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면적비를 적용한 미계측유역에서의 설계홍수량 산정방안
Estimation of Design Flood Discharge by Areal Ratio for Ungauged Basin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3, 2017년, pp.335 - 344  

이지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 ,  박재범 ((주) 다온솔루션) ,  송양호 (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전환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 ,  이정호 (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안으로 유역의 면적비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유역출구에서의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유출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면적비를 적용하여 첨두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위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 소하천 유역의 관측유량 및 하천정비종합계획의 설계홍수량과의 비교를 통해 면적비 전이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면적비를 적용한 유출량과 관측유량자료를 비교한 결과 14~25%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제안된 방법론의 타당성을 재확인하기 위해 하천정비종합계획에서 산정된 첨두유량과 소유역과의 면적비로 계산한 첨두유량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31개소의 소하천을 대상으로 설계홍수량을 비교한 결과, 20% 정도의 홍수량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면적비를 적용한 미계측지역에서의 첨두유량 산정방법론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to estimate the design flood by area ratio in an ungauged basin. For that, the discharge parameters was determined by calibration of observed data at the watershed outlet and then peak flow was estimated by area ratio. In order to verify suggested method, peak f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면적비를 이용하여 첨두홍수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소하천의 설계홍수량은 유역면적 대비 대하천보다 차이가 크다.
  •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안으로 유역의 면적비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유역출구에서의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유출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면적비를 적용하여 첨두홍수량을 산정하였다.
  • 따라서 면적비를 적용한 미계측지역에서의 첨두유량 산정방법론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경험식을 통해 결정된 소하천의 설계홍수량을 검증하는데 있다. 제안된 방법론은 기존 설계홍수량 산정기법에 비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홍수량을 추정할 수 있다.
  • 하천정비종합계획에서는 설계강우량, 설계홍수량, 설계홍수위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절에서는 하천정비종합계획에서 제시된 첨두홍수량을 활용하여 면적비를 적용한 첨두홍수량과의 비교를 통해 면적비 전이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 10)가 된다. 이는 비유량의 개념과 유사하며 본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송곡천유역에의 실제 유량관측 자료와 하천정비종합계획의 설계홍수량과의 비교를 통해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하는 방안으로 유역의 면적비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유역출구에서의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유출매개변수를 결정하고 면적비를 적용하여 첨두홍수량을 산정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나 송곡천 유역의 경우 유역면적과 하천연장이 작아 지방하천보다는 소하천에 가깝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송곡천 유역을 소하천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의 설계홍수량은 어떠한 방법을 통해 산정되는가? 국내에서의 설계홍수량은 주로 강우빈도 해석을 통해 설계강우량을 산정하고,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를 Clark 유역추적법에 적용하여 설계홍수량을 결정한다. 설계홍수량 산정은 치수구조물의 규모를 결정하는 가장 기초가 되는 분석과정이지만 국내의 경우 산정된 설계홍수량의 신뢰도 검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미계측 지역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첨두유출량을 간접적으로 산정하는가? 이러한 미계측 유역에서 적용되는 일반적인 설계방법은 유역내 다른 지점 또는 유사한 다른 유역에서 얻은 성과를 토대로 단위유량도를 합성하거나 아니면 유역 내 다른 지점에 대해 유출해석하고 이를 대상지점에 대한 근삿값으로 전이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계측 지역에서는 지역분석(regional analysis) 또는 경험적인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등을 통해 첨두유출량을 간접적으로 산정한다(Lee, 2011). 합성단위도를 적용하는 경우는 Clark 단위도법이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다(Jung, 2005).
설계홍수량 산정시의 불확실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이 과정에서 추정된 설계홍수량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불확실성으로는 적절한 확률론적 모형 선택의 어려움(Mitosek et al., 2006; Laio et al., 2009), 유출모형의 매개변수 불확실성(Martins and Stedinger, 2000; Griffis and Stedinger, 2007), 수문자료의 불확실성(Baldassarre et al., 2012)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ldassarre, GD, Laio, F and Montanari, A. (2012) Effect of observation errors on the uncertainty of design flood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42(44), pp. 85-90. 

  2. Boyd, MJ. (1978) A storage-routing model relating drainage basin hydrology and geomorphology, Water Resources Research, 14(5), pp. 921-928. 

  3. Griffis, VW and Stedinger, JR. (2007) Log-Pearson type 3 distribution and its application in flood frequency analysis. II: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J. of Hydrologic Engineering, 12(5), pp. 492-500. 

  4. Jain, SK, Singh, RD and Seth, SM. (2000) Design flood estimation using GIS supported GIUH approach, Water Resources Management, 14(5), pp. 369-376. 

  5. Jakob, M and Jordan, P. (2001) Design flood estimates in mountain streams the need for a geomorphic approach, Canadian J. of Civil Engineering, 28(3), pp. 425-439. 

  6. Jun, HD and Lee, JH. (2013) A methodology for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observed water level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J.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6), pp. 367-374. [Korean Literature] 

  7. Jung, SW. (2005) Development of empirical formulas for the parameter estimation of Clark's watershed flood routing model,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8. Kim, JG, Kang, BS and Yoon, BM. (2014) Analysis of Intensity-Duration-Quantity (IDQ) curve for designing flood,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1), pp. 83-93. [Korean Literature] 

  9. Kim, MH, Ceon, IK and Chung M. (2016) The regression model's independent variables importance decision for the design flood estimation,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17(4), pp. 378-391. [Korean Literature] 

  10. Kim, SH, Ahn, SR, Jang, CH and Kim, SJ. (2013) Applicability test of UK design flood estimation model FEH-ReFH to Korean Namcheon watershed, J.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 pp. 68-80. [Korean Literature] 

  11. KWRA (2009) River design standard and commentary,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n Literature] 

  12. Kwon, KD, Lee, JH, Kang, MJ and Jee, HK. (2014) Effect of estimation for time of concentration on the design flood, J. of Wetlands Research, 16(1), pp. 125-137. [Korean Literature] 

  13. Laio, F, Di Baldassarre, G and Montanari, A. (2009) Model selection techniques for the frequency analysis of hydrological extremes, Water Resources Research, 45, doi:10.1029/2007WR006666 

  14. Lee, JH. (2011) Analysis for basin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through theoretical characteristic and development of empirical formulas,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15. Martins, ES and Stedinger, JR. (2000) Generalized maximum likelihood generalized extreme-value quantile estimators for hydrologic data, Water Resources Research, 36(3), pp. 737-744. 

  16. Mitosek, HT, Strupczewski, WG and Singh, VP. (2006) Three procedures for selection of annual flood peak distribution, J. of Hydrology, 323(1-4), pp. 57-73. 

  17. Oh, KD, Lee, SC, Ahn, WS, Ryu, YH and Lee, JH. (2010) A Study on Design Flood Analysis Using Moving Storms,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2), pp. 167-185. [Korean Literature] 

  18. Pilgrim, DH. (1966) Radioactive tracing of storm runoff on a small catchment: II. Discussion of results, J. of Hydrology, 4, pp. 306-326. 

  19. Pilgrim, DH. (1976) Travel times and nonlinearity of fold runoff from tracer measurements on a small watershed, Water Resources Research, 12(3), pp. 587-595. 

  20. Rogger, M, Kohl, B, Pirkl, H, Viglione, A, Komma, J, Kirnbauer, R, Merz, R and Bloschl, G. (2012) Runoff models and flood frequency statistics for design flood estimation in Austria. Do they tell a consistent story, J. of Hydrology, 456-457(16), pp. 30-43. 

  21. Sabol GV. (1988) Clark unit hydrograph and R-parameter estimation, J.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114(1), pp. 103-111. 

  22. Singh, VP. (1992) Elementary hydrology,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23. Stedinger, JR, Vogel, RM and Foufula-Georgiou, E. (1992)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events, Handbook of Hydrology, McGraw-Hill, New York(Chapter 18). 

  24. Tofiq, FA and Guven, A. (2014) Prediction of design flood discharge by statistical downscaling and general circulation models, J. of Hydrology, 517(19), pp. 1145-1153. 

  25. Yi, JE and Lee, TG. (2013) Development of design flood estimation system for mountainous river basin using fuzzy regression method, J.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6), pp. 343-350. [Korean Literature] 

  26. Yoon, SY and Hong, IP. (1995) Improvement of the parameter estimating method for the Clark model, J.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15(2), pp. 1287-1300.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