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과 낙동강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기후 특성: I. 유역평균 시계열의 변동
The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nthly Precipitation over Han- and Nakdong-river Basins: Part I. Variability of Area Averaged Time Serie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8 no.2 = no.151, 2005년, pp.111 - 119  

백희정 (기상연구소 기후연구실) ,  권원태 (기상연구소 기후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49년간 (1954-2002년) 한반도 기상 관측소 자료로부터 한강과 낙동강 유역의 유역평균 월강수량 시계열의 변동에 대한 기후특성을 분석하였다. 비록 두 유역의 연강수량의 크기는 차이가 있으나 월별 변동 특성은 매우 유사하였다. 특히 4월 유역평균 강수량은 감소 경향이 뚜렷하였고, 8월 유역평균 강수량은 증가 경향이 매우 뚜렷하였다. 또한 1970년 중반에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변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NINO3 지수와 한강과 낙동강 유역평균 월강수량 편차와의 동시상관분석으로부터 유역평균 9월 강수량은 NINO3 지수와 지속적인 음의 상관을 보였고, 11월 유역평균 강수량과는 양의 상관이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veraged monthly precipitation over the Han- and Nakdong-river basins were investigated.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monthly precipitation data from 51 meteorological stations for the period of 1954 to 2002. The magnitude of area averaged precipi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강 유역강수량의 월별 주기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 이 연구는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유역 평균강수량 예측의 선행 조건으로서 한반도내 가장 큰 유역에 해당하는 한강과 낙동강 유역에 대해서 49년 (1954-2002년) 동안의 월강수량 시계열의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티센 (Thiessen) 가중법을 이용하여 한반도 기상관측소 자료로부터 한강과 낙동강 유역에 대한 유역평균 월강수량을 산출하여 시계열의 변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인식 (1998). '엘니뇨와 한반도 기후변동의 관련성.'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4권, 제3호, pp. 390-396 

  2. 강인식, 백희정 (1993). '한반도 겨울철 월평균 기온의 장기예측.'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29권, 제3호, pp. 253-262 

  3. 강인식, 정영근 (1996). '서울 기온과 강수량의 경년 변동과 태평양 해수면온도의 주 변동모드와의 관련성.' 한국기상학회지, 제32권, 제3호, pp. 339-345 

  4. 고정웅 (2004).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수량 변동과 그 원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5. 박순웅, 안현주, 전영신 (1988). '1985년 장마기간에 동부 아세아 지역의 대기순환의 변화.'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24권, 제3호, pp. 168-191 

  6. 박정규, 이승만 (1993). '연강수량에 의한 남한의 강수지역구분,'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29권, 제2호, pp. 117-126 

  7. 박종영, 이정식, 이재준, 전병국 (2001). 'GIS를 이용한 중소하천 유역에서의 유역평균강우량 산정방법의 비교 - 위천유역을 중심으로 -.' 2001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 194-199 

  8. 박준일 (1995). '남강댐유역에 있어서 강우분포의 변화.' 한국수자원학회지, 제28권, 제1호, pp. 91-106 

  9. 백희정, 권원태 (1999)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강력한 태풍의 기후학적 특성.' 1999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177-182 

  10. 오현택, 권원태, 이우성 (2003). '엘니뇨 발달시 한반도 9월 강수량 변동.' 대기지, 한국기상학회, 제13권, 제1호, pp. 314-317 

  11. 윤원태, 박정규, 이재원, 이현수, 민승기 (2001), '1998년 여름철 한반도 집중호우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7권, 제2호, pp. 181-194 

  12. 이동규, 박정균 (1999). '군집 분석을 이용한 남한의 여름철 강수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5권, 제4호, pp. 511-518 

  13. 이동규 (1991). '한반도 강우와 관련된 동아시아 몬순 순환의 특징.'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27권, 제3호, pp. 205-219 

  14. 이동률, 정상만 (1992). '한강유역 강우의 시 . 공간적 특성.'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5권, 제4호, pp. 75-85 

  15. 이원환 (1972). '우리나라 주요지점에 있어서의 강우해석에 관한 수문통계학적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5권, 제2호, pp. 30-43 

  16. 이재준, 손광익 (1981). '강수빈도 및 강우강도의 시공적 분포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14권, 제4호, pp. 53-72 

  17. 차은정, 전종갑, 정효상 (1999). '엘니뇨/라니냐 해의 우리 나라 기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5권, 제1호, pp. 98-117 

  18. 허창회 (1988). '한국지역 강수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 Barlow, M., Nigam, S., and Berbery, E. H. (2001). 'ENSO, Pacific decadal variability, and U.S. summertime precipitation, drought, and streamflow.' Journal of Climate, Vol. 14, No. 9, pp. 2105-2126 

  20. Latif, M. and Barnet, T. P. (1994). 'Causes of decadal climate variability over the North Pacific and North America.' Science, Vol. 266, pp. 634-637 

  21. Lau, K.-M. and Weng, H.-Y. (1995). 'Climate Signal Detection Using Wavelet Transform: How to Make a Time Series Sing.' Bull. Amer. Meteor. Soc., Vol. 76, No. 12, pp. 2391-2402 

  22. Rayner, N.A., Parker, D.E., Horton, E.B., Folland, C.K., Alexander, L.V., Rowell, D.P., Kent, E.C., and Kaplan, A. (2003), 'Global analyses of SST, sea ice and night marine air temperature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8, No. D14, 4407, paper No. 10.1029/2002JD002670 

  23. Singh, N., Baek, S.-K. and Kwon, W.-T. (2002). 'Seasonal/Subseasonal Rainfall Prediction Through Time Series Modelling and Extrapolation Using Harmonic Analysis.' Korean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5, No. 2, pp. 131-145 

  24. Torrence, C. and Compo, G.P. (1998). 'A Practical Guide to Wavelet Analysis.' Bull. Amer. Meteor. Soc., Vol. 79, No. 1, pp. 61-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