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측저작이 저작근의 근활성도와 교합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eferred Chewing Habit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Masticatory Muscles and Bite Force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0 no.1 = no.58, 2005년, pp.45 - 55  

양호연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신준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최종훈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안형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있듯이 저작도 주로 사용하는 쪽이 있는 편측저작습관자와 양쪽을 다 사용하는 비편측저작자가 있다. 본 연구는 1년 이상 지속된 편측저작습관이 저작근과 턱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재학생 및 치과병원 교직원 중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편측저작습관자 46명, 비편측저작습관자 36명, 총 82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저작근의 근활성도와 교합력을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에 앞서 설문 및 임상검사를 통하여 연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특기할 전신병력이나 불규칙한 치열 및 비정상적인 교합을 가진 자는 배제하였다. 1. 편측저작습관자군에서 안정위와 최대 이악물기(maximal voluntry contraction; MVC)상태에서의 저작측과 비저작측간 근활성도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2. 안정위 시 전측두근과 교근에서의 근활성도 비대칭 지수는 편측저작습관자군과 비편측저작습관자군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3. 최대 이악물기 시 교근의 근활성도 비대칭 지수는 편측저작습관자군에서 비편측저작습관자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전측두근의 근활성도 비대칭 지수는 편측저작습관자군과 비편측저작습관자군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편측저작습관자군에서 저작측과 비저작측간의 평균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5. 편측저작습관자군과 비편측저작습관자군간의 평균교합력의 비대칭 지수와 교합접촉면적의 비대칭 지수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 편측저작습관은 저작근의 근활성도와 평균교합력 및 교합접촉면적에 영향을 미쳐 변화를 일으키기 보다는,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생리적 비대칭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향후 연구 시 편측저작자와 비편측저작자를 구분하기위한 객관적인 기준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people prefer to use right or left hand, some have preferred chewing side while others do not. Totally, 82 volunteers composed of students and staffs from Dental Hospital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investigation of influence of preferred chewing h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든 대상자는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치식을 작성하였으며, 교합력 측정 시 교합접촉점이 중심교합위로 이악물기가 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하악 인상을 채득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대상자들에게 1년 이상 편측저작습관 여부, 편측저작측, 편측 저작 이유를 묻고 기록하였다. 평균편측저작습관 기간은 1년에서 최고 20년까지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7.
  • 이전 연구결과로 볼 때, 오랜 기간동안 지속된 편측 저작이 저작근과 턱관절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으나, 편측저작이 저작근과 턱관절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명확히 언급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년 이상 지속된 편측저작습관을 가진 사람들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근전도와 교합력 및 교합접촉면적을 측정하여, 편측저작습관이 저작근의 근전도와 교합력 및 교합접촉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러므로 최대 이악물기 상태에서는 교합력 및 교합접촉면적의 비대칭지수는 현저히 작아지며, 따라서 편측저작과 비편측저작간 비대칭지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이악물기 상태에서만 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을 측정하였는데 subclenching상태에서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면 편측저작군와 비편측저작군간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비교할 수 있었을 것이다. 연구결과 한가지 특이한 사실은 비편측저작군의 우측과 좌측 비교시 좌측의 교합력과 교합접촉면적이 우측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 비대칭지수도 일관되게 (-)값이 많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편측저작군의 저작측과 비저작측 비교를 위해 근전도와 교합력 및 교합접촉면적을 검사하였다. 근전도는 일반적으로 표면 전극을 이용하여 근육의 전기적 활성을 기록하고 분석함으로써 근육의 상태가 정상적인지, 혹은 비정상적인지를 평가하는 임상적 검사법이다20).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재학생 및 치과병원 교직원중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총 82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1년 이상 지속된 편측저작습관이 저작근의 근활성도와 교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편측저작습관자는 46명, 비편측저작 습관자는 36명이었으며, 설문 및 임상검사를 통하여 연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특기할 전신병력이나 불규칙한 치열 및 비정상적인 교합을 가진 자는 배제하였다.
  • 가 3편의 논문을 통해 보고를 하였다. 편측 저작 예측연구, 편측저작과 오른손 왼손잡이와의 관계8), 편측저작과 근전도(Electromyography;EMG)와의 관계9), 편측저작과 통증과의 관계10)에 대해서 연구하여 편측저작의 이유 및 연구방법의 타당성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Nachshon I, Denno D, Aurand S. Lateral preferences on hand, eye and foot:relation to cerebral dominance. Int J Neurosci 1983;18:1-9 

  2. Ruch TC. Neural basis of somatic sensation. In Ruch TC(Ed). Physiology and Biophysics. Philadelphia, 1966, W. B. Saunders, pp. 318-344 

  3. Goodwin GM, Luschei ES. Effects of destroying spindle afferents from jaw muscles on mastication in monkeys. J Neurophysiol 1974;37:967 

  4. Okeson Jeffrey P. 악관절장애와 교합(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4th ed., 서울, 1999, 군자출판사, pp. 28-48 

  5. Lund JP, Lamarre Y. The importance of positive feedback from periodontal pressoreceptors during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of jaw closing muscle in man. J Biol Buccale 1973;1:345-351 

  6. Dessem D, Taylor A. Reflex effects of periodontal mechanoreceptors on trigeminal motoneurons in Van Steenberghe D, DeLaat A(Ed). Electromyography of jaw reflexes in man. Leuven, 1989, Leuven University Press, pp. 177-196 

  7. Ottenhoff FA, van der Bilt A, van der Glas HW, Bosman F. Peripherally induced and anticipating elevator muscle activity during simulated chewing in humans. J Neurophysiol 1992;67:75-83 

  8. Christensen LV, Radue JT. Lateral preference in mastication: a feasibility study. J Oral Rehabil 1985;12:421-427 

  9. Christensen LV, Radue JT. Lateral preference in mastication:an electromyographic study. J Oral Rehabil 1985;12:429-434 

  10. Christensen LV, Radue JT. Lateral preference in mastication: relation to pain. J Oral Rehabil 1985;12:461-467 

  11. Pond LH, Barghi N, Barnwell GM. Occlusion and chewing side preference. J Prosthet Dent 1986;55:498-500 

  12. Kumai Toshifumi. Difference in chewing patterns between involved and opposite side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and myofascial pain-dysfunction. Archs oral Biol 1993;38(6):467-478 

  13. 오민정, 한경수. 스트레스에 의한 구강안면 증상의 발현에 관한 역학적 연구. 구강내과학회지 1997;22(2):359-371 

  14. McCarroll RS, Naeije M, Hansson TL. Balance in masticatory muscle activity during natural chewing and submaximal clenching. J Oral Rehabil 1989;16: 441-446 

  15. Ferrario VF, Sforza C, Miani A. Jr, D'Addona A, Barbini 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human masticatory muscles in normal young people. Statistical evaluation of reference values for clinical applications. J Oral Rehabil 1993;20:271-280 

  16. Naeije M., McCarroll RS, Weijs WS.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human masticatory muscles during submaximal clenching in the inter-cuspal position. J Oral Rehabil 1989;16:63-70 

  17. Bakke M, Michler L, Moller E. Occlusal control of mandibular elevator muscles. Scand J Dent Res 1992;100:284-291 

  18. Hidaka O, Iwasaki M, Saito M, Morimoto T. Influence of intensity on bite force balance, occlusal contact area, and average bite pressure. J Dent Res 1999;78(7):1336-1344 

  19. 남도현, 김광남. 편측저작시 하악골 과두의 응력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적 연구. 대한두개하악장애학회지 1996;8(2):21-34 

  20. Mohl ND, Lund JP, Widmer CG, McCall WD Jr. Devic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rtII : Electromyography and sonography. J Prosthet Dent 1990;63(3):332-336 

  21. Moyer RE. Temporomandibular muscle contraction patterns in Angle classII division 1 malocclusion : An electromyographic study.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49;35:836-842 

  22. 김경년. 근전도의 원리와 적용. 대한두개하악장애학회지 1999;11(1):35-46 

  23. 김윤경, 김인권. 편측성 악관절장애 환자에 대한 근전도 분석.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6 

  24. Ahlgren J: Mechanism of mastication, a quantitative cinematographic and electromyographic study of masticatory movements in children, with special reference to occlusion of the teeth. Acta Odont Scand 1966;24(Suppl 44):1-1 

  25. Moller E. The chewing apparatus. An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e action of the muscles of mastication and its correlation to facial morphology. Acta Physiol Scand Suppl 1996;280:1-229 

  26. Naeije M. Zorn H. Estimation of the action potential conduction velocity in human skeletal muscle using the surface EMG cross-correlation technique. Electromyogr Clin Neurophysiol 1983;23:73-80 

  27. Kawazoe Y, Kotani H, Hamada T. Relation between integrated electromyographic activity and biting force during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in human masticatory muscles. J Dent Res 1979;58(5): 1440-1449 

  28. Cooper BC, Rabuzzi DD. Myofascial pain dysfunction syndrome: A clinical study of asymptomatic subjects. Laryngoscope 1984;94:68-75 

  29. Sheikholeslam A, Moller E, Lous I. Postural and maximal activity in elevators of mandible before and after treatment of functional disorders. Scand J Dent Res 1982;90(1):37-46 

  30. Pameijer JH, Glickman I, Roeber FW. Intraoral occlusal telemetry. III. Tooth contacts in chewing, swallowing and bruxism. J Periodontol 1969;40:253-258 

  31. Hoogmartens MJ, Caubergh MA. Chewing side preference in man correlated with handedness, footedness, eyedness and earedness. Electromyogr Clin Neurophysiol 1987;27:293-300 

  32. Patyk A, Lotzmann U, Paula JM, Kobes LW. Is the T-scan system a relevant diagnostic method for occlusal control? ZWR 1989;98:686-694 

  33. Watanabe M, Hattori Y, Satoh C. Bite force distribution on the dental arch in normal dentitions. In Morimoto T, Matsuya T, Takada K(Ed). Brain and oral functions. Amsterdam and Tokyo, 1995, Elsevier, pp. 399-403 

  34. Hellsing G. On the regulation of interincisor bite force in man. J Oral Rehabil 1980;7:403-411 

  35. Christensen LV, Mohamed SE. Bilateral masseteric contractile activity in unilateral gum chewing: differential calculus. J Oral Rehabil 1996;23:638-6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