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폴리스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Propol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2, 2010년, pp.1725 - 1730  

정창호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신창식 (뉴트렉스 테크놀로지 생명공학연구소) ,  배영일 (바이오 21 센터) ,  심기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프로폴리스를 기능성 식품 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지역에 따른 일반성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지방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조섬유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은 거창산 에탄올과 물 추출물, 제주산 에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각각 184.17, 316.19, 204.33 및 47.83 mg/g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거창산 물 추출물에서 총 페놀성 화합물이 가장 높았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FTC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거창산 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거창산 프로폴리스 물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바탕으로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potential use of propolis as a raw material in functional food, proximate composition, total phenolic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propolis extrac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Propolis had the highest level of crude fat and the lowest level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창과 제주 지역에서 생산되는 프로폴리스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항산화 활성 실험을 비교 조사하여 고부가가치 및 건강지향성 가공 식품 개발과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폴리스에 함유된 화학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고대 시대 이후의 사람들에게 민간의약품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의약품 및 화장품에도 응용가능성이 높은 매우 유용한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1,2). 프로폴리스에는 다양한 화학성분 즉, polyphenols(flavonoid aglycones, phenolic acid와 esters, phenolic aldehyde, alcohols 및 ketones), sesquiterpene, quinones, coumarins, steroids, amino acid 및 inorganic compound와 같은 160가지 이상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식물의 종과 지역적으로 매우 그 종류가 다양하다고 보고되어 있다(3,4). 또한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미 진행되어 항암, 항균,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염증, 항진균성, 항산화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 치료에도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란? 벌집에서 얻어지는 지용성 복합체인 프로폴리스는 꽃, 잎및 봉오리 등으로부터 수집하는 왁스 성분과 수지(resin) 물질을 꿀벌들이 모아 벌 자신의 침샘 분비물과 혼합하여 만드는 수지성, 점착성 및 고무상의 물질이다. 고대 시대 이후의 사람들에게 민간의약품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의약품 및 화장품에도 응용가능성이 높은 매우 유용한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1,2).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은 주로 어떤 물질에 의한 것인가? 또한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미 진행되어 항암, 항균,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염증, 항진균성, 항산화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 치료에도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프로폴리스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주된 이유는 cinnamic acid와 cafferic acids ester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5-9). 프로폴리스에는 유용한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일찍부터 동북부유럽 및 남미 등지에서는 오래 전부터 프로폴리스의 성분과 작용 등을 밝히려는 노력이 계속 진행되고 있었고, 국내에서도 프로폴리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Rubio OC, Cuella AC, Rojas N, Castro HV, Rastrelli L, 

  2. Marcucci MC. 1995. Propolis: chemic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activity. Apodologie 26:83-99. 

  3. Bonvehi JS, Coll FV, Jorda RE. 1994. The composition, active components bacteriostatic activity of propolis in dietetics. 

  4. Greenaway W, May J, Scaysbrook T, Whatley FR. 1990. 

  5. Kalogeropoulos N, Konteles SJ, Troullidou E, Mourtzinos 

  6. Banskota AH, Tezuka Y, Adnyana IK, Midorikawa K, 

  7. Dobrowolski JW, Vohora SB, Sharma K, Shah SA, Naqvi 

  8. Burdoc GA. 1998. Review of the biological properties and toxicity of bee propolis (propolis). Food Chem Toxicol 36: 347-363. 

  9. Gekker G, Hu S, Spivak M, Lokensgard JR, Peterson PK. 2005. Anti-HIV-1 activity of propolis in $CD4^+$ lymphocyte and microglial cell cultures. J Ethnophamacol 102: 158-163. 

  10. Lee HJ, Bae YI, Jeong CH, Shim KH.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7. 

  11. Choi YM, Noh DO, Cho SY, Suh HJ, Kim KM, Kim JM. 

  12. Jang IW, Park JS, Kwon HC, Jung MY, Choi DS. 2009. Antimutagen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Korean and American propol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94-699. 

  13. Kumazawa S, Hamasaka T, Nakayama T.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ropolis of various geographic origins. Food Chem 84: 329-339. 

  14.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5. Kim DO, Jeong SW, Lee CY. 2003. Antioxidant capacity 

  16. Blois MA.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7. Pellegrini N, Re R, Yang M, Rice-Evans CA.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18.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9. Liu L, Sun Y, Laura T, Liang X, Ye H, Zeng X. 2009. Determination of poly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udingcha made from Ilex kudingcha C.J. Tseng. Food Chem 112: 35-41. 

  20. Lee JY, Hwang WI, Lim ST. 2004.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organic extracts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roots. J Ethnopharmacol 93: 409-415. 

  21. Kim JT, Kim CJ, Cho YJ, Choi AJ, Shin WS. 2002. Characteristics of propolis extracts from ethanol extraction.Korean J Food Sci Technol 34: 941-946. 

  22. Boo HO, Lee HH, Lee JW, Hwang SJ, Park SU. 2009.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5-20. 

  23. Jeong CH, Bae YI, Lee HJ, Shim KH. 2003. Chemical components 

  24. Ahn MR, Kumazawa S, Usui Y, Kakamura J, Matsuka M, Zhu F, Nakayama T.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constituents of propolis collected in various areas of China. Food Chem 101: 1383-1392. 

  25. Moreira L, Dias LG, Pereira JA, Estevinho L. 2008. Antioxidant 

  26. Mohammadzadeh S, Sharriatpanahi M, Hamedi M, Amanzadeh 

  27. Yoshino M, Murakami K. 1998. Interaction of iron with polyphenolic compounds, applic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Anal Biochem 257: 40-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