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28 no.1, 2005년, pp.277 - 311  

손문금 (한국학대학원)

초록

본 연구는 여성이 가족과 일을 병행하려 할 때 안게 되는 이중부담의 양과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차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시간사용구조를 살펴보고, 이중부담이 노동시간양${\cdot}$노동시간대${\cdot}$노동장소로 나타나는 여성 유급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통계청의 1999년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의 여성은 남성보다 하루 평균 1시간 51분 많은 총노동시간을 가지면서 주당 약 13시간의 이중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만성과 여성의 노동시간사용구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었다. 즉, 여성은 경제활동에 참여한다할지라도 무급노동시간의 89%를 책임지고 있었으며 여성의 노동시간은 가족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젠더화된 생활시간사용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연구결과와 다르게 가내하청/재택근무, 자영, 무급가족종사와 같은 종사상지위와 미취학자녀의 존재는 여성에게 유급노동시간을 조절하는 기재가 되지 못했고 무급노동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할 뿐이라는 점이 한국사회 여성의 이중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맞벌이가구 여성은 무급노동에의 일차적 책임으로 남성보다 야간유급노동이나 휴일유급노동시간을 줄이고, 단시간노동을 선택하며, 집안에서의 유급노동시간을 길게 하면서 가족생활시간을 확보하는 유급노동시간 조절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동방식은 노동시장에서 여성노동의 불안정성을 만들어내고 주변화시키는 요인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서구사회와 비교하면 한국사회에서 여성이 경제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야간노동과 휴일노동, 장시간노동이라는 남성적 노동조건을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판매/서비스직의 자영자와 무급가족종사자 여성들, 가내하청이나 재택근무를 하는 임금근로자 여성들, 학력이 낮은 기능/조립직과 단순노무직 여성들은 야간노동이나 휴일노동, 집안에서의 유급노동시간이 길뿐 아니라 절대적인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도 길게 나타났다. 그러나 미취학자녀의 존재가 이러한 여성적 유급노동시간의 특징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주제어

참고문헌 (51)

  1. 김경애(1999), , 풀빛 

  2. 김미하(1990), '노동자가족의 성별분업: 남성의 양육참여를 중심으로', , 까치 

  3. 김영옥, 김경희(2004), '여성노동정책의 한계와 새 패러다임 모색', , 여성부 

  4. 김은희(1993), '일, 가족, 그리고 성역할의 의미: 한국의 산업화와 신중간층의 가족이념', 한국 사회사 연구회 편, , 문학과 지성사 

  5. 김태홍, 김미경(2002), , 한국여성개발원 

  6. 김태홍, 주재선(1997), '맞벌이부부의 가구특성과 고용구조', 한국여성개발원, : 69-86 

  7. 김효선(1987), , 이화여대석사학위 논문 

  8. 문숙재(1997), , 신정 

  9. 문유경(1997), ,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0. 박민자(1988), ,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1. 박민자(1992), '부부관계의 평등성에 관한 연구', 제21집: 3-31 

  12. 성지미(2002), '여성의 자영업 결정요인과 경력단절 가능성', 한국노동경제학회, 제25권 제1호: 161-182 

  13. 성지미, 차은영(2001), '세대간 동거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24: 97-124 

  14. 손승영(1999), '비공식부문 여성의 일과 삶의 질', , 생각의 나무 

  15. 신경아(2001), '노동시장과 모성, 가족의 문제: 남성중심적 노동자모델을 넘어서', 제51호: 97-122 

  16. 우에노 치즈코, 조한혜정(2004), , 생각의 나무 

  17. 은기수(2004), '가족가치관과 혼인 및 출산', , 여성부 

  18. 은기수, 박수미(2002), '여성 취업이행 경로의 생애과정 씨퀀스 분석', , 한국여성개발원 

  19. 이숙진(1998), '경기침체와 여성고용: 유통업의 영업시간과 노동시간을 중심으로', 14권 1호: 111-143 

  20. 이숙현(1995), '남성의 취업과 가족상호작용-대기업사원을 중심으로', 29: 271-289 

  21. 이효재, 지은희(1988), '한국노동자계급가족의 생활실태: 노동력 재생산과정을 중심으로', 22집: 69-97 

  22. 장혜경, 김영란(1998), , 한국여성개발원 

  23. 장자환(2002), '여성노동과 가족: 여성노동자에게 있어 가족만들기는 가능한가', 2: 1-26 

  24. 조미환(1996), ,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조성은(1998), ,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6. 조옥라, 신경아(2001), '21세기 가족과 모성의 변화', , 성신여대 여성연구소: 111-137 

  27. 진수희(1999), '전문직여성의 일과 삶의 질', , 생각의 나무 

  28. 최희경(1995),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통계청(1999), 원자료 

  30. 통계청, 통계DB, www.nso.go.kr 

  31. 한경미(1991), , 전남대 박사학위논문 

  32. 한국여성개발원, 여성통계 DB, www.kwdi.re.kr 

  33. 함인희, 한정자(2001), '여성의 가족과 일의 조화에 대한 국민 체감의식 연구', 제18집 

  34. 황수경(2003), '기혼여성의 노동공급과 단시간 근로', 한국노동연구원자료 

  35. Beck, Ulrich & Beck-Gemsheim (1990), Das ganz normale Chaos der Liebe, 강수영, 권기돈, 배은경 옮김,1999, , 새물결 

  36. Bianchi, S. M. & M. Milkie & L. Sayer & 1. Robinson (2000), 'Is Anyone Doing the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Social Forces 79(1): 191-228 

  37. Bittman, Michael & Judy Wajcman (2000), 'The Rush Hour: The Character of Leisure Time and Gender Equity,' Social Force, September79(1): 165-189 

  38. Clarkberg, Marin & Phyllis Moen (2001), 'Understanding the Time-Squeeze: Married Couples' Preferred and Actual Work-Hour Strategi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44 No.7, Sage Pub.: 1115-1135 

  39. Fagan, Colette (2001), 'The Temporal Reorganization of Employment and the Household Rhythm of Work Schedul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4, No.7: 1199-1212 

  40. Gershuny, Jonathan (2000), Changing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41. Giddens, A. (1995), Sexuality, Love & Eroticism in Modern Societies, 배은경, 황정미 옮김, 2001, , 새물결 

  42. Glucksmann, Miriam A. (1998), 'What a difference a day Makes: A Theoretical and Historical Exploration of Temporality and Gender,' Sociology 32: 239-58 

  43. Hakim, C. (1991), 'Grateful Slaves and Self-made Women Fact and Fantasy in Women's Work Orientation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7(2): 101-121 

  44. Hermermash, Daniel S. (1998), 'When We Work,' AEA Papers and Proceedings, Vol. 88 No.2: 321-325 

  45. Hochschild, Arlie R. (1989), Second Shift, Viking, 백영미 옮김, 2001, , 아침이슬 

  46. Jacobs, Jerry A. (1998), 'Measuring Time at Work: An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Self Reports,' Monthly Labor Review. 121(12): 42-53 

  47. Jacobs, Jerry A. & Janet C. Gornick (2002), 'Hours of paid work in dual-earner couples: the U.S.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 Sociological Focus 35(2): 169-187 

  48. Nock, Steven L. & Paul W. Kingston (1989), 'The Division of Leisure and Work,' Social Science Quarterly 70: 24-39 

  49. Robinson, John P. & Geoffrey Godbey (1997),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50. Schor, Juliet B. (1992), The Overworked American: The Unexpected Decline of Leisure, Basic Books 

  51. South, Scott J. & G. Spitze (1994), 'Housework in Marital and Nonmarital Household,'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9: 327-4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