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식습관에 따른 비만도
The relations of the elderly's eating habits with their obes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8, 2015년, pp.5404 - 5412  

송혜영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 ,  박효은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식사의 횟수 및 아침 점심 저녁식사 유 무에 따른 복부 비만과 전신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인 65세 이상 노인 5,742명을 최종분석 하였다. 결 과: 노인의 식사 횟수와 성별, 흡연, 배우자의 유 무, 전신 비만, 복부 비만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녁식사를 한 경우에 비해 저녁식사를 안한 경우는 전신비만이 될 확률이 0.658배(OR=0.658, 95%CI=0.482-0.898) 낮았고, 세 끼 식사를 하는 경우가 한 끼, 두 끼를 하는 경우보다 전신비만이 될 확률이 0.771배(OR=0.771, 95%CI=0.65-0.913) 낮았다. 결 론: 본 연구는 노인의 식습관 유형에 따른 비만 특성을 파악함으로서 노인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에 대해 올바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accordance with the elderly's food consumption frequency and patterns. Methods: The source of this study was based on raw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자료를 활용하여만 65세 이상 노인들의 식습관을 파악한 후 전신 비만 및 복부 비만에 관련 영향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결과에 따라서 노인의 식생활 지도와 건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노년에 접어들면서 삶의 주기가 변화함에 따라 노화로 인한 체질 변화로 인해 노인의 건강 문제, 영양상태의 불균형으로 인해 노인 건강에 문제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노인 비만과 관련된 식습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식습관 유형에 따른 비만 특성을 파악함으로서 노인의 식습관 변화를 통해 노인 비만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노인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중재 방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또한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있는 노인들에게는 다소 어려운 칼로리 계산방법보다 스스로 중재가능하고 단순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자료를 활용하여만 65세 이상 노인들의 식습관을 파악한 후 전신 비만 및 복부 비만에 관련 영향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결과에 따라서 노인의 식생활 지도와 건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BMI는 근육과 지방의 비율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근육이 지방으로 대치되는 노인의 특징이 반영 되지 않으므로 비만이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허리둘레로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 5,742명의 대상자 중 식사 패턴에 따른 전신비만과 복부 비만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아침, 점심, 저녁 식사의 유무 및 세 끼 식사가 전신 비만 그리고 복부 비만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파악함으로서 그에 따른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중 만 65세 이상 노인 5,74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식사횟수에 따른 복부 비만 및 전신 비만, 아침·점심·저녁식사의 유무와 식사 횟수에 따른 복부 비만 및 전신 비만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 연구자료에 따라 65세 이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 복부 비만, 전신 비만의 식사의 횟수 및 아침·점심·저녁식사 유무에 따른 관련성을 알아보았고, 식사의 횟수 및 아침·점심·저녁식사의 유무에 따라 전신 비만 및 복부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라 노인의 건강증진 및 노인의 비만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총 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자 수는 얼마나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가?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과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노인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노인 문제가 하나의 사회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1].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총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0년 24.3%, 2050년 37.4%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이다 [2].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는 만성퇴행성 질환의 증가와 의료비 부담의 가중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와 건강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으며, 노인 건강 문제의 해결이 현대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3].
저녁식사 유 무에 따른 복부 비만과 전신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결과는? 방 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인 65세 이상 노인 5,742명을 최종분석 하였다. 결 과: 노인의 식사 횟수와 성별, 흡연, 배우자의 유 무, 전신 비만, 복부 비만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녁식사를 한 경우에 비해 저녁식사를 안한 경우는 전신비만이 될 확률이 0.658배(OR=0.658, 95%CI=0.482-0.898) 낮았고, 세 끼 식사를 하는 경우가 한 끼, 두 끼를 하는 경우보다 전신비만이 될 확률이 0.771배(OR=0.771, 95%CI=0.65-0.913) 낮았다. 결 론: 본 연구는 노인의 식습관 유형에 따른 비만 특성을 파악함으로서 노인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에 대해 올바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비만의 경우 최근 선진국뿐 아니라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도 그 유병율이 급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소득 수준의 향상 및 서구화 된 식생활 습관으로 인해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5]. 하지만 국내 연구에서 노인 비만 관련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며[6], 그나마 연구들이 일부 농촌지역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였거나[7], 저체중 영향 요인에 초점을 둔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을 뿐이다[8,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 S. Seo, "Health knowledge leve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2), pp.1-28, 2000.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Daejon: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3. H. S. Gweon,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reported Health",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5), pp.995-1008, 2009. DOI: http://dx.doi.org/10.5934/KJHE.2009.18.5.995 

  4. J. Y. Neo, S. Y. Kim, I. S. Kwan, H. S. Nam, "Effect of Arthritis and comorbid chronic conditions on health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6), pp.3751-3758,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6.3751 

  5. N. K. Bae, I. Kwon, Y. C. Cho, "Ten year change of body mass index in Korean:1997-2007",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8(1), pp.24-30, 2009. 

  6. J. H. Yeom, J. K. Kim, E. M. Im, "Factor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BMI) among older adults: A comparison study of the U.S., Japan, 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4), pp.1477-1498, 2009. 

  7. Y. H. Cho,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and status of body mass index in rural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4), pp. 897-912, 2007. 

  8. J. S. Kim, Y. H. Kim, J. O. Yu, "Factors contributing to low weight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4), pp.429-437, 2011.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1.22.4.429 

  9. Y. H. Jeo, "Factors related with low body weight in older adults at an urban-rural composite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4), pp.897-912, 2007. 

  10. M. J. Kang, H. J. Joung, J. H. Lim, Y. S. Lee, Y. J. Song. "Secular trend in dietary pattern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Nutrition, 44(1), pp.152-161, 2011. DOI: http://dx.doi.org/10.4163/kjn.2011.44.2.152 

  11. Y. J. Song, H. J. Young, H. Y. Park, "Socioeconomic, nutrient, and health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etary patterns in adult populations fro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Nutrition, 38(1), pp. 219-225, 2005. 

  12. Y. J. Song, H. Y. Park, H. J. Joung, "A comparison of cluster and factor analysis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Community Nutrition, 14, pp.722-733, 2009. 

  13. S. Y. You, Y. J. Song, H. J. Joung, H. Y. Park, "Dietary assessment using dietary patter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Nutrition, 37, pp.373-384, 2004. 

  14. E. S. Kim, S. K. Lee, H. J. You, H. M. Nam,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relative factors of old-old elderly of more than 75-year-ol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7), pp.4279-4289,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7.4279 

  15. J. K. Noe, "What is the Most Reliable Obesity Index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1(4), pp.236-244, 2012.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19. J. K. Kim, J. S. Im, J. Yim, S. H. Park, D. H. Ho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Adolescent Obesity in Incheo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6(2), pp.76-85, 2007. 

  20. M. A. Davis, "Living arrangements and dietary quality of older U.S. adults", Journal of American Association, 90(12), pp.1667-1672 , 1990. 

  21. J. V. White, R. J. Ham, D. A. Lipschitz, J. T. Dwyer, N. S. Wellman, "Concensus of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Risk factors and indicators of poor nutritional status in older Americans", Journal of American Association, 91(3), pp.783-787, 1991. 

  22. S. H. Hye, In. Sook. Lee, "Mass Index (BMI)-Related Factors of Community-Dwelling Elders: Comparison between Early and Late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health nursing, 24(1), pp.62-73, 2013. 

  23. D. W. Jung, Y. H. Cho, S. Y, Lee, "Evaluation, Co-morbidity and Management of Obesity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1(2), pp.77-83, 2012. DOI: http://dx.doi.org/10.7570/kjo.2012.21.2.77 

  24. Y. H. Chung, Y. H. Cho,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1), pp. 55-64, 2014. 

  25. M. S. Lee, S. Y. Lee, H. A. Kim, S. J. Jung, W. K. Kim, "Clinical nutrition", pp. 226, Powerbook, 2010. 

  26. S. J. Ahn, S. A. Kang,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s among the Korean elderly", Korean Journal Food Science, 15(1), pp.81-94, 1999. 

  27. A. W. Ha, H. S. Ryu, "Patterns of food habits and food intake by age: Base on the nutrition counseling data of medical health examination", Korean journal Food & nutrition, 23(4), pp.531-541, 2010. 

  28. P. J. Jones, C. A. Leitch, R. A. Perderson, "Meal frequency effects on plasma hormone concentrations and cholesterol synthesis in humans", American Journal Clinical Nutrition, 57(1), pp.868-874, 1993. 

  29. D. E. Groot, W. A, Stavem, J. A. Burema, "Survival beyond age 70 in relation to diet", Journal of Nutrition Review, 54(1), pp.211-219, 1996. 

  30. S. L. Kim, "The eldery obesity and nutri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6(3), pp. 363-368,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