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면과 통증과의 상호 작용은 여러 연구들에 의해 밝혀져 왔고 그 기전에 대해서는 현재도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앞선 연구들은 대부분 류마티스질환이나 섬유근통과 같은 전신적 질환을 갖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측두하악질환을 포함한 안면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내과, 턱관절 및 안면통증 클리닉에 내원한 229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수면설문 및 간이 수면검사를 시행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통증양상과 수면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1. PSQI설문에 의한 수면의 질 평가에서는 통증이 있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이 통증이 없는 군에 비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된 환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면의 질이 저하된 정도도 더 크게 나타났다. 특히 통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는 뚜렷하게 수면의 질 저하가 나타났다. 2. ESS설문에 의한 주간졸리움증의 평가에서도 통증이 있는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이 통증이 없는 군에 비하여 주간졸리움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6개월이상 통증이 존재하는 만성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에서 더욱 높았으며 주간 졸리움증의 정도 또한 더 심하였다. 특히 통증이 있는 만성 측두하악장애 환자군 중에서 global PSQI가 5이상인 수면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에서만 평균 ESS 수치가 10이상을 기록하여 주간졸리움증의 판단 기준에 해당하였다. 3. 통증의 강도에 따른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이나 주간졸리움증과의 관련성의 결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수면관련 호흡장애를 검사하기 위한 간이수면검사기기인 ApnealinkTM를 사용하여 수면시 호흡상태를 측정한 결과 검사를 시행한 총 19명의 환자중 1명만이 수면무호흡저호흡지수(AHI)>5인 수면무호흡증을 나타내었다. 다른 만성통증질환과 마찬가지로 만성통증을 나타내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도 수면의 질이 저하되었으며 주간졸리움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장애가 있는 경우 통증에 대한 역치를 낮추고 통증과 수면장애가 순환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치료를 어렵게 하므로 측두하악질환을 진단하고 관리하는 데 있어 수면설문지를 이용한 수면 상태의 평가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치료가 장기화 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이 적은 환자에게 있어서 수면장애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이수면검사기기 또한 치과에서 진단하기 어려운 호흡관련 수면장애의 초기 검진 시 유용한 도구가 되리라 생각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action between pain and sleep has long been proved through many researches,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dentify its mechanism. However, these studies have targeted on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 such as rheumatic disease and fibromyalgia. There are few researches on pati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3) 이처럼 측두하악장애는 그 유병율이 높으며 만성질환으로도 발전하기 쉬운 반면 측두하악장애와 수면장애와의 관련성을 보여준 연구는 Yatani, 김 등 몇몇이 있었으나 대부분 대조군의 미비와 설문지를 통한 주관적인 결과만의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7,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주관적인 수면의 질과 주간졸리움증의 상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부가적으로 수면장애 중 수면과 관련되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호흡장애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구강내과, 턱관절 및 안면통증 클리닉에 내원한 구강안면통증 환자 중 측두하악질환을 나타내는 환자를 대상으로 수면설문 및 간이수면검사를 시행하여 TMD환자에서의 수면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수면설문지는 주간졸리움증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위한 ESS, 수면의 질 평가를 위한 PSQI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만성 TMD 통증환자 중 global PSQI 5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간이수면검사를 원하는 환자에게서 ApnealinkTM를 사용하여 간이수면검사를 시행하였다.

가설 설정

  • A) 입면이 어렵다. 수면유지가 어렵다.
  • 너무 일찍 일어나거나 비 회복 수면이 나타나거나,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 B) 수면에 적절한 환경이나 기회가 있어도 발생한다. C) 주간에 피곤하거나 권태감이 든다.
  • B) 수면에 적절한 환경이나 기회가 있어도 발생한다. C) 주간에 피곤하거나 권태감이 든다. 집중력, 기억이 감퇴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을 두 가지로 나누면? 수면은 인생의 삼분의 일 혹은 사분의 일을 차지하는 삶의 또 다른 중요한 과정이며 일반적으로 의미없는 외부자극에 대하여 반응하지 않는 행동적이고 생리적인 상태이다.1) 수면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급속안구운동(rapid eye movement, 이하 REM)수면과 비급속안구운동(이하 비REM)수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REM 수면은 얕은 수면상태인 1,2 단계수면과 깊은 수면상태인 3,4 단계수면으로 구성되며 정상수면은 90분에서 110분의 주기로 1,2,3,4단계수면의 비REM수면과 REM수면이 하룻밤에 3회에서 5회 반복되어 나타나게 된다.
비REM 수면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1) 수면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급속안구운동(rapid eye movement, 이하 REM)수면과 비급속안구운동(이하 비REM)수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REM 수면은 얕은 수면상태인 1,2 단계수면과 깊은 수면상태인 3,4 단계수면으로 구성되며 정상수면은 90분에서 110분의 주기로 1,2,3,4단계수면의 비REM수면과 REM수면이 하룻밤에 3회에서 5회 반복되어 나타나게 된다. 수면은 낮 동안 소모되고 손상된 부분을 회복시켜주고 정보의 재정리와 재학습 및 기억과 관련된 기능 등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통증의 기간에 따라 급성통증과 만성통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만성통증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다른 관점에서 보면 통증은 위험이나 손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중요한 기전이라 할 수 있다. 반면 만성통증은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원인에 의해 6개월 이상지속되며 현재 가능한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았거나 환자의 여생동안 지속될 수 있는 통증을 의미한다.2)이와 같은 만성통증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나 만성통증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불안감, 분노, 공포, 우울감과 같은 심리적인 요소와 기분장애, 불안장애, 신체화장애 등과 같은 정신장애 및 수면장애와 같은 질환들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arskadon MA, Dement WC. Normal human sleep : an overview. 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3rd ed., Philadelphia, 2000, w.E. Saunders Co., pp. 15-25 

  2. McMahon SB, Koltzenburg eds. Wall and Melzack's Textbook of Pain. 5th ed. 2006, Elsevier ltd., pp. 325 

  3. Okeson JP. Bell's Orofacial Pains: The clinical management of orofacial pain. 6th ed., Illinois, 2005,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pp. 101-104, 289 

  4. Smith MT, Haythornthwaite JA. How do sleep disturbance and chronic pain inter-relate? Insights from the longitudinal and cognitive-behavioral clinical trials literature. Sleep Med Rev 2004;8(2): 119-132 

  5.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2nd ed.: Diagnostic and Coding 

  6. Schiffman EL, Fricton JR, Haley DP, Shapiro BL. The prevalence and treatment needs of subjec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Am Dent Assoc 1990;120(3): 295-303 

  7. Yatani H, Studts J, Cordova M, Carlson CR, Okeson JP. Comparison of sleep quality and clinical and psychologic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ofac Pain 2002;16(3): 221-228 

  8. 김미혜, 한경수, 박미성.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이용한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2;27(1):89-105 

  9. Dworkin SF, LeResche L.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 mandibular disorders: review, criteria, examination and specifications, critique. J Craniomandib Disord 1992;6(4):301-355 

  10.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6):540-545 

  11.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2):193-213 

  12. Patil SP, Schneider H, Schwartz AR, Smith PL.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pathophysiology and diagnosis. Chest. 2007;132(1):325-337 

  13. Kushida CA, Littner MR, Morgenthaler T, et al. Practice parameters for the indications for polysomnography and related procedures: an update for 2005. Sleep 2005;28(4):499-521 

  14. Ellis BW, Dudley HA. Some aspects of sleep research in surgical stress. J Psychosom Res 1976;20(4): 303-308 

  15. Aurell J, Elmqvist D. Sleep in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continuous polygraphic recording of sleep in nine patients receiving postoperative care. Br Med J (Clin Res Ed) 1985;290(6474):1029-1032 

  16. Rosenberg J, Wildschiodtz G, Pedersen MH, von Jessen F, Kehlet H. Late postoperative nocturnal episodic hypoxaemia and associated sleep pattern. Br J Anaesth 1994;72(2):145-150 

  17. Drake ME Jr, Pakalnis A, Andrews JM, Bogner JE. Nocturnal sleep recording with cassette EEG in chronic headaches. Headache 1990;30(9):600-603 

  18. 600-603Paiva T, Farinha A, Martins A, Batista A, Guilleminault C. Chronic headaches and sleep disorders. Arch Intern Med 1997;157(15):1701-1705 

  19. Drewes AM, Svendsen L, Taagholt SJ, Bjerregard K, Nielsen KD, Hansen B. Sleep in rheumatoid arthritis: a comparison with healthy subjects and studies of sleep/wake interactions. Br J Rheumatol 1995;37(1): 71-81 

  20. Lavie P, Epstein R, Tzischinsky O et al. Actigraphic measurements of sleep in rheumatoid arthritis: comparison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healthy controls. J Rheumatol 1992;19(3):362-365 

  21. Hirsch M, Carlander B, Verge M et al. Objective and subjective sleep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Rheum 1994;37(1): 41-49 

  22. Moldofsky H, Scarisbrick P, England R, Smythe H. Musculosketal symptoms and non-REM sleep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fibrositis syndrome" and healthy subjects. Psychosom Med 1975;37(4):341-351 

  23. Moldofsky H, Scarisbrick P. Induction of neurasthenic musculoskeletal pain syndrome by selective sleep stage deprivation. Psychosom Med 1976;38(1):35-44 

  24. Onen SH, Alloui A, Gross A, Eschallier A, Dubray C. The effects of total sleep deprivation, selective sleep interruption and sleep recovery on pain tolerance thresholds in healthy subjects. J Sleep Res 2001;10(1):35-42 

  25. Older SA, Battafarano DF, Danning CL et al. The effects of delta wave sleep interruption on pain thresholds and fibromyalgia-like symptoms in healthy subjects; correlations with insulin-like growth factor I. J Rheumatol 1998;25(6):1180-1186 

  26. Bailey DR. Sleep disorders. Overview and relationship to orofacial pain. Dent Clin North Am 1997;41(2): 189-209 

  27. Thurnheer R, Bloch KE, Laube I, Gugger M, Heitz M. Swiss Respiratory Polygraphy Registry: Respiratory polygraphy in sleep apnoea diagnosis. Report of the Swiss respiratory polygraphy registry and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Swiss Med Wkly 2007;137 (5-6):97-1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