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이를 통한 식품첨가물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 식용색소적색제2호, 적색제3호 및 적색제40호를 대상으로 -
Estimation of Daily Dietary Intake of Food Red Colors - Food Red No.2, No.3 and No. 40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1, 2005년, pp.75 - 80  

박성관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첨가물과) ,  이달수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첨가물과) ,  박승국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품의 종류, 연령에 따른 3종 식용적색타르색소의 소비실태를 파악하고 식이를 통왜 실제 섭취되는 색소의 총 섭취량을 조사하여 FAO/WHO에서 설정한 일일섭취허용량(ADI)과 비교검토함으로서 ADI 관련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실제 섭취fid과 ADI간 안전수준평가 및 관련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 중 빵, 과자, 사탕, 주류, 청량음료, 아이스크림, 껌, 초콜릿 등 총 8종 369품목의 시료를 수집 한 후 분석 대상식품별로 함량을 측정하고 국민영양조사자료에 근거하여 식품의 종류와 연령에 따른 색소별 실제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시료전처리 후 HPLC법에 따라 정성$.$정량분석을 행하였을 때, 분석 대상식품의 회수율은 85.1∼100.4%로 양호하였다. 분석 된 결과로부터 일일추정 섭취량(EDI)을 산출한 결과, 대상식품별 색소의 총 EDI는 0∼1.632 mg/person/day의 범위이었으며 청량음료에서 가장 높았고, 연령대별 색소의 총 EDI는 0.512∼7.281 mg/person/day의 범 위로 13∼19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국민영 양조사표의 식품별 1인1일당 섭취량과 색소별 평균검출농도로부터 EDI를 산출하였을 때, 3종의 식용적색타르색소별 총 EDI는 각각 R2 0.742, R3 0.391, R40 2.018 mg/person/day로 각 색소의 ADI를 국민평균체중 55 kg으로 환산한 5.S∼385 mg/person/day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식이를 통한 우리나라 국민의 식용적색타르색소별 일일 추정섭취량은 FAO/WHO에서 평가된 ADI의 0.5∼7.1%이었으며, 총 식용적색타르색소의 섭취량도 ADI 대비 약 0.8%로 식품을 통한 섭취는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amount of daily intake on three synthetic food red colors (Amaranth: R2, Erythrosine: R3, Allura Red: R40) in foods by Korean. Analysis of three synthetic food red colors was conducted by HPLC with the foods including bread, confection, candy, alcoholic b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토대로 차후 식품첨가물 기준.규격의 국제화를 위해 거론되고 있는 식용타르색소 사용기준의 사용량 설정시 과학적 근거의 확보와 식품첨가물 중 타르색소의 안전성 평가시 기초자료 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식품의 종류, 연령 에 따른 3종 식용적 색타르색 소의 소비실태를 파악하고 식이를 통해 실제 섭취되는 색소 의 총 섭취량을 조사하여 FAO/WHO에서 설정한 일일섭취 허용량(ADD과 비교검 토함으로서 ADI 관련 기초자료를 확 보하고, 실제 섭 취 량과 ADI간 안전수준평가 및 관련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 되고 있는 제품 중 빵, 과자, 사탕, 주류, 청량음료, 아이스크 림, 껌, 초콜릿 등 총 8종 369품목의 시료를 수집한 후 분석 대 상식 품별로 함량을 측정 하고 국민영 양조사자료에 근거 하여 식품의 종류와 연령에 따른 색소별 실제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허용된 식용타르색소 인 식용색소적색저】2호, 적색제3호, 적색제40호, 적색제102 호, 황색 저14호, 황색 제5호, 녹색 제3호, 청 색제1호, 청 색 제2호 및 그 알루미늄레이크(적색 제3호, 적색 제102호 제외) 등 9종(알루미늄레 이크 포함 16종)의 식 용타르색소(15) 중에서 식용색소적색2호, 3호 및 40호에 대해 식품의 종류별, 연령 별 소비 실태와 색소별 실제 섭취량을 파악하여 FAO/WHO 의 JECFA에서 설정한 ADI(일일허용섭취량)(16)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안전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차후 식품첨가물 기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Yoshio ITO. 1983. Actual daily intake of food additives in Japan. Food Sanitation Research 33: 55-73 

  2. Tsuji S, Yomota C, Shibata T, Isshiki K, Kamikura M, Nishijima M, Hayashi H, Fukasawa Y, Kuroda H, Goto M, Sakabe Y, Sasaki K, Ouchi K, Mishima Y, Oshiro Z, Moriguchi H, Uchiyama H, Shiro T, Ito Y. 1995. Daily intake of naturally occurring chemically synthesized food additives in Japan. J Food Hyg Soc Japan 36: 428-441 

  3. Yoshio ITO. 1987. Studies on actual daily intake of food additives in Japan. Food Sanitation Research 38: 41-61 

  4. Yoshio ITO. 1995. Daily intakes of food additives in Japan determination of food additives in food. Food Sanitation Research 45: 17-67 

  5. Tsuji S, Shibata T, Isshiki K, Kato T, Kamikura M, Nishijima M, Hayahsi H, Fukasawa Y, Kuroda H, Goto M, Sakabe Y, Sasaki K, Ouchi K, Moriguchi H, Uchiyama H, Shiro T, Ito Y. 1995. Daily intake of non-naturally occurring chemically synthesized food additives form the processed foods purchased in Japan. J Food Hyg Soc Japan 36: 93-101 

  6. Yoshio ITO. 1987. Studies on actual daily intake of food additives in Japan. Food Sanitation Research 38: 40-77 

  7. Shigeru T, Sumiko O, Akio Y, Shigeru M, Tsutomu N. 1982. Safety evaluation of the estimated daily intake of food additives. J Food Hyg Soc Japan 23: 1-20 

  8. Tomomi K, Tomoko Y, Yoshie T, Nastsuyo H, Yoshiko T, Miki F, Masanori S, Sumiko T, Tadashi S, Yosio I. 1995. Studies on daily intake of food coal-tar dye in Japan. J Food Chem Jpn 2: 64-68 

  9. Lee CW, Lee DS, Moon BS. 1985.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Kor J Food Hyg 4: 1-20 

  10. Kim KS, Lee CW, Lee TS, Lee YJ, Yoo SY, Kim YK, Lee JD, Moon BS, Shin MK. 1985. Study on intakes of food additives by Koreans (I)-on DHA, BHA and BHT-. Report of NIH Korea 22: 443-454 

  11. Kim KS, Lee CW, Lee TS, Lee YJ, Yoo SY, Kim YK, Kim KY, Kim CH, Moon BS. 1986. Study on intakes of food additives by Koreans (II)-on BA, SA and POB-esters-. Report of NIH Korea 23: 631-642 

  12. Kim KS, Lee CW, Lee TS, Lee YJ, Yoo SY, Kim YK, Kim KY, Hong KH, Kim HJ, Moon BS. 1987. Study on intakes of food additives by Koreans (III)-on propionic acid, nitrite and sulfites-. Report of NIH Korea 24: 719-732 

  13. Lee CW, Kim BS, Kwak IS, Lee CH, Park SK, Hou SY, Joo SK, Kang KM, Park JS, Kim KS. 1997. A study for intake of food additives in foods by total diet-artificial sweetener-. The Annual Report of KFDA 1: 67-74 

  14. Lee CH, Park SK, Yoon HJ, Park JS, Lee JO, Lee CW. 2000.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artificial sweetener and antioxidants in foods. Kor J Food Sci Technol 32: 519-524 

  1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8. Food Additives Code. Seoul, Korea. p 179-209 

  16. FAO, IPCS. 1994.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Food Additives (JECFA) 

  17. Lee JO, Kim SH, Yoon HJ, Lee CH, Park SK, Park JS, Jung YH, Chae SY, Kim EJ, Lee CW. 1999. Study for systematic analysis of synthetic color additives in foods (II). The Annual Report of KFDA 3: 129-148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8. Food Code. Seoul, Korea. p 58-61 

  19.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1995. Standard Method of Analysis for Hygienic Chemists. p 512-547 

  20. Tsuji S, Shibata T, Okamoto K, Takeda K, Fujiwara Y, Ito Y. 1995. Preparation of sample solution using pronase treatment for determination of food coal-tar dyes in foods. J Food Hyg Soc Japan 36: 68-76 

  21. Shin KH, Yi YH, Lee YJ, Lee HD. 1981. Study on food tar color by ion-pair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Report of NIH Korea 18: 277-381 

  22. Kojun T, Noriko I, Mitsuo A, Akihisa H. 1987. Rapid analysis of the food colors in food stuffs using polyamide. J Food Hyg Soc Japan 28: 473-479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