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소비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Consum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s by Age and Gen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3, 2016년, pp.437 - 444  

정현영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현재 식품표시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식품의 선택 및 구매가 가능한 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938명의 설문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73.8%가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항상 확인하는 비율은 9.8%에 해당하였다. 여성의 경우가 남성보다 확인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도 차이를 보였는데 40대에서 항상 확인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직업별로는 주부의 경우가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품표시에서 확인하는 내용으로는 전체 응답자의 60%가 식품의 유통기한을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하였으며, 그다음으로 첨가물, 영양표시, 가격, 브랜드, 중량 개수 순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 식품표시에서 확인하는 내용에 차이를 보였는데 50대의 경우에는 유통기한 확인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식품첨가물의 확인은 40대와 3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은 30대와 2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가격에 관한 확인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로 나타났다. 식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문항에 대해 '표시가 작고 복잡하다'의 비율이 50.3%로 가장 높았고, '식품표시를 이해하기 어렵다'와 '관심이 없다'의 비율이 각각 16.4%와 14.9%로 그다음 순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는 '표시가 작고 복잡하다'에 대한 50대의 상대적 응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식품표시를 이해하기 어렵다'에 대한 응답 비율은 20대와 30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품표시에 대한 인지도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절반 정도(51.7%)는 보통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잘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30.2%, '전혀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은 6.0%지만, '알고 있다' 10.1%, '잘 알고 있다'의 비율은 2.0%에 불과하였다. 식품표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9.9%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필요하다'의 비율은 24.5%로 응답하여 전체 응답자의 84.4%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의 경우가 식품표시에 대한 필요성을 남성보다 더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표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은 전체 응답자의 55.9%가 유통기한 및 제조연월일이라고 하였으며, 영양표시, 원산지, 식품첨가물이 그다음 순위로 응답하였다. 성별에 따라 식품표시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용이 차이가 있었는데 남성의 경우 식품표시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이 유통기한, 영양표시, 가격, 원산지, 제조회사, 식품첨가물, 내용량 순으로 나타났지만, 여성의 경우 유통기한, 영양표시, 원산지, 식품첨가물, 가격, 제조회사, 내용량 순으로 조사되어 남성의 경우에 가격과 제조회사에 대한 중요성에서 여성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식품표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2.96점으로 보통 수준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알고 싶은 정보가 식품표시에 있다'에 대한 문항의 점수는 3.01점으로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식품표시에 대한 이해 정도는 2.88점으로 보통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식품표시에 대한 신뢰도에서는 2.93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밑도는 점수로 평가되었다. 식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느냐는 문항에 대해서는 3.08점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ood label perception and utilization classified by age and sex.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938 male and female customers aged in their 20's to 50's from February 4th to March 30th 2014. Regarding checking food labels at the time of purchase, 73.8%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우리나라의 현행 식품표시를 소비자가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사용되는 식품표시를 어느 정도 이용하고 신뢰하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표시의 소비자의 실질적인 활용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현재의 식품표시 유용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식품표시가 소비자 중심으로 활용되어 국민 건강 및 식생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식품표시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품표시의 소비자의 실질적인 활용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현재의 식품표시 유용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식품표시가 소비자 중심으로 활용되어 국민 건강 및 식생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식품표시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labeling standard.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nutrition/content/view.do?contentKey22&menuKey143 (accessed Dec 2015). 

  2. Kong KB, Park HH, Lee YN, Lee KH. 2002. A study on evaluation of and improvements in the food labelling system as a communications medium. J Tourism Industry Information 3: 113-150. 

  3. Lee KI, Je CU. 2005. A study on the acts associated with Korean food labelling. Korean J Agric Manage Policy 32: 746-766. 

  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0. Guidebook on food labeling standards. 1st ed. Food Safety Policy Division, Seoul, Korea. p 3-91. 

  5. Lee JW, Kim DS. 2003. Recognition of processed foods may affect the use of food labeling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Korean Diet Assoc 9: 185-196. 

  6. Chang S. 1997. A study on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retailed in the supermarket in Korea. Korean J Nutr 30: 100-108. 

  7. Joo N, Yoon J, Kim O, Park S, Ko Y, Kim J. 2006.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emal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ing system. Korean J Food Culture 21: 209-215. 

  8. Chung J, Kim MJ. 2007.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s in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 417-425. 

  9. Lee HY, Kim MK. 2008. Dietary behavioral correlates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n women. Korean J Nutr 41: 839-850. 

  10. Lee JI, Kim JH, Jung IK. 2008. Perception and usage of food & nutrition labels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9: 559-568. 

  11. Kim MH, Choi MK, Kim MW, Jeon YS, Kim MS. 2010. The actual state of food purchasing behaviors regarding nutrition facts label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Korean J Food & Nutr 23: 492-500. 

  12. Goh EK, Park ES. 2010. Intake of processed food and perceptions of food label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Hum Ecol 19: 179-189. 

  13.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2: 519-533. 

  14. Kim YJ, Jeon ER, Yoo MJ, Jung LH. 2012.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ing syste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96-806. 

  15. Lee KA, Lee HJ, Park E. 2010. The effect of use of nutrition labelling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ith among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253-266. 

  16. Won HR, Yun HR. 2011.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for processed food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n food labeling syst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in Won Ju provinc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2: 379-393. 

  17. Yu KH, Kim MJ, Ly SY. 2012. A comparison of convenience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food habits: How female college students use nutrition labelings. Korean J Food & Nutr 25: 1-8. 

  18. Kim HS, Baik SJ, Lee KA. 1999. Consumers'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48-953. 

  19. Kim NY, Lee JS. 2009. A study on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by age in Busan resi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01-1810. 

  20. Chung HK, Kang JH, Lee HY. 2011. Usefulness, attitude for using and purchase intention on food labeling of housewives and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 86-97. 

  21. Choi MH, Youn SJ, Ahn YS, Seo KJ, Park KH, Kim GH. 2010. A surve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55-1564. 

  22. Park HR, Min YH, Jung HR.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II): Comparative perceptions of consumers, producers and government official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175-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