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 중학생의 비만도와 영양지식, 영양섭취상태 및 혈액성상과의 상관성
Relation Between Obesity Indices and, Nutritional Knowledge Nutritional Status and Blood Parameters in Obese Middle-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2, 2005년, pp.181 - 189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현 (삼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윤신 (수원여자대학 식품과학부) ,  조혜경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부천시 보건소) ,  이보배 (부천시 보건소) ,  성미경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승정자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효과적인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부천시 보건소에서 개최한 청소년 캠프에 참여한 남녀 비만 중학생 총 42명 (남 28명, 여 14명)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 24시간 식사섭취조사, 혈액성상 분석 그리고 영양지식, 영양태도, 자아만족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비만도와 영양지식, 영양섭취상태 및 혈액성상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13.9세였으며,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지수, 허리엉덩이둘레 비, 체지방률은 남학생이 각각 75.5 kg, 29.1 kg/$m^2$, 30.1, 0.89, 33.3%이었고, 여학생이 각각 67.8 kg, 27.5 kg/$m^2$, 25.3,0.81, 34.6%이었다. 영양태도 점수(40점 만점)는 남학생이 30.3점, 여학생이 30.1점으로 남녀 모두 비교적 긍정적인 영양태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자아만족도(50점 만점)는 남학생이 34.7점, 여학생이 33.8점으로 자신에 대하여 보통수준 이상의 만족도를 가지고 있었다. 영양지식 점수(16점 만점)는 남학생이 12.7점, 여학생이 12.4점으로 유사한 영양지식 수준을 보였다. 열량 섭취량은 남학생이 2137.7kcal,여학생이 2059.7kcal로 권장량의 각각 85.5%와 98.1% 섭취수준을 보였다. 단백질은 권장량 대비 남학생 110.3%, 여학생 107.3%섭취 수준이었으며, 총 열량에 대한 당질, 단백질, 지질의 섭취비율은 남학생 57:14:29, 여학생 60:13:26으로 남녀학생 모두 총 열량에 대한 지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인, 비타민 B$_1$, B$_{6}$, E를 제외한 칼슘, 철, 아연, 비타민 A, B$_2$, C, 나이아신, 엽산 등 대부분의 미량 영양소 섭취량은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다. 혈청 COT, GPT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각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남녀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적혈구지수의 경우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MCHC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지수는 모두 수축기 혈압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p<0.05, p<0.05), 체지방률은 영양지식과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비만도와 영양소 섭취량과의 관계에서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지수는 콜레스테롤 섭취량과(p<0.01, p<0.05, p<0.05)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만도와 혈액성상과의 관계에서 체중은HDL-콜레스테롤과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p<0.05), 적혈구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과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각 p<0.05) 보였다. 체질량지수와 비만지수는 각각 HDL-콜레스테롤과는 부의 (각 P<0.05), 적혈구수와는 정의(각 p<0.05) 상관관계를 보였다. 허리엉덩이둘레비는 혈청 GPT, glucose, MCV와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각 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남녀 비만 중학생 모두 총 열량 섭취량 중 지질로 인한 열량 섭취비율이 높았고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콜레스테롤의 섭취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체지방률이 증가할수록 영양지식 점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중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여러 비만도 평가지표들은 혈액성상의 변화와도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비만 청소년만을 대상자로 하고 있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좀더 많은 대상자를 확보하고 정상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dices, nutritional knowledge,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some blood parameters in obese middle-school students. Anthropometric measurement, 24-hour recall for dietary intake, blood analysis and Questionnaire respon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천시 보건소에서 개최한 청소년 캠프에 참여한 남녀 비만 중학생 총 42명 (남 28명 , 여 14명 ) 을 대상으로 영양지식, 영양태도, 자아만족도 등에 대한 설문 조사와 24시간 식사섭 취조사 및 혈액성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비만 중학생에 있어 비 만도와 영양 지식, 영양 섭취상 태 및 혈액성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식사 지도 및 지침 마련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효과적인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부천시 보건소에서 개최한 청소년 캠프에 참여한 남녀 비만 중학생 총 42명(남 28명, 여 14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24시간 식 사섭취조사, 혈액성상 분석 그리고 영양지식, 영양태도, 자아만족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비만도와 영양지식, 영양섭취상태 및 혈액성상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ang YJ, Hong CH, Hong YJ. 1997.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over the last 18 years in Seoul area. Korean J Nutr 30: 832-839 

  2. Must A, Jacques P, Dallal G, Bajema C, Dietz WH. 1992. Long-term morbidity and mortality of overweight adolescent- a follow up of the Harvard Growth Study of 1935 to 1992. New Engl J Med 327: 1350-1355 

  3. Whitaker RC, Wright JA, Pepe MS, Seidel KD, Dietz WH. 1997. Predicting obesity in young adulthood from childhood and parental obesity. NEJM 337: 869-973 

  4. Guo S, Chumlea WC, Roche AF, Gardner JD, Sievogel RM. 1994. The predictive value of childhood body mass index values for overweight at age 35 y. Am J Clin Nutr 59: 810-819 

  5. Lee IY, Lee LH. 1986. Prevalence of obesity among adolescent girls in Seoul and its relationship to dietary intakes and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 Nutr 19: 41-51 

  6. Kang YL, Paik HY. 1988. A study on the etiology of childhood obesity. Korean J Nutr 21: 283-294 

  7. Nutrition Committee, Canadian Pediatric Society. 1983. Adolescent nutrition: 3 obesity. Can Med Assoc J 129: 549-551 

  8. Rames LK, Clark WR, Connor WE, Reiter MA, Lawer RM. 1978. Normal blood pressures and the evaluation in childhood the muscatine study. Pediatrics 61: 245-251 

  9. Mann GV. 1974. The influence of obesity on helath. New Engl J Med 291: 178-185 

  10. Seoul metropolitan board of education. 2000. Seoul education statistical annual reports-The actual conditions of physique of students 

  11. Perron M, Endres J. 1985. Knowledge, attitudes and dietary practices of female athletes. J Am Diet Assoc 85: 573-576 

  12. Sung CJ, Lee MS, Sung MK, Choi MK, Park DY, Lee YS, Kim MH. 2000. A study of obesity indices of Korean adolescents and related factors. Korean J Community Nutr 5: 411-418 

  13. Boren AR, Dixon PN, Reed DB. 1983. Measuring nutrition attitud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Am Diet Assoc 82: 251-253 

  14. Lee DH. 1992. Diagnosis & clinical manifestations in childhood obesity. J Korean Soc Study Obesity 1: 40-47 

  15. Korean pediatrics society. 1999. Standard groth charts of Korans childrean and adolescents in 1998 

  16. Korean Nutr Soc.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17. Kang YJ, Hong CH, Hong YJ. 1997.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over the last 18 years in Seoul area. Korean J Nutr 30: 832-839 

  18. Cho JE, Kim JH, Song KH.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s and the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Soc Food Nutr 23: 55-61 

  19. Kim MH, Lee YS, Lee DH, Park HS, Sung CJ. 2001. The study of relation among serum copper, zinc, leptin and lipids of middle-school gri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40-546 

  20. Schwartz NE. 1975.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high school graduates. J Am Diet Assoc 66: 28-31 

  21. Garner DM, Garfinkel PE, Schwartz D, Thomson M. 1980. Cultural expectations of thinness in women. Psychol Rep 47: 483-491 

  22. Ryu HK, Yoon JS. 1998. Relations of perception of obesity and experiences of weigh control and body image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202-209 

  23. Lee SW, Sung CJ, Kim AJ, Kim MH. 2000. A study on nutritional attitude,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nutrition knowledg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419-431 

  24. Kim YH, Jang HS. 1997. Indirect assessment of obesity and correlation between energy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91-299 

  25. An GS, Shin DS. 2001. A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adolescents between urban areas and islands in south Ky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271-281 

  26. Hong SM, Syo YE, Hwang HJ. 2003. Iron status and anemia of middle school girls in Ulsan metropolita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26-32 

  27. Lee JW, Lee MS, Son SM, Lee BS. 2001. Nutritional assessment. Kyomoonsa, Seoul. p 175 

  28. Choe YH, Choi Y, Kim JQ. 1995. Apolipoprotein A-I, apolipoprotein B, and lipoprotein (a) in elementary schoolchildren and a history of coronary of cerebral vascular events in their older family members. Korean J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5: 53-60 

  29. Kim DS, Lim IS. 1999. The study of the serum lipid profile & its complication in obese children. J Korean Soc Study Obesity 8: 210-217 

  30. Chung SK, Kim JA. 2002. The study of the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blood cholesterol in obese children.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6: 436-444 

  31. Sung CJ and 11 others. 2002. Clinical nutrition. Shinguang, Seoul. p 284 

  32. Authur H, Eldred G. 1977. Relative importnace of the effect of family environment and heredity on obesity. Ann Hum Genet 41: 185-193 

  33. Hausmann D, Johnson JA, Sudhir K, Mullen WL, Friedrich G, Fitzgerald PJ, Chou TM, Ports TA, Kane JP, Malloy MJ, Yock PG. 1996. Angiographically silent atherosclerosis detected by intravascular ultrasound in patients with amilial hypercholesterolemia and familial combined hyperlipidemia: correlation with high density lipoproteins. J Am Coll Cardiol 27: 1562-1570 

  34. Micozzi MS, Albanes D, Stevens RG. 1989. Relation of body size and composition to clinical biochemical and hemotologic indides in US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50: 1276-1281 

  35. Fricker J, Le Model G, Apfelbaum M. 1990. Obesity and iron status in menstruating women. Am J Clin Nutr 52: 863-866 

  36. Chandra RK. 1980. Immunodeficiency in undernutrition and overnutrition. Acta Pediatric Scand 69: 25-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