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두하악장애 치료결과의 예측에서 사회심리학적 요인의 영향
Socio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Prediction of Treatment Outcome of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0 no.4 = no.61, 2005년, pp.433 - 446  

여인식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및 원광치의학연구소) ,  한경수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및 원광치의학연구소) ,  김윤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및 원광치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초진 시 주소의 심한 정도와 임상적 진찰소견의 상이함, 그리고 설문지를 이용한 사회심리학적 상태의 차이 등이 향후 진행되는 치료과정을 통해 증상의 실제 감소정도와 그에 소요되는 치료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측두하악장애 환자 268명을 대상으로 최대개구량, 수평피개량, 수직피개량, 촉진점수, 전치부 개교합, 수조작시 턱의 뻣뻣함(rigidity), 그리고 하악운동시 운동의 부조화(jerk)나 개구제한 등을 조사하고, 대상자의 사회심리학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회재적응평가척도(SRRS), 병원불안우울척도(HAD scale), 피츠버그 수면지수(PSQI), 그리고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등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증상변화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적 평가를 관찰하기 위하여 가시상사척도(VAS)를 이용하였다. 조사된 치료기간은 내원한 전 기간인 전체 치료기간(total treatment duration)과 증상이 실제로 경감된 활동적 치료기간(active symptom relieving duration)이며, 활동적 치료기간은 치료지수(treatment index, TI)의 산출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임상적 진찰 및 설문지 조사를 통해 분석된 40여 항목 중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인 항목은 최대개구량, 촉진점수, 하악운동시 턱의 부조화, 수면장애, 전체 치료기간 등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설문지 조사항목에서 그 차이가 더 적었다. 또한 전체 대상자에서 간이정신진단검사의 각 항목척도와 다른 설문지의 총점 간 상관관계를 상호 비교할 때 사회재적응평가척도나 피츠버그 수면지수에 비해 병원불안우울척도의 총점이 더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2. 각 주소증상 별로 치료지수에 따라 세 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통증의 경우 치료지수가 낮거나 중간인 군이 높은 군에 비해 치료개시 시점의 통증은 심했으나 종료시점에서는 오히려 더 약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양상은 기능장애와 관절잡음을 주소로 한 경우에서도 유사하여 치료지수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에 비해 치료개시 당시의 증상은 심했으나 종료 시에는 오히려 낮아진 양상을 보였다. 활동적 치료기간 역시 치료지수가 낮은 군에서 중간이나 높은 지수의 군에 비해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증상이 경감되는 활동적 치료기간을 예측한 회귀방정식의 산출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최대개구량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 모두 대상자가 스스로 기록하는 가시상사척도상의 주관적 증상의 정도 및 설문지, 특히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척도항목으로 밝혀져 측두하악장애의 치료결과에는 각 개인의 사회심리학적 상태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the course of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to develop models for prediction of treatment outcome related to pain, dysfunction and sound. For this study, 268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초진 시 주소의 심한 정도와 임상적 진찰소견의 상이함, 그리고 설문지를 이용한 사회심리학적 상태의 차이 등이 향후 진행되는 치료과정을 통해 증상의 실제 감소정도와 그에 소요되는 치료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Orsini MG, Kuboki T, Terada S, Matsuka Y, Yatani H, Yamashita A. Clinical Predictability of tempromandibular joint disc displacement. J Dent Res, 1999;78:650-660 

  2. Dworkin SF, LeResche L.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Cranio, 1992;6:301-355 

  3. Clark GT, Delcanho RE, Goulet JP. The utility and validity of current diagnostic procedures for defin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Adv Dent Res, 1993;7:97-112 

  4. Fricton JR, Schiffman EL. Reliability of a craniomandibular index. J Dent Res, 1986;65:1359-1364 

  5. Carlsson CR. Epidemiology and treatment need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ofac Pain, 1999;13: 232-237 

  6. Moulin C. From bite to mind: a personal and literature review. Int J Prosthodont, 1999;12:279-288 

  7. Callahan CD. Stress, coping and personality hardines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ehabil Psychol, 2000;45:38-48 

  8. Michelotti A. Martina R, Russo M, Ramos R.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using MMPI. Cranio, 1998;16:119- 125 

  9. Suvinen TI, Reade PC, Sunden B, Gerschman JA, Koukounas 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rt II: a comparison of psychologic profiles in Australian and Finnish patients. J Orofac Pain, 1997;11:147-157 

  10. Ferrando M, Andreu Y, Jose Galdon M, Dura E, Poveda R, Vincente Bagan J.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istress, coping, and personalit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4;98:153-160 

  11. List T, Wahlund K, Larsson B.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dental factors in adolesc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case control study. J Orofac Pain, 2001; 15: 218-227 

  12. Ciancaglini R, Gherlone EF, Radaelli G. The relationship of bruxism with craniofacial pain and symptoms from the masticatory system in the adult population. J Oral Rehabil, 2001; 28: 842-848 

  13.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dibular disorders. 5ed, Singapore, 2003, Elsevier, 320-330 

  14. Suvinen TI, Hanes KR, Reade PC. Outcome of therapy in the conservative management of temporomadibular pain dysfunction disorder. J Oral Rehabil, 1997;24:718-724 

  15. Feinmann C. The long-term outcome of facial pain treatment. J Psychomat Res, 1993;37:381-387 

  16. De Leeuw JRJ, Steenks MH, Ros WJG, Lozzezoo- Scholte AM, Bosman F, Winnubst JAM. Assessment of treatment outcome in patients with craniomandibular dysfunction, J Oral Rehabil, 1994;21:655-666 

  17. Turk DC, Zaki HS, Rudy TE. Effects of intraoral appliance and biofeedback/stress management alone and in combination in treating pain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pain. J Prosthet Dent, 1993;70:158-164 

  18. Turp JC, Komine F, Hugger A. Efficacy of stabilization splint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Clin Oral Invest, 2004;8:179-195 

  19. Anastassaki A, Magnusson T. Patients referred to a specialist clinic because of suspecte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survey of 3194 patients in respect of diagnosis, treatments, and treament outcome. Acta Odontol Scand, 2004;62:183-192 

  20. Alan G. Glaros, Karen Williams, Leonard Lausten. The role of parafunctions, emotions and stess in predicting facial pain. J Am Dent Assoc, 2005;156: 451-458 

  21. Dworkin SF. Perspective on the interaction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in TMD. J Am Dent Assoc, 1994;125:856-863 

  22. Funch DP, Gale EN. Predicting treatment completion in a behavioural therapy program for chronic temporomandibular pain. J Psychomat Res, 1986;30:57-62 

  23. Gerke DC, Goss AN.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of treatment for temporomandibualr joint dysfunction. Cranio, 1988;6:165-175 

  24. Roberts C, Katzberg RW, Tallents RH, Espeland MA, Handelman SL. The clinical predictability of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1;71:412-414 

  25. Epker J, Gatchel RJ, Ellis E. A model for predicting chronic TMD: practical application in clinical settings. J Am Dent Assoc, 1999;130:1470-1475 

  26. Garofalo JP, Gatchel RJ, Wesley AL, Ellis E. Predicting chronicity in acute temporomandibulr joint disorders using the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J Am Dent Assoc, 1998;129:438-447 

  27. Holmes TH, Rahe RH, The social adjustment rating scale. J Psychomat Res, 1967;11:213-218 

  28.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 Scandina, 1983;67: 361-370 

  29. Buysse DJ, Reynold CF III, Monk TH.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8;28: 193-213 

  30. Derogatis LR. SCL-90(revised) Manual I. Baltimore,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77 

  31. 박철기, 한경수. 생활변화가 측두하악기능장애와 치료과정에 끼치는 영향.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2;17:51-60 

  32. 오희영, 한경수.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임상양태와 치료결과와의 관계.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5;20:407-420 

  33. Miller VJ, Karic VV, Myers SL, Bodner L. Following treatment of myogenous TMD patients with the temporomandibular opening index: an initial report. J Oral Rehabil, 2003;30:668-670 

  34. 김종영, 한경수, 정대연, 이상찬. 측두하악장애의 통증치료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 구강내과학회지, 2002;27:77-87 

  35. Greene C. The etiolog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mplications for treatment. J Orofac Pain., 2001;15:93-105 

  36. Okeson JP. Occlusion and functional disorders of the masticatory system. Dent Clin North Am, 1995;39: 285-300 

  37. Hellsing, E. Increased overbite and craniomandibular disorders - A clinical approach.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0;98:516 

  38. 이정현, 한경수, 정승아.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두통과 근압통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 학회지, 2003;28:65-75 

  39. 이유미, 한경수. 측두하악장애에서 교합요인과 생활변화의 영향.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4;19: 181-192 

  40. Petrich J, Holmes TH. Life change and onset of illness. Med Clin North Am, 1977;61:825-838 

  41. 박미성, 한경수. 치과외래환자에서 공포, 불안, 우울 및 구강안면부 스트레스증상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8;23;387-401 

  42. 김미혜, 한경수, 박미성.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2;27:89-105 

  43. 김재환, 김광일, 이해리. 간이정신진단검사의 해석지침: code pattern을 중심으로. 정신건강연구, 1985;3:173-2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