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부간 역할분담과 가사 및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본 자녀양육기 맞벌이 부부의 노동시간 및 통근시간 변화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Role Divi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Changes in the Work and Commute Times of Dual-Income Couples Engaging in Childrearing in Japan after the COVID-19 Pandemic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7 no.1, 2023년, pp.53 - 65  

이수진 (弘前大學 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자녀양육기 가족에 초점을 맞추고 코로나19 팬데믹이라고 하는 가정 및 가족의 외부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의한 노동시간 및 통근시간 등의 변화가 부부간 역할분담, 가사 및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밝혀내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일본 내각부가 실시한 「제3회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생활의식·행동의 변화에 관한 조사. 2021」 데이터이다. 20세 이상이며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고 18세 미만의 자녀가 한 명 이상이면서 남편과 부인이 모두 취업자인 총 983명을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부부간 역할분담은 남편의 역할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동시간 및 통근시간의 감소는 남성의 역할분담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가사 및 자녀돌봄시간은 부부간 역할분담보다 더욱 명확하게 남편과 부인의 노동시간 및 통근시간과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여성의 노동시간 및 통근시간의 변화보다 남성의 노동시간 및 통근시간의 변화가 부부간 역할분담, 가사 및 자녀돌봄시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노동시간 및 통근시간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을 위해서 후속연구에서는 노동시장 요인을 고려한 분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Japanese families engaging in childrearing to discover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such as in the role divi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hours spent on housework and childcare, caused by the unexpected crisis of COVID-19. An empirical analysis attempted to determine wheth...

주제어

참고문헌 (39)

  1. 김유경(2021). 코로나19 시대, 가정의 가사노동 양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1 추계학술 대회논문집. 67-75.? 

  2. 손연정(2022).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코로나19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2), 37-51.? 

  3. 송혜림(2021). 코로나19 시대, 가사노동과 돌봄 변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1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3-29.? 

  4. 안미영(2022). 코로나19 발생 이전 맞벌이 가구 여성의 가사와 돌봄 노동은 팬데믹 이후 어떻게 달라졌는가?. 한국사회복지학, 74(3), 145-170.? 

  5. 이경숙.이지인.정영태(2020). 코로나19가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대구여성가족재단.? 

  6. 이수진(202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탐색-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실시된 일본 내각부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3), 87-106.? 

  7. 이태.안준홍(2022).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유형에 따른 가사 및 돌봄 노동시간 변화. 여성연구, 115(4), 129-163.? 

  8. 이현아.김주희(2021).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71-86.? 

  9. 오유라.송운기.김성훈(2022). 코로나19 시기 기혼 근로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영향 요인 분석. 사회과학논총, 38(2), 187-214.? 

  10. 장진희(2021). 코로나19로 인한 돌봄공백과 여성노동위기 대응과제. 월간 한국노총, 576, 13-14.? 

  11. 장진희.박건.이동선(2022). 코로나19가 여성노동자에 게 미친 영향: 자녀돌봄공백과 직장내 불이익을 중심으로. 월간 한국노총, 581, 31.? 

  12. 진미정.성미애.손서희.유재언.이재림.장영은(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3), 447-461.? 

  13. 최유정.최미라.최샛별(2019). 가정내 역할 수행 및 돌봄 노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녀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50(1), 1-28.? 

  14. 통계청(2021). 2021년 사회조사 결과_보도자료, 통계청.? 

  15. 한국 갤럽 조사연구소(2021). 직장인_코로나19 전후 변화.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 Content.asp?seqNo1190에서 2022.12. 인출.? 

  16. 허민숙(2022). 코로나19 시기의 가족돌봄: 팬데믹 상황에 서의 일.생활 균형의 조건과 과제. NARS 현안분석 245호. 국회 입법조사처.? 

  17. 허수연.김한성(2019).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시간과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4, 5-29.? 

  18. 허수연(2008). 맞벌이 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4(3), 177-210.? 

  19. 石橋澄子, 武田陸 & 谷口守(2021). COVID-19が子育て有職者のジェンダ?.ギャップに及ぼした影響-緊急事態宣言前.中.後3?面での家事.育?時間に着目して. 都市計?論文集, 56(3), 641 -648.? 

  20. 大久保敏弘(2020). 第2回テレワ?クに?する就業者?態調査報告書. NIRA?合?究開?機構. https://www.nira.or.jp/paper/NIRA_Report_20200805.pdf에서 2022.12. 인출.? 

  21. 筒井淳也(2022). コロナ下の家庭における生活の?化. 日本家政??生活???部?夏セミナ?資料集.? 

  22. 大和ハウス(2017). 共?き夫婦の家事に?する意識調査第1回-家事への意識の違い編-. https://www.daiwahouse.co.jp/tryie/column/build/dual_income/에서 2022.12. 인출.? 

  23. 崔喜晶(2022). ポストコロナ時代の韓?家族?究の方向と課題. 日本家政??家族?係?部?第42回家族?係?セミナ?要旨集.? 

  24. ?閣府(2021a). 令和2年度男女共同??の視点からの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大の影 響等に?する調査. https://www.gender.go.jp/kaigi/kento/covid-19/index.html에서 2022.12. 인출.? 

  25. ?閣府(2021b). 令和3年度コロナ下の女性への影響と課題に?する?究?報告書. https://www.gender.go.jp/kaigi/kento/covid-19/siryo/pdf/post_honbun.pdf에서 2022.12. 인출.? 

  26. 濱貴子, 松井三枝, 蝦名?大, 佐藤邦子 & 石岡良子(2022). コロナ禍における家事と メンタルヘルスの?係. 富山?立大?紀要, 32, 98-116.? 

  27. 原美和子(2021). 新型コロナは私たちの暮らしや意識をどう?えたか: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 症に?する世論調査の結果から. 放送?究と調査, 71(6), 2-30.? 

  28. 厚生??省(2020). 2019年?民生活基礎調査の?況. https://www.mhlw.go.jp/toukei/saikin/hw/k-tyosa/k-tyosa19/dl/14.pdf에서 2023.02. 인출.? 

  29. Panasonic Webmagazine(2022). コロナ禍で家事負?が アップ!それでも?わらない夫婦の家事分?比率. 「しない家事」へのニ?ズは過去3年で最高に. https://panasonic.jp/life/housework/100054.html에서 2022.09.14. 인출? 

  30. Carlson, D. L., Petts, R. J. & Pepin, J. R.(2022). Changes in US parents' domestic labor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COVID-19 pandemic. Sociological inquiry, 92(3), 1217-1244.? 

  31. Craig, L. & Churchill, B.(2021). Dual-earner parent couples' work and care during COVID-19. Gender, Work & Organization, 28, 66-79.? 

  32. Del Boca, D., Oggero, N., Profeta, P. & Rossi, M.(2020). Women's and men's work, housework and childcare, before and during COVID-19.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18(4), 1001-1017.? 

  33. Oreffice, S. & Quintana-Domeque, C.(2021). Gender inequality in COVID-19 times: Evidence from UK prolific participants. Journal of Demographic Economics, 87(2), 261-287.? 

  34. Sevilla, A. & Smith, S.(2020). Baby steps: The gender division of child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36, S169-S186.? 

  35. UN Women(2020). "Whose time to care: Unpaid care and domestic work during COVID-19" https://data.unwomen.org/sites/default/files/inline-files/Whose-time-to-care-brief_0.pdf.에서 2022.12. 인출.? 

  36. Xue, B. & McMunn, A.(2021). Gender differences in unpaid care work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UK Covid-19 lockdown. PloS one, 16(3), e0247959.? 

  37. Yerkes, M. A., Andre, S. C., Besamusca, J. W., Kruyen, P. M., Remery, C. L., van der Zwan, R., Beckers, D. G. & Geurts, S. A.(2020). 'Intelligent' lockdown, intelligent effects? Results from a survey on gender (in) equality in paid work, the division of childcare and household work, and quality of life among parents in the Netherlands during the Covid-19 lockdown. PloS one, 15(11), e0242249.? 

  38. Zamarro, G. & Prados, M. J.(2021). Gender differences in couples' division of childcare, work and mental health during COVID-19.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19(1), 11-40.? 

  39. Zamberlan, A., Gioachin, F. & Gritti, D.(2021). Work less, help out more? The persistence of gender inequality in housework and childcare during UK COVID-19. Research in Social Stratification and Mobility, 73, 10058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