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후조리 수행과 산후 건강상태간 정준상관관계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5 no.1, 2005년, pp.37 - 46  

안숙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Sample: The study subjects were 82 mothers who delivered full-term infants at 3 hospitals at P city. Data were collected for their health status at the p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산후조리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통한 그 가치를 확인하고, 여성이 강하게 믿고 있는 산후조리의 수행이 실제 산후 여성의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지지하는 지 연구를 통한 확인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출산 이후 산후조리를 경험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산후조리 수행과 산후 건강상태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이들은 출산 후 5년 이내 여성(Kim & Yoo, 1998) 또는 40대 이후 중년 여성(Yoo, 1997), 갱년기를 경험하는 여성(Yoo & Kim, 1999), 관절염을 앓고 있는 여성(Jeong & Yoo, 1999; Yoo, Lee, & Kim, 1998)을 대상으로 산후조리에 대한 기억을 되살려 산후조리를 잘 못한 것이 현재의 건강문제와 관련됨을 후향적으로 조사한 제한점이 있다. 이에 연구자는 연구디자인을 달리한 전향적, 종단적 연구를 통해 대상자를 분만 직후부터 산후 6주까지 추적 조사하여 이들의 건강상대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산후조리 수행이 과연 이들의 산후건강상태와 직접 연관되는지를 살펴 적절한 산욕기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파악하고. 산후 건강상태 변화에 따른 산후조리 수행정도를 확인하고, 4개 하위영역을 가진 산후조리 수행변수 군과 3개의 신체건강 변수와 2개의 정신건강변수를 가진 산후건강상태 변수 군간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산후조리 수행과 산후 건강상대간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 설계이다.
  • 본 연구는 건강한 만삭아를 출산한 산모 82명을 대상으로 분만직후부터 산후 6주까지 산후 건강상태와 산후조리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조사하였고,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욕기 여성의 산후조리 수행정도와 산후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산후 건강상태 변화에 따른 산후조리 수행정도를 확인하고, 4개 하위영역을 가진 산후조리 수행변수 군과 3개의 신체건강 변수와 2개의 정신건강변수를 가진 산후건강상태 변수 군간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 보 연구■는 산욕기 여성의 산후조리 수행정도와 산후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4개 하위영역을 가진 산후조리 수행변수 군과 3개 영역의 신체건강 변수와 2개 영역의 정신건강변수를 가진 산후 건강상태 변수 군간 정준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적절한 산욕기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강한 만삭아를 출산한 산모 82명을 대상으로 산후 1-2일에 자가보고용 질문지를 통해 산후건강자료를 수집하였고, 산후 6주에 는 우편조사법을 이용하여 산후건강과 산후조리 수행정도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산후 산모의 건강상태 호전 또는 악화가 산후조리를 수행받은 정도와 연관될 것이라는 가정을 검정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여 산후조리를 잘 수행하였다면 건강상태가 호전될 것이라는 가정이 본 연구의 표본에서는 통계적으로 지지되지 않았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산모가 신체, 정신, 사회적 적응을 경험하는 산욕기 6주동안 산후조리과정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단기간의 산후조리가 산욕기동안의 건강상태를 호전시키기에는 그 효과가 미약한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S. H. (2002). Postpartum Health: A Comparison of Mothers with Preterm Infants and Mothers with Fullterm Infants. J Korean Women Health Nurs, 8(1), 7-19 

  2. Chun, C. J., & Yoo. E. K. (1997). An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phenomenon of women's utilization of the Zzimzilbang, a type of sauna in Korea. Korean J Acad Nurs. 27(4), 961-974 

  3. Hwang, N .M., Lee, I. Y., Park, Y. T., & Suh, D. W. (2001).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ommunity postpartum service facilities in Korea. Seoul: KIHASA 

  4. Jang, M. H., & Yoo, E. K. (1999). A Study on the Health Professional's Preception of Postpartal care. J Korean Women Health Nurs, 5(3), 313-326 

  5. Jeong, H. (1999). A study on the Nursing needs and Service Satisfactory of Us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J Korean Women Health Nurs, 5(2), 193-199 

  6. Jeong, Y. M., & Yoo, E. K.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t physical symptom distress and experience of sanhujori, the traditional postpartal care in Korea-centered on women of arthritis. J Korean Women Health Nurs, 5(1), 89-105 

  7. Jones, L. C, & Parks, P. (1990). Frequency of illness in mother-infant dyads. Health Care Women Int, 11, 461-475 

  8. Kim, J. H., Song, J. E., Yoo, J. E., Lee, Y. M., Han, M. K., Kim, S. Y., Hong, K. S., Lee, Y. J., & Oh, J. (2001). Factors that affect the choice of the utilization of sanhujoriwon among the postpartal women. J Korean Women Health Nurs, 7(1), 56-66 

  9. Kim, T. K., & Yoo, E. K. (1998).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level of importance & performance of postpartal care and its relationship with women's health status. J Korean Women Health Nurs, 4(2), 145-161 

  10. Lee, E. H., Jeong, Y. H., Kim, J. S., Song, R. Y., & Hwang, K. Y. (2003). Statistical method for health care research. Seoul: Koonja Publisher 

  11. Lee, K. A., & Dejoseph, J. F. (1992). Sleep disturbance, vitality, and fatigue among a select group of employed childbearing women, Birth, 19, 208-213 

  12. Lee, K. H., Lee, Y. S., et al., (2004). Women's Health Nursing II. Seoul: Hyunmoon Publisher 

  13. Lowdermilk, D. L., & Perry, S. E. (2004). Maternity & Women's Health Care. (8th Ed). Philadelphia: Mosby 

  14. Park, H. S., Jeong, E. S., Lee, S. O., Kim, Y. M., Suh, Y. S., & Choi, S. Y. (2001). Concept Analysis of Sanhujori and Tool Development. J Korean Women Health Nurs, 7(2), 131-140 

  15. Park, S. H., & Kim, H. O. (2002).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 performance of traditional postpartal care for postpartal women in postpartum care center. J Korean Women Health Nurs. 8(4), 55-68 

  16. Shin, H. S., & Lee, K. H. (1998). The lived experience of postpatal women in Che-Ju island. J Korean Women Health Nurs, 4(2), 271-285 

  17. Suh, Y. S., Park, H. S., & Lee, S. O. (2003). Assessment of the home postpartum care among puerperal women in a metropolitan city. J Korean Society of Maternal Child Health, 7(1), 57-69 

  18.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Boston: Allyn and Bacon 

  19. Veit, C. T., & Ware, J. E. (1983).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well-being in general populations, J Consult Clin Psychol, 51, 730-742 

  20. Yoo E. K. (1995) An Ethnographic Study of Sanhubyung experienced by Women in Korean Postpartal Care. J Korean Acad Nurs, 25(4), 825-836 

  21. Yoo, E. K. (199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health status and the experience of Sanhujori, the Korean traditional non-professional postpartal care. Korean Nurs, 36(5), 74-90 

  22. Yoo, E. K. (1998). Women's postpartal cultural need: Rethinking on the meaning of Sanhujori, the traditional postpartal care in Korea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Korean Nurs, 37(3), 27-39 

  23. Yoo, E. K., & Kim, M. H. (1999). Middle aged women's related factors climacteric symptoms and coping pattern: The relationship with sanhujori. J Korean Women Health Nurs, 5(1), 200-212 

  24. Yoo, E. K., Lee, S. H., Kim, M. H.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anhujori, the traditional postpartal care in Korea and present health status of chronic arthritis female patient. J Korean Women Health Nurs, 4(2), 217-230 

  25. Youngblut, J. M., & Ahn, S. (1997). How does maternal employment affect preterm infants? MCN Am J Matern Child Nurs, 22(4), 204-208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