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결건조에 의한 양파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Odor Components in Onion by Freeze-dry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2, 2005년, pp.230 - 235  

김준형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혜영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기미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병재 (조선대학교 응용과학과) ,  이성진 (조선대학교 응용과학과) ,  서유석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김경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DE추출방법과 GC/MS 분석에 의하여 동결건조한 양파의 휘발성 유기정분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생양파와 동결건조양파에서 각각40와31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ester류, aldehyde류, ketone류, alcohol류, 함황화합물류이었다. 함황화함물류들이 생양파와 동결건조 양파에서 주요 화합물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이 중 1-propanethiol과 dipropyl trisulfide, methyl propyl tirsulfide, dimethyl trisulfide는 생양파와 동결건조 양파에서 모두 다량 확인되었다. 생 양파에서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던 1-propanethiol, dipropyl trisulfide는 동결건조 양파에서 매우 감소되었고, methyl propyl trisulfide, methyl propyl disulfide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Methyl allyl sulfide, propyl ally sulfide, dially disulfide그리고 3,5-diethyl-1,2,4-trithiolane등의 함황화합물과 propanol, pentanol, hexanol 등의 alcohol류 등은 생양파에서 확인되었으나 동결건조 양파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양파의 건조과정 중 특징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의 구성변화와 특성의 손실 그리고 효소 불활정화로 인한 휘발성 성분의 불완전한 생성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결건조 양파에서 ethyl acetate, dimethyl disulfide와 2-methyl-2-pentenal은 생 양파에서보다 그 함량이 증가되었고, (Z)-propenyl methyl disulfide와 (E)-propenyl methyl disulfide 또한 동결건조 양파에서 증가되어 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atile organic components from fresh and freeze-dried onions were extracted by SDE apparatus and analyzed by GC/MS. Components of 40 and 31 were identified in fresh and freeze-dried onions respectively. These components included esters, aldehydes, ketones, alcohols and S-containing compounds. Maj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향신료 중 이용가치가 높은 양파를 대상으로 양파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동결건조에 의한 양파 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heo HJ. 1999. The antibacterial action of gar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4-99 

  2. Ma SJ. 2000.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95-400 

  3. Lee CJ, Kim HD, Choung EH, Suh JK, Park CW, Ha YL. 2000. Reduction effect of carcinogen-induced mouse epidermal and forestomach carcinogenesis by the extract of onion was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25-530 

  4. Rho SR, Han JH. 2000. Cytotoxicity of garlic and onion methanol extract o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870-874 

  5. Sheo HJ, Jung DL. 1997. The effects of onion juice on serum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64- 1172 

  6. Sheo HJ, Lim HJ, Jung DL. 1993. Effects of onion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 138-143 

  7. Block E, Putman D, Zhao SH. 1992. Allium chemistry: GCMS analysis of thiosulfinates and related compounds from onion, leek, scallion, shallot, chive and chinese chive. J Agric Food Chem 40: 2431-2438 

  8. Block E. 1992. The organosulfur chemistry of the genus Allium-Implications for the organic chemistry of sulfur. Angew Chem Int Ed Engl 31: 1135-1178 

  9. Cho HO, Kwon JH, Byun MW, Yang HS. 1983. Batch scale storage of sprouting foods by irradiation combined with natural low temperature-III. Storage of onions (3). J Korean Agric Chem Soc 26: 82-89 

  10. Lee WS. 1984. Studies on improvement of storability of onion bulbs. J Kor Soc Hort Sci 25: 227-232 

  11. Park NP, Choi EH, Byun KE. 1972. Studies on the storage of onions by radiation (1). Korean J Food Sci Technol 4: 84-89 

  12. Park NP, Choi EH, Kim SK, Kim YJ. 1974. Studies on the storage of onions by radiation (2). J Kor Soc Hort Sci 15: 163-167 

  13. Kim HK, Lee HC, Park MH, Shin DH. 1986. Effects of fumigation treatment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onion bulbs.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6-10 

  14. Kim HK, Lee HC, Park MH, Shin DH. 1986. Microflora of decayed onion bulbs and their suppression by fumigation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1-5 

  15. Kim MH, Kim BY. 1990. Effect of mild heat treatments prior to air dehydration of dried onions quality. Korean J Food Soc Technol 22: 539-542 

  16. Lee JY, Kang HA, Chang KS, Kim SS. 1995. Drying of onion and ginger using drying system controlled by microcomputer. Agric Chem Biotechnol 38: 78-82 

  17. Hong SS. 2000.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food stuff (beet) by freeze drying. J Ind Sci Tech Institute 14: 49-58 

  18. Lee MS, Choi HS. 1995.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mmelina communis L.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80-386 

  19. Lee MS, Cho HS. 1996.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apsella bursa-pastoris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14-821 

  20. Byun MH, Choi MJ, Lee S, Min SG. 1998. Influence of freezing rate on the aroma retention in a freeze drying system.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 176-184 

  21. Hanum T, Sinha NK, Guyer DE, Cash JN. 1995. Pyruvate and flavor development in macerated onion (Alliums cepa L.) by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and exogenous C-S lyase. Food Chemistry 54: 183-188 

  22. Bolenes M, De Valois PJ, Wobben HJ, Van der Gen A. 1971.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onion. J Agric Food Chem 19: 984-991 

  23. Park ER, Ko CN, Kim SH, Kim KS. 2001.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nents from fresh and decayed on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11-1020 

  24. Nikerson GB, Likens ST. 1966. Gas chromatography evidence for the occurrence of hop oil components in beer. J Chromatography 21: 1-5 

  25. Robert PA. 1995. Identification of essential oil component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Allured Publishing Corporation, IL, USA 

  26. Stehagen E, Abbrahansom S, Mclafferty FW. 1974. The Wiley/NBS registry of mass spectral data. John Wiley and Sons, NY, USA 

  27. Laboratories SR. 1986. The Sadtler standard gas chromatography retention index library. Sadtler, PA, USA 

  28. Ko YT, Kang JH. 2002. Changes of volatile odor components in Kimchi by freeze-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59-564 

  29. Shim KH, Choi JS, Joo OS, Kang KS. 1990. Volatile retention during freeze drying of fruit juices. J Korean Soc Food Nutr 19: 555-564 

  30. Flink JM, Karel M. 1970. Effect of process variables on retention of volatiles in freeze drying. J Food Sci 35: 444-448 

  31. Rulkens WH, Thijssen HA C. 1972. Retention of model aromas in freeze drying slabs of maltodextrin. J Food Technol 7: 95-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