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가족에서의 여성의 지위: 6개 도시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28 no.1, 2005년, pp.203 - 233  

송유진 (한양대학교 인구및고령사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연구에 의하면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실증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중국 여성의 가족 내 지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는 중국 여성의 지위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얻기 위하여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자녀 양육과 자녀교육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를 중심으로 성역할 분담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와 상해 산동 지역에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통합적으로 이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 관계없이 중국 사회에서 자녀 양육의 주책임은 어머니에게 있다. 둘째, 아버지들은 자녀 양육 활동보다 의사결정 과정에 더 높은 참여율을 보인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율은 농촌에 비해 도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반면, 의사결정의 경우는 도시에 비해 농촌 지역 아버지들의 참여율이 더 높다. 넷째, 전통적인 성역할 구분에 대한 가치관도 도시와 농촌 지역간에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 가족 내 여성의 지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 가족에서 자녀 양육 책임이 동등하게 분담되지 않아서 여성의 이중부담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김순영(1993), '여성의 지위 변화', , 장경섭 편, 사회문화연구소 pp. 309-356 

  2. 김종현, 곽수경(2002), , 학고방 

  3. 이온죽 외(1999), , 세영사 

  4. 장경섭(1995), '개혁사회주의의 성편향성', 12: 289-315 

  5. 한지아링(1999), '중국 여성 발전상에서의 국가의 역할',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pp. 73-92 

  6. 함인화(1997), '현대 사회 아버지상의 재발견', 2: 1-20 

  7. Baxter, Janeen (1992), 'Power Attitude and Time: The Domestic Division of Labor',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23(2): 165-182 

  8. Bianchi, Suzanne M. (2000), 'Maternal Employment and Time with Children: Dramatic Change or Surprising Continuity?' Demography 37: 401-414 

  9. Chen, Feinian, Short, Susan E., and Entwisle, Barbara (2000), 'The Impact of Grandparental Proximity on Maternal Childcare in China',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19: 571-590 

  10. Coltrane, Scott (1996), Family Man: Fatherhood, Housework, and Gender Equality,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1. Coverman, Shelly (1985), 'Explaining Husbands' 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The Sociological Quarterly 26(1): 81-97 

  12. Croll, Elizabeth (1983), Chinese Women since Mao, London: Zed books 

  13. Chu, G. C. (1993), Modernization versus Revolution, East-West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14. Das Gupta, Monica, Lee, Sunhwa, Uberot, Patricia, Wang, Danning, Wang, Lihong, and Zhang, Xiaodan (2000), 'State Policy and Women's Autonomy in China, S. Korea, India, 1950-2000: Lessons from contrasting Experienc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Los Angeles 

  15. Diamant, Neil J. (2000), Revolutionizing the Family, Los Angeles and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Goldscheider, Frances K. and Waite, Linda J. (1991), New Families, No Familie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Honing, Emily (1985), 'Socialist Revolution and Women's Liberation in China', Journal of Asian Studies 44(2): 329-336 

  18. Kamo, Yoshinori (1994), 'Division of Household Work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Journal of Family Issues 15(3): 348-378 

  19.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0), Statistics of Social Indicators, Seoul, Korea 

  20. Lu, Zai Zai, Maume, David J., and Bellas, Marcia L. (2000), 'Chinese Husbands' Participation in Household Labor',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1(2): 191-215 

  21. Riley, Nancy E. (1994), 'Interwoven Lives: Parents, Marriage, and Guanxi in China',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6(4): 791-803 

  22. Riley, Nancy E. (1995), 'Chinese Women's Lives: Rhetoric and Reality', Asia Pacific Issues No. 25. East-West Center 

  23. Ross, Catherine E. (1987), 'The Division of Labor at Home', Social Forces 65(3):816-833 

  24. Short, Susan E., Zhai, Fengying, Xu, Siyuan, and Yang, Mingliang (2001), 'China's One-Child Policy and the Care of Children: An Analysi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Social Forces 79(3): 913-943 

  25. Short, Susan E., Chen, Feinian, Entwisle, Barbara, and Zhai, Fengying (2002), 'Maternal Work and Child Care in China: A Multi-Method Analysi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8(1): 31-57 

  26. Stacey, J. (1983), Patriarchy and Social Revolution in Chin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State Statistical Bureau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98), China Statistical Yearbook, Hong Kong: International 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28. Tang, Wenfang and Parish, William L. (2000), Chinese Urban Life under Refor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Teich, Adams Carolyn and Teich, Winston, Kathryn (1980), Mothers at Work: Public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Sweden, and China, New York: Longman Inc. 

  30. Tsui, Ming (1989), 'Changes in Chinese Urban Family Structur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737-747 

  31. Weeks, Margaret R. (1989), 'Virtuous Wives and Kind Mothers: Concepts of Women inUrban China',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12(5): 505-518 

  32. Wolf, M. (1985), Revolution Postponed: Women in Contemporary China,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Yi, Chin-Chun, Lu, Yu-Hsia, and Pan, Yun-Kang (2000), 'Women's Family Status: A Comparison of the Family Power Structure in Taiwan and China', Walking a Tightrope: meeting the Challenges of Work and Family edited by Carol D. H. Harvey. Burlington USA: Ashgate 

  34. Zeng Yi and Wu Deqing (2000), 'Regional Analysis ,of Divorce in China since 1980', Demography 37(2): 215-219 

  35. Zuo, Jiping (2003), 'From Revolutionary Comrades to Gendered Partners: Marital Deconstruction of Breadwinning in Post-Mao Urban China', Journal of Family Issues 24(3): 314-33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