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적 스쿼트 동작 시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 적용이 신체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lance Board and Whole-body Vibration Stimulator Application on Body Muscle Activities during Static Squat Mo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4, 2020년, pp.755 - 761  

김유신 (중원대학교 스포츠지도전공) ,  김대훈 (숭실대학교 스포츠학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적 스쿼트 동작 시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1.90±0.36 세; 신장, 174.30±1.09 cm; 체중, 66.50±1.00 kg; 신체질량지수, 21.90±0.31 kg/㎡), 3가지의 기본 정적 스쿼트 동작, 발란스 보드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 및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을 부착한 부위는 신체 근육의 우측 복직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내측광근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직근, 내복사근 및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 시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1, p=.004, p=.000), 대퇴직근, 외측광근 및 내측광근의 근활성도는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적 스쿼트 훈련 적용 시 효과적인 신체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lance board and whole-body vibration stimulator application on body muscle activities during static squat motion. Twenty adult males(age, 21.90±0.36 years; height, 174.30±1.09 cm; body mass, 66.50±1.00 kg; and BMI, 21...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적 스쿼트 운동 시 기본 정적 스쿼트 동작(basic static squat motion; BSSM)과 발란스 보드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static squat motion with balance board; SSBB) 및 전신 진동자극기를 적용한 정적 스쿼트 동작(static squat motion with whole-body vibration stimulator; SSVS) 차이에 따른 성인남성의 신체 근육 근활성도를 비교·분석하여 스포츠 현장에 효율적인 정적 스쿼트 동작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쿼트 운동이란 무엇인가? 스쿼트 운동(squat exercise)은 대표적인 닫힌 사슬운동(closed-chain exercise)으로써 신체의 체중을 이용하여 다리의 원위 부위는 고정시켜 몸통 및 하지의 근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훈련 방법 중의 하나로, 단순한 동작으로도 여러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다[1]. 이러한 스쿼트 운동은 슬개대퇴관절(patello femoral joint)의 압력 증가와 대퇴사두근(quadriceps femoris) 및 햄스트링(hamstring)의 협력 수축으로 인한 전단력(shearing force) 감소가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에 주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고[2,3], 길항근(antagonistic muscle)이 원심성 작용을 하여 관절의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4], 다관절의 움직임에 의한 근동원 패턴(muscle recruitment patterns) 시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5].
스쿼트 운동의 특징은? 스쿼트 운동(squat exercise)은 대표적인 닫힌 사슬운동(closed-chain exercise)으로써 신체의 체중을 이용하여 다리의 원위 부위는 고정시켜 몸통 및 하지의 근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훈련 방법 중의 하나로, 단순한 동작으로도 여러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다[1]. 이러한 스쿼트 운동은 슬개대퇴관절(patello femoral joint)의 압력 증가와 대퇴사두근(quadriceps femoris) 및 햄스트링(hamstring)의 협력 수축으로 인한 전단력(shearing force) 감소가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에 주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고[2,3], 길항근(antagonistic muscle)이 원심성 작용을 하여 관절의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4], 다관절의 움직임에 의한 근동원 패턴(muscle recruitment patterns) 시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5]. 스쿼트 운동은 여러 형태 및 보조도구를 활용하여 일반인 또는 재활환자들의 수준에 맞게 활용되어지고 있는데, 일반적인 정적 스쿼트 운동 이외에 여러 물리적 부하를 가함으로써 스쿼트 운동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지면의 변화를 주거나 전신 진동자극기가 사용되어지고 있다[6,7].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은 안정 지지면에서의 운동에 비하여 어떤 장점이 있는가? 스쿼트 운동은 여러 형태 및 보조도구를 활용하여 일반인 또는 재활환자들의 수준에 맞게 활용되어지고 있는데, 일반적인 정적 스쿼트 운동 이외에 여러 물리적 부하를 가함으로써 스쿼트 운동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지면의 변화를 주거나 전신 진동자극기가 사용되어지고 있다[6,7]. 스쿼트 운동 시지지면의 변화 적용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안정 지지면 보다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외적인 흔들림이 증가되기 때문에 정위(normal position) 자세 능력을 강화시킴으로써 감각운동기능을 재빨리 수정할 수 있게 되고[2], 이러한 자세 조절은 체성감각(somatosensory) 정보에 의존하고, 자세 전략(postural strategy)에 상당한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8]. 그리고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운동은 근신경(neuromusclar) 전달 시스템을 더욱 자극하여 주동근(agonistic muscle)과 협력근(synergistic muscle)을 동시에 수축(co-contraction)시키고, 근력과 안정성 및 균형능력 향상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9]. 김용훈, 김병조, 박두진의 연구 사례에 의하면, 이들은 불안정 지지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은 안정 지지면에서의 운동보다 대퇴직근(rectus femoris),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및 내측광근(vastus medialis)의 근활성도를 더 높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 Y. Lee, "Analysis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Squat Type during Whole-Body Vibr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9, No.10 pp. 371-376, (2018). 

  2. K. K. Lim, The Effect of Air Pressure Difference of an Air Cushion on Muscular Activation of the Trunk and Lower Extremities during Squat Exerci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16). 

  3. R. A. Palmitier, K. N. An, S. G. Scott, E. Y. Chao, "Kinetic chain exercise in knee rehabilitation", Sports Medicine, Vol.11, No.6 pp. 402-413, (1991). 

  4. T. Iwasaki, N. Shiba, H. Matsuse, T. Nago, Y. Umezu, Y. Tagawa, K. Nagata, J. R. Basford, "Improvement in knee extension strength through training by means of combined electrical stimulation and voluntary muscle contraction", The Tohoku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Vol.209, No.1 pp. 33-40, (2006). 

  5. M. P. de Looze, H. M. Toussaint, J. H. van Dieen, H. C. Kemper, "Joint moments and muscle activity in the lower extremities and lower back in lifting and lowering tasks", Journal of biomechanics, Vol.26, No.9 pp. 1067-1076, (1993). 

  6. W. I. Choi, An Analysis of Core Muscle Activity Differences by Knee Joint Angles in Squat Exercise on Unstable Surfa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2015). 

  7. F. M. H. Lam, L. R. Liao, T. C. Y. Kwok, M. Y. C. Pang, "Effects of Adding Whole-Body Vibration to Routine Day Activity Program on Physical Functioning in Elderly With Mild or Moderate Dement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33, No.1 pp. 21-30, (2018). 

  8. A. Shumway-Cook, D. Anson, S. Haller,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69, No.6 pp. 395-400, (1988). 

  9. E. Verhagen, A. van der Beek, J. Twisk, L. Bouter, R. Bahr, W. van Mechelen, "The Effect of a Proprioceptive Balance Board Train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Ankle Sprains: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32, No.6 pp. 1385-1393, (2004). 

  10. Y. H. Kim, B. J. Kim, D. J. Park, "Isolated Activation Ratio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 on Different Support Surfaces During Squat Exercise" PNF and Movement, Vol.16, No.1 pp. 125-132, (2018). 

  11. A. F. J. Abercromby, W. E. Amonette, C. S. Layne, B. K. McFarlin, M. R. Hinman, W. H. Paloski, "Vibration Exposure and Biodynamic Responses During Whole-Body Vibration Train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39, No.10 pp. 1794-1800, (2007). 

  12. Y. T. Rhim, "The Study on Whole Body Vibration as a New Exercise Training Prescription Method",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Vol.7, No.1 pp. 105-116, (2005). 

  13. S. B. Seo, S. R. Kang, C. H. Yu, J. Y. Min, T. K. Kwon, "Effect of Muscle Activation Change of Lower Limb According to Whole Body Vibration During Different Squat Exercises",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ol.8, No.1 pp. 33-40, (2014). 

  14. M. Cardinale, C. Bosco, "The use of Vibration as an Exercise Intervention",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Vol.31, No.1 pp. 3-7, (2003). 

  15. C. Delecluse, M. Roelants, S. Verschueren, "Strength Increase after Whole-Body Vibration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35, No.6 pp. 1033-1041, (2003). 

  16. Y. S. Ki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Muscle Activities in Plank Exercise with and without Thera-band",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No.3 pp. 758-765, (2019). 

  17. M. Barbero, R. Merletti, A. Rainoldi, Atlas of muscle innervation zones: understanding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its application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18. Y. S. Kim, "The Effects of Sling and Vibrator Application of Knee Push-Up Plus Motion on Trunk Muscle Activities in Healthy Subjects",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7, No.1 pp. 1-6, (2020). 

  19. A. H. Saeterbakken, M. S. Fimland, "Muscle Force Output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Squats With Various Unstable Surfac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27, No.1 pp. 130-136, (2013). 

  20. S. H. Lee, The Effect on Muscle Activation in Trunk and Low-limbs during Squat Exercise on Various Surf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8). 

  21. V. B. Issurin, G. Tenenbaum, "Acute and residual effects of vibratory stimulation on explosive strength in elite and amateur athletes",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17, No.3 pp. 177-182, (1999). 

  22. M. A. Lebedev, A.V. Poliakov, "Analysis of the interference electromyogram of human soleus muscle after exposure to vibration", Neirofiziologiia, Vol.23, No.1 pp. 57-65, (1991). 

  23. I. M. Wilcock, C. Whatman, N. Harris, J. W. Keogh, "Vibration training: could it enhance the strength, power, or speed of athlet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23, No.2 pp. 593-603,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