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년초 젖산 발효액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
Development of Jelly Fortified with Lactic Acid Fermented Prickly Pear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3, 2005년, pp.408 - 413  

손민정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황기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ucomannan과 κ-carrageenan을 혼합하여 액상과당, 해조칼슘, 유기산,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 발효액을 첨가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발효액은 pH 3.12, 적성산도 1.15%(lactic acid, v/v), 2.7×10/sup 9/CFU/mL의 젖산균을 포함하며 L값 19.6, a값 12.3, b값 1.4를 나타내었다. 젤리 제조시에 백년초 발효액을 4%첨가하였을 때, 견고성은 약간 낮지만 탄력성이 높은 부드러운 젤리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젤리의 색과 맛에서도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유기산 중 citric acid를 0.25%(v/v) 첨가했을 때 견고성과 탄력성이 좋은 젤리를 형성한 반면, ascorbic acid를 0.25%(v/v) 첨가했을 때는 푸딩과 같은 부드러운 젤리가 형성되었다. κ-carageenan농도에 따른 젤리의 제조에서 0.75%의 κ-carrageenan을 첨가했을 때 젤리의 견고성과 brittleness가 높았고, 0.9% 첨가시에는 오히려 젤리의 견고성이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0.25%의 citric acid와 30%의 액상과당을 함유하며 0.15%의 glucomannan과 0.6% 또는 0.75%의 κ-carrageenan을 혼합한 젤리의 전반적인 선호도가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he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rickly pear jelly made from κ-carrageenan and glucomannan were examined. Prickly pear extract (PPE) fermented by Lactobacillus casei LS (isolated from soy milk curd residue) exhibited pH 3.12, 1.15% acidity (lactic acid) and 2.7 × 10/sup 9/ CF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당류를 이용한 젤리의 제조 과정에서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 발효액을 첨가하여 혼합다당류 젤리에 백년초 열매의 고운 붉은 색깔과 점 질물 등의 기능성 성분을 부여하며, 젖산발효를 통해서 probiotics로서 젖산균이 강화된 기능성 젤리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젤 형성능이 우수하고, 열 가역성이 뛰어나 과일 젤리와 같은 디저트 젤리의 겔화제로 주로 사용되는 K-carrageenan (14, 15)과 변비 개선에 탁월하고 다이어트 식품소재로 이용되는 glucomannan(16, 17)의 혼합 다당류 용액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 발효액을 첨가하여 젤리를 제조한 후 이들의 물성과 기호성을 평가함으로서 천연색소, 점 질물 및 젖산균을 함유한 젤리 제조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다당류를 이용한 젤리의 제조 과정에서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 발효액을 첨가하여 혼합다당류 젤리에 백년초 열매의 고운 붉은 색깔과 점 질물 등의 기능성 성분을 부여하며, 젖산발효를 통해서 probiotics로서 젖산균이 강화된 기능성 젤리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젤 형성능이 우수하고, 열 가역성이 뛰어나 과일 젤리와 같은 디저트 젤리의 겔화제로 주로 사용되는 K-carrageenan (14, 15)과 변비 개선에 탁월하고 다이어트 식품소재로 이용되는 glucomannan(16, 17)의 혼합 다당류 용액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 발효액을 첨가하여 젤리를 제조한 후 이들의 물성과 기호성을 평가함으로서 천연색소, 점 질물 및 젖산균을 함유한 젤리 제조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ung H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 J Soc Food Sci 16: 160-166 

  2. Kossori RL, Villaume C, Boustani E, Sauvaire Y, Mejean L. 1998. Composition of pulp, skin and seeds of prickly pears fruit (Opuntia ficus-indica sp.). Plant Foods Hum Nutr 52: 263-270 

  3. Jeong SJ, jun KY, Kang TH, Ko EB, Kim YC. 1999. Flavonoids from th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Kor J Pharmacogn 30: 84-86 

  4. Majdoub H, Roudesli S, Picton L, Le Cerf D, Muller G, Grisel M. 2001. Prickly pear nopals pectin from Opuntia ficus indica physico chemical study in dilute and semidilute solutions. Carbohydr Polymers 46: 69-79 

  5. Femandex ML, Trejo A. 1994. Prickly pear (Opuntia sp.) pectin alters hepatic cholesterol metabolism without affecting cholesterol absorption in Guinea pigs fed a hypercholesterolemic diet. J Nutr 124: 817-824 

  6. Shin JE, Han MJ, Lee IK, Moon YI, Kim DH. 2003. Hypoglycemic activity of Oouruia ficus-indica var. saboten on alloxan- or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or J Pharmacogn 34: 75-79 

  7. Joubert E. 1993. Processing of the fruit of five prickly pear cultivars grown in South Africa. International J Food Sci Technol 28: 377-382 

  8. Lee SP, Lee SK, Ha YD. 2000. Alcohol fermentation of Opuntia ficus fruit juice. J Food Sci Nutr 5: 32-36 

  9. Bae IY, Yoon EJ, WOO JM, Lee HG, Yang CB.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 traditional wine using th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1 -17 

  10. Lee SP, Son MJ. 2004. Optimization of lactic acid fermentation of prickly pear extract. J Food Sci Nutr 9: 7-13 

  11. Kim IC. 1999. Manufacture of citron jelly using the citron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96-402 

  12. Yoon HS, Oh M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 polysaccharide gels with various kiwifruit contents. Kor J Soc Food Cookery Sci 19: 511-520 

  13. Medina-Torres L, Torrestiana-Sanchez B, Alonso S. 2003. Mechanical properties of gels formed by mixtures of mucilage gum (Opuntia ficus indica) and carrageenans. Carbohydr Polymers 52: 143-150 

  14. Lee JH, Park SJ, Son SH. 1993.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modified starch and carrageenan complex as stabilizer. Kor J Food Sci Technol 25: 672-676 

  15. Yoo MH, Lee HG, Lim ST. 1997.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s prepared with glucomannan extracted from Amorphophallus konjac. Kor J Food Sci Technol 29: 255-260 

  16. Yoshimura M, Nishinari K. 1999. Dynamic viscoelastic study on the gelation of konjac glucomannan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Food Hydrocol 13: 227 233 

  17. Heenan CN, Adams MC, Hosken RW, Fleet GH. 2002. Growth medium for culturing probiotics bacteria for applications in vegetarian food products. Lebensm- Wiss u-Technol 35: 171-176 

  18. Nancib N, Boudjelal A, Benslimane C, Blanchard F, Boudrant J, 2001.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by different nitrogen sources on the production of lactic acid from date juice by Lactobacillus casei subsp. rhamnosus. Bioresource Technol 78: 149 - 153 

  19. Lee YC, Hwang K, Han DH, Kim SD. 1997.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J Kor Food Sci Technol 29: 847-853 

  20. Joo DS, Cho SY. 2003. Preparation of carrageenan hydrolysates from carrageenan with organic ac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42-46 

  21. Lai VM, Wong PA, Lii CY. 2000. Effects of cation properties on sol-gel transition and gel properties of kappa carrageenan. J Food Science 65: 1332-1337 

  22. Macartain P, Jacquier JC, Dawson KA. 2003.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alcium induced K-carrageenan networks. Carbohydr Polymers 53: 395-400 

  23. Choi JY, Song ES, Chung HK. 1994. A study of textural properties and preferences of fruit pectin jelly. Kor Dietary Culture 9: 259-266 

  24. Chun HJ, 1995. Influence of carrageenan addi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Omija extract jelly. Kor J Soc Food Sci 11: 33-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