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표홍수 빈도곡선의 개발에 의한 미 계측지점의 확률 홍수량 추정
An Estimation of Flood Quantiles at Ungauged Locations by Index Flood Frequency Curve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8 no.1 = no.150, 2005년, pp.1 - 9  

윤용남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신창건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장수형 (고려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표홍수 빈도곡선을 개발하여 미계측 지점에서의 확률 홍수량을 추정해 보았다. 홍수빈도 분석은 한강유역의 9개 지점에 대하여 연최대치 홍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홍수빈도 곡선을 작성한 후 각 지점별 연평균홍수량( $Q_{2.33}$)을 결정하였고, 각 지점별 재현기간에 따른 연평균 홍수량에 대한 비를 산정 후 평균하였다. 그 결과 재현기간별로 다른 홍수량비가 산정되었다. 연평균 홍수량과 유역의 지형인자와의 상관 분석을 통해 다중선형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미계측 지점의 확률 홍수량은 그 지점의 유역면적과 하상경사를 이용하여 경험식에 의해 연평균 홍수량을 산정 한 후 재현기간에 따른 홍수량비를 곱하여 산정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하여 하천정비 기본계획에 수록되어 있는 재현기간별 확률홍수량과 비교한 결과 유역면적 2,000k $m^2$ 이하의 유역에서는 유사한 값을 모의 할 수 있었다. 기존 강우-유출 해석을 기반으로 한 설계 홍수량 추정 방법에의 적용은 재평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수문자료와 강우-유출모형은 많은 불확실성이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shows the possible use of the index flood frequency curves for an estimation of flood quantiles at ungauged locations. Flood frequency analysis were made for the annual maximum flood data series at 9 available stations in the Han river basin. From the flood frquency curve at each stati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로 모든 변수가 다 들어간 모형 의 결정계수는 다른 어떤 모형 의 결정계수보다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정계수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인 수정 결정 계수를 이용하여 최적 회귀식을 선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큰 하천유역내의 지류하천유역에 대한 확률 홍수량을 강우-유출관계 모형에 의하지 않고 실제로 관측된 홍수량 자료계열의 지역빈도 분석 결과와 지표홍수량과 유역특성인자간의 관계식을 연계하여 추정하는 방법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강 유역내 홍수량 실측지점의 연최 대 홍수량 자료 계열을 빈도 분석하여 지표홍수빈도 곡선을 작성하고, 연평균 홍수량과 유역 특성인자간의 상관관계식을 유도하여 미계측 지점의 연평균 홍수량을 기준으로 하여 확률 홍수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코져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계열자료의 신뢰도는 높지만 미 계측유역이 많아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지표홍수 빈도 곡선을 이용할 경우 미계측 유역에서의 확률홍수 량 추정이 효율적이라 판단하여 한강유역을 대상유역으 로 하였다. 또한, 홍수량계측지점은 자료의 보유년수, 결측 등 전반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한강수계 소양강댐, 충주댐, 영춘, 영월2, 거운, 방림, 하반정, 문막, 괴산댐 9 개 관측지점을 채택하였다.
  • 40子이하이거나 6%57.3㎞2인 유역에 적용하게될 경우 외삽이 되어 신 뢰성이 상당히 떨어질 것으로 판단되며, 신뢰성을 감안 하면 소하천 유역의 경우도 유역면적이 lOOkn?이상인 유역에 적용하는 것을 추천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지역 빈도 해석의 기본 가정은 유역 내 여러 지점들의 자료가 동일한 분포형을 갖는다는 것으로 유역의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Dalrymple, I96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건교부 (2003). 하천정비 기본계획수립 및 하천정비대장 작성 지침 

  2. 김남원 (1997). '미계측유역의 확률홍수량 산정을 위한 동력학적 홍수빈도모형개발',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3. 김창남 (1991). '확률홍수량 산정을 위한 지역빈도분석',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4. 노재식 (1992). '하천 홍수량 크기 및 빈도 결정', 대한 토목학회 논문집, Vol. 12(2), pp.141-150 

  5. Darymple, T. (1960). Flood-frequency analyses, U. S. Geol. Surv. Water Supply paper. 1543A 

  6. Hosking, J.R. M., Wallis, J.R., and Wood, E.F. (1985). 'Estimation of the Generalized Extreme-Value Distribution by the Method of Probability-Weighted Moments'. Technometrics, 27: pp. 251-261 

  7. Lettenmaier, D.P., Potter, K.W. (1985). 'Testing Flood Frequency estimation methods using a regional flood generation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1(2), pp. 1903-1914 

  8. Lettenmaier, D.P., Wallis, J.R., and Wood, E.F. (1987). Effect of Regional Heterogeneity on Flood Frequency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23(2), pp.313-323 

  9. Linslev, R.K., Kohler, M.A., and Paulhus, J.L., (1982). Hydrology for engineers. New York, McGraw-Hill, pp. 508 

  10. Mallow, C.L. (1973). Some comments on Cp, Technometrics 15, pp. 661-675 

  11. Pierre Javelle, Taha B.M.J. Ouarda, Michel Lang, Bernard Bobee, Gilles Galea and Jean-Michel Gresillon, (2002). 'Development of regional flood-duration-frequency curves based on the index-flood method', Journal of Hydrology, Vol.258(1-4), pp. 249-259 

  12. T.R. Kjeldsen, J.C. Smithers and R.E. Schulze, (2002).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in the KwaZulu-Natal province, South Africa, using the index-flood method', Jouranl of Hydrology, Vol.255(1-4), pp. 194-211 

  13. Viessman, W. and G.L. Lewis, (1996). Introduction to Hydrology, Fourth Edition.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New York, NY, pp. 7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