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의 양과 온도가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Volume and Temperature on Muscle Activity of the Supra and Infrahyoid Muscle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7 no.2, 2017년, pp.1 - 8  

김태훈 (동서대학교 보건의료계열 작업치료학과) ,  김다혜 (동서대학교 보건의료계열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삼킴 시 물의 온도와 양에 따른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임상에서 삼킴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건강한 성인 27명을 대상으로 물의 양과 온도에 따른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양은 3 mL, 20 mL로, 온도는 $4^{\circ}C$, $22^{\circ}C$, $40^{\circ}C$로 각각 설정하였고, 대상자별로 기준값(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을 설정하기 위하여, 침을 삼키는 동안 오른쪽 및 왼쪽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활성도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연구 장비는 안드로이드 기반 근전도 측정 장비인 2EM(4D-MT, Relive, Gimhae, Korea)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처리하였다. 결과 : 양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왼쪽 목뿔아래근육은 $4^{\circ}C$, $22^{\circ}C$, $40^{\circ}C$에서 (p=.00; p=.00; p=.00), 오른쪽 목뿔아래근육은 $22^{\circ}C$$40^{\circ}C$에서 (p=.01; p=.01), 왼쪽 목뿔위근육은 $4^{\circ}C$에서 (p=.03), 3 mL 물보다는 20 mL 물을 삼킬 때 근활성도가 증가하였다. 온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20 mL의 물을 삼킬 때 $4^{\circ}C$, $22^{\circ}C$ 보다는 $40^{\circ}C$ 조건에서 오른쪽 목뿔위근육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4). 결론 : 20 mL가 3 mL보다 오른쪽 및 왼쪽 목뿔아래근육, 왼쪽 목뿔위근육에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40^{\circ}C$$4^{\circ}C$, $22^{\circ}C$보다 오른쪽 목뿔위근육에서 근활성도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양과 온도를 모두 고려한 일부조건에서만 의미가 있었다. 추후에는 점도, 맛 등의 다른 변수를 고려하여 건강한 대상자 뿐 아니라 신경계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ivity of the supra and infrahyoid muscl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water in healthy adults. Methods : The amount of water was set to 3 mL and 20 mL, and the temperature was subdivided into $4^{\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타당성이 제시된 각각의 연구를 기반으로, 물의 양(3 mL, 20 mL)과 온도(4 ℃, 22℃, 40 ℃)라는 조건하에서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근활성도 변화를 유발하는 양과 온도, 양과 근육위치(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 온도와 근육위치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지역사회 작업치료 임상에서 물과 근전도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킴 과정의 인두단계은 어떻게 시작되나? 삼킴 과정의 인두단계는 목뿔뼈(hyoid bone)의 움직임으로부터 시작된다(Steele & Miller, 2010). 목뿔뼈를 움직이는 근육은 크게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으로 구분된다.
목뿔뼈를 움직이는 근육은 크게 어떻게 구분되나? 삼킴 과정의 인두단계는 목뿔뼈(hyoid bone)의 움직임으로부터 시작된다(Steele & Miller, 2010). 목뿔뼈를 움직이는 근육은 크게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으로 구분된다. 목뿔위근육에는 턱목뿔근(mylohyoid muscle), 턱끝목뿔근(geniohyoid muscle), 두힘살근(digastric muscle), 붓목뿔근(stylohyoid muscle)이 있다(Kam et al.
음식의 양과 온도와 목뿔뼈를 움직이는 근육의 생체역학(kinematics)과 관련성은 어떠한가? 음식의 양과 온도는 목뿔뼈를 움직이는 근육의 생체역학(kinematics)과 관련성이 있다. 음식의 양이 증가될수록 목뿔뼈의 전방 움직임 궤적(forward movement trajectory)의 최대폭(maximal amplitude)이 증가하며,전방-후방 총 거리(forward and backward total distance)와 전방 최대 속도(forward peak velocity)가 증가한다(Chi-Fishman & Sonies, 2002). Park, Cha와Jung(2011)은 음식덩이의 크기 증가가 인두의 구조적인 움직임의 정도를 함께 증가시키고, 혀와 인두 주변 근육의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Park, Woo, Chang과 Han(2012) 또한 음식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삼킴 시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더 큰 힘이 요구된다고 보고하였다. Manor, Giladi, Cohen, Fliss와 Cohen(2007)은 광섬유내시경검사를 실시할 때 티스푼 양에 해당하는 3 mL의 물이 삼킴장애 관찰에 타당하다고 제시하였고, Vaiman(2007)은 삼킴장애를 판별하기 위한 근전도 측정 시 20 mL 물이 타당하다고 제시하였는데, 두 가지 양을 모두 적용할 경우 물의 양에 따른 근활성도의 변화를 통해 보다 정확한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utler, S. G., Stuart, A., Castell, D., Russell, G. B., Koch, K., & Kemp, S. (2009). Effects of age, gender, bolus condition, viscosity, and volume on pharyngeal and upper esophageal sphincter pressure and temporal measurements during swallow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2(1), 240-253. 

  2. Chi-Fishman, G., & Sonies, B. C. (2002). Effects of systematic bolus viscosity and volume changes on hyoid movement kinematics. Dysphagia, 17(4), 278-287. 

  3. Cola, P. C., Gatto, A. R., da Silva, R. G., Spadotto, A. A., Ribeiro, P. W., Schelp, A. O., et al. (2012). Taste and temperature in swallowing transit time after stroke. Cerebrovascular Diseases Extra, 2(1), 45-51. 

  4. Groher, M. E., & Crary, M. A. (2015). Dysphagia: clinical management in adults and children. Amsterdam: Elsevier Health Sciences. 

  5. Gumbley, F., Huckabee, M. L., Doeltgen, S. H., Witte, U., & Moran, C. (2008). Effects of bolus volume on pharyngeal contact pressure during normal swallowing. Dysphagia, 23(3), 280-285. 

  6. Humbert, I. A., Lokhande, A., Christopherson, H., German, R., & Stone, A. (2012). Adaptation of swallowing hyo-laryngeal kinematics is distinct in oral vs. pharyngeal sensory process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2(10), 1698-1705. 

  7. Kam, K. Y., Kim, D. H., Kim, S. B., Kim, J. K., Hey, M., Kim, S. H., et al. (2015). Human Anatomy. Seoul: Edufactory. 

  8. Lim, J. H. (2009). Conservative treatment of dysphagia. Brain & NeuroRehabilitation, 2(2), 101-112. 

  9. Manor, Y., Giladi, N., Cohen, A., Fliss, D. M., & Cohen, J. T. (2007). Validation of a swallowing disturbance questionnaire for detecting dysphagia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ovement Disorders, 22(13), 1917-1921. 

  10. Park, M. J., Woo, H. S., Chang, K. Y., & Han, M. Y. (2012). Comparison of sEMG activation on swallowing-related muscles according to the bolus viscosity and volum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4), 69-80. 

  11. Park, Y. G., Cha, T. H., & Jung, M. Y. (2011). Rehabilitation dysphagia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dysphagia. Journal of the Dysphagia Society, 1(1), 31-38. 

  12. Pearson, W. G., Langmore, S. E., & Zumwalt, A. C. (2011). Evaluat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suprahyoid muscles and their potential for moving the hyoid. Dysphagia, 26(4), 345-351. 

  13. Selcuk, B., Uysal, H., Aydogdu, I., Akyuz, M., & Ertekin, C. (2007). Effect of temperature on electrophysiological parameters of swallowing.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4(3), 373-380. 

  14. Shaker, R., Ren, J., Podvrsan, B., Dodds, W. J., Hogan, W. J., Kern, M., et al. (1993). Effect of aging and bolus variables on pharyngeal and upper esophageal sphincter motor func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64(3), 427-432. 

  15. Song, Y. J., Woo, H. S., Park, E. J., Yoon, I. J., Oh, J. C., Kim, E. J., et al. (2014). Swallowing Disorder. Seoul: Gyechukpublishing. 

  16. Steele, C. M., & Miller, A. J. (2010). Sensory input pathways and mechanisms in swallowing: A review. Dysphagia, 25(4), 323-333. 

  17. Vaiman, M. (2007). Standardization of surface electromyography utilized to evaluate patients with dysphagia. Head & face medicine, 26(3), 1-7. 

  18. Watando, A., Ebihara, S., Ebihara, T., Okazaki, T., Takahashi, H., Asada, M., et al. (2004). Effect of temperature on swallowing reflex in elderly patients with aspiration pneumoni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2(12), 2143-2144. 

  19. Wheeler, K. M., Chiara, T., & Sapienza, C. M. (2007). Surfac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submental muscles during swallow and expiratory pressure threshold training tasks. Dysphagia, 22(2), 108-116. 

  20. Youmans, S. R., & Stierwalt, J. A. (2011). Normal swallowing acoustics across age, gender, bolus viscosity, and bolus volume. Dysphagia, 26(4), 374-384. 

  21. Park, Y. J., & Kong, I. J. (2015). A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n integration intervention based on vestibular-proprioceptive system for children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2), 53-61. 

  22. Pfeiffer, B., Henry, A., Miller, S., & Witherell, S. (2008). Effectiveness of Disc 'O'Sit cushions on attention to task in second-grade students with attention difficul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3), 274-281. 

  23. Ralph, J. K., Jonathan, M., Langston, J. W., & Craig, V. D. (1987).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A brief but differentiated approach to cognitive assessm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481-482. 

  24. Warren, M. (1993). A hierarchical model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of visual perceptual dysfunction in adult acquired brain injur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7, 42-5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