxy group과 비교해 볼 때 항산화를 비활성화시키는 작용기의 하나로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방사선 방어 효과는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메카니즘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아울러 일차적으로 항산화 활성 물질을 검색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에 대한 방어물질 검색 수단으로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프로폴리스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경감제로서 그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flavonoids, 7-O-methyl-3',4'-didehydroxy quercetin (MDQ) and quercetin, isolated from Chinese propolis, which is the generic name for the resinous substance collected by honeybees from various plant sources, were test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radiation-in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산 프로폴리스에서 7-O-methyl- 3" , 4, - di dehydroxy quercetin(MDQ) 과 quercetin-g- 분리하여 항산화 활성 (DPPH 라디 칼 소거 활성, 지 질과산화 억 제 활 성, superoxid anion 라디칼 소거활성)을 서로 비교검토한 후, comet assay를 이용한 단세포 전기영동(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을 실시하여 이들 화합물이 방사선 방어효 과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프로폴리스에서 분리한 MDQ 및 quercetin의 작용기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방사선 조사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있어서 두 화합물이 어느 정도의 방 어효과가 있는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두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시험①PPH 라디칼 소거활성,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quercetin0] MDQ 보다 훨씬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superoxide anion 라디 칼 소거 활성 시험 에서 MDQ는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지 만 quercetine 농도 의 존적 인 강한 소거 활성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Fridovich I. 1974. Superoxide radical and the bacterial action of phagocytes. J Med 290: 624-625 

  2. McCord JM. 1974. Free radical and inflammation: Protection of synovial fluid by superoxide dismutase. Science 185: 529-531 

  3. Fridovich I. 1978. The biolog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0 

  4. Lynch RE, Fridovich I. 1978. Effect of superoxide on erythrocyte membrane. J Biol Chem 253: 1838-1845 

  5. Freeman BA, Grapo JD. 1982. Biology of disease: free radicals and tissue injury. Lab Invest 47: 412-426 

  6. Fridovich I. 1986. Biological effects of the superoxide radical. Arch Biochem Biophys 247: 1-11 

  7. Wanscher B. 1976. Contact dermatitis from propolis. J Dermatol 94: 451-455 

  8. Havsteen B. 1983. Flavonoids, a class of natural products of high pharmacological potency. Biochemical Pharmacology 32: 1141-1148 

  9. Dobrowolski JW, Vohora SB, Sharma K, Shah SA, Naqvi SAH, Dandiya PC. 1991.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amoebic, antiinflammatory and antipyretic studies on propolis bee products. J Ethnopharmacol 35: 77-82 

  10. Frenkel K, Wei H, Bhimani R, Ye J, Zaduanisky JA, Huang M, Ferraro T, Conney AH, Grunberger D. 1993. Inhibition of tumor promoter-mediated processes in mouse skin and bovine lens by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ncer Res 53: 1255-1261 

  11. Pascual C, Gonzalez R, Toricella RG. 1994. Scavenging action of propolis extract against oxygen radicals. J Ethnopharmacol 41: 9-13 

  12. Tatefuji T, Izumi N, Ohta T, Arai S, Ikeda M, Kurimoto M. 1996.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ounds from Brazilian which enhance macrophage spreading and mobility. Biol Pharm Bull 19: 966-970 

  13. Lin S, Lin Y, Chen C, Chung C, Hsu S. 1977. The hepatoprotec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f propolis ethanol extract on chromic alcohol-induced liver injuries. Am J Chin Med 25: 325-332 

  14. Miyataka H, Nishiki M, Matsumoto H, Fujimoto T, Matsuka M, Satoh T. 1997. Evaluation of Brazilian and Chinese propolis by enzymatic and physico-chemical methods. Biol Pharm Bull 20: 496-501 

  15. Munstedt K. 2001. Proplis, current and future medical uses. American Bee J 141: 506-507 

  16. Sud'ina GF, Mirzoeva OK. 1993.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as a lipoxygenase inhibitor with antioxidant properties. FEBS 329: 2-24 

  17. Krol W, Scheller S, Czuba Z, Matsuno T, Zydowicz G. 1996. Inhibition of neutrophils' chemiluminescene by ethanol extracts of propolis and its phenolic components. J Ethnopharmacol 55: 19-25 

  18. Nardini M, Natella F, Gentili V, Maurizio C, Felice D. 1977. Effect of caffeic acid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rat. Arch Biochem Biophys 342: 157-160 

  19. Cizmarik J, Matel I. 1978. Study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propolis. Isolation and identificatio of 4-oxy-3-methoxycinnamic acid from propolis. In Propolis. Apimondia Publishing House, Bucharest, Romania. p 30 

  20. Vachalkova A, Novotny L, Solivajsova A, Suchy V. 1995. Polarographic behavior of flavonoids from propolis and their potential carcinogenity. Bioelectrochemistry and Bioenergetics 36: 137-143 

  21. Chung HY, Kim HB. 2000. In vitro studies in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the cytotoxic an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irteen kinds of herba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9-705 

  22. Singh NP, Stephens RE, Schneider EL. 1995. Induction of DNA single-strand breaks in human lymphocytes by low doses of ${\gamma}-ray$ . J Radiat Biol 66: 563-569 

  23. Fossen T, Pedersen A, Andersen OM. 1997. Flavonoids from red onion (Allium cepa). Phytochemistry 47: 281-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