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숭아 분말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Peach(Prunus persica L. Batsch) Powder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3 = no.78, 2016년, pp.108 - 120  

이정애 (호원대학교 외식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젤리를 제조한 후 젤리의 물리화학적 품질특성(pH, 색도, 외관색상, 경도)과 소비자 기호도(색, 향미, 씹힘성, 맛, 전체적 기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젤리의 pH는 증가하였다(p<0.001).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복숭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01),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복숭아 분말 첨가 젤리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복숭아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소비자 검사결과, 15% 첨가군이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젤리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복숭아 분말의 기능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젤리의 최적첨가 농도는 15%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peach powder, which is well known for its various functions and biological activity.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peach powder as a value-added food ingredient, using a model food system of jelly, was investigated. Peach p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복숭아는 생과 위주의 소비철이 지난 후에 가치가 떨어지고 복숭아의 판매가가 급락할 경우, 복숭아를 이용할 수 있는 가공품 개발과 상품화를 통하여 가치를 부여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유통기간 연장과 편의성을 제고시킨 새로운 형태의 복숭아 제품 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관련 원료작물의 소비 및 확대와 소득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복숭아 분말 젤리제품 가공품개발을 위해 품질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젤리를 만들 때 쓰는 겔화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젤리는 수분 함량을 20% 내외로 함유한 당류기호 식품으로 수분을 결합할 수 있는 겔화제인 펙틴, 젤라틴, 한천, 알긴산 등과 산을 이용하여 만든 저장성이 뛰어난 식품으로(Kang NE et al 2006), 부드러운 감촉으로 기호도가 높아 유아, 여성, 노인용 식품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식품이다. 식생활의 다양화 및 고급화로 디저트로서 젤리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제조 공정에 따라서도 다양한 제품으로 젤리의 고급화가 이루어지고 있다(Cho YㆍChoi MY 2010).
복숭아에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복숭아에는 식물성 섬유인 펙틴과 비타민 A, C가 풍부하여 변비 해소와 혈액을 깨끗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며Chung JH et al 2003), 복숭아 꽃잎을 말린 백도화는 이뇨제로 사용되며, 잎은 두충과 함께 복통의 치료에 여러 가지 효능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Park GSㆍCho JW 1998). 또한, 생체 내에서 니코틴 독성 물질 해독 효과와 항암 활성(Kim HJ et al 2008), 항노화 및 미백활성(Kim KH et al 2012), 갈증 해소, 피로 회복, 숙취해소, 심장병, 고혈압, 골다공증과 같은 퇴행성 만성질환 (Block G et al 1992)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어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도 그 가치가 있다.
복숭아는 어떤 성분에 의하여 독특한 향과 감미를 가지는가? 7 g으로 구성되어(농촌진흥청, 국가표준 식품성분표, 복숭아 2015) 수분과 당분이 주성분이며, 과육은 아스파르트산 함량이 높으며, 유리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독특한 향과 과즙이 많아 부드러우며, 주석산,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고, 말산과 개미산, 초산, 타르타르산 등의 에스테르와 알코올류, 알데히드류에 의해 독특한 향기와 감미를가진다(Lee DS et al 1972; Lee HB et al 197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농사로, 우리나라복숭아 산업 동향, Assessed August 28. 2014. Available from;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PrdlstCode.ps?menuIdPS00067&tabValFT#1 

  2. 농촌진흥청, 국가표준 식품성분표 복숭아(천도, 생것), Assessed January 02, 2015 Available from; http://koreanfood.rda.go.kr/kfi/fct/fctFood-Srch/list 

  3. 통계청, 과실생산량복숭아, Assessed January 02. 2015. Available from;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292&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4. 통계청, 농작물생산조사, Assessed January 02. 2015.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292&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5. 한국민족 문화 대백과, 복숭아나무, Assessed January 02. 2015. Available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 

  6. Block G, Patterson B, Subar A (1992). Fruit, vegetable, cancer prevention: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Nutr Cancer 18(1):1-29. 

  7. Cho Y, Choi MY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pomegranate powder and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2):134-142. 

  8. Cho Y, Choi M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turmeric (Curcuma longa L.) and beet (Beta vulgaris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481-489. 

  9. Choi EJ, Lee JH (2013).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jelly incorporated with purple sweet potato concentr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1):47-52. 

  10. Chung JH, Mok CK, Lim SB, Park YS (2003). Changes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of peach wine and quality improvement by ultrafilt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4):506-512. 

  11. Jung EY, Lee HS, Oh YH, Son HS, Suh HJ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lly prepared with garlic.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4):627-634. 

  12. Kang NE, Lee IS, Cho MS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resistant starch. Kor J Food & Nutr 19(4):532-53. 

  13. Kim AJ, Yuh CS, Bang IS (2007).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dongchunghacho jelly with assorted increments of Paecilomyces jaonica powder. Korean J Food & Nutr 20(1):40-46. 

  14. Kim DM, Kim KH, Choi IJ, Yook HS (2012).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nripe Korean peaches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2):221-226. 

  15. Kim HJ, Hong SK Min AY, Shin SK, Sim EK, Yoon JH, Kim MR (2015).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Saengmaegsan concentr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3):393-400. 

  16. Kim HJ, Kim KR, Chung WY, Park KK (2008). Development of effective compositions comprising the extract of Prunus persica for detoxication of tobacco-derived substances. Abstract No II-117 presented at 2008 Fall Meeting of Korean Medicinal Crop Science Chungju, Korea. 

  17. Kim HS, Kang JS (2012).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y milk jelly using medicinal herb composites with cognitive eff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9):1281-1287. 

  18. Kim IC (1999). Manufacture of citron jelly using the citron-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2):396-402. 

  19. Kim JE, Chun HJ (1990). A study on making jelly with omij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6(3):17-24. 

  20. Kim KH, Kim DM, Yu S,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unripe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2):156-160. 

  21. Kim KH, Lee KH. Kim SH, Kim NY, Yook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s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10-115. 

  22. Kim MS, Kim KH, Yook HS (2009).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cv Dangeum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3):364-371. 

  23. Kim SJ, Park HY (2010). Comparison of free sugar content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on different parts of 'Changhowon Hwangdo' peach fruit. Korean J Hort Sci Technol 28(3):387-393. 

  24. Lee DS, Woo SK, Yang CB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fruits in Korea-On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sugar contents of apricot (maesil), peach, grape, apple and pear and its seasonal var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134-139. 

  25. Lee GD, Yoon SR, Lee MH (2004). Monitoring of organoleptic and physical properties on preparation of oriental melon jel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8):1373-1380. 

  26. Lee HB, Yang CB, Yu TJ (1972).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fruit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On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sugar contents of apricot (maesil), peach, grape, apple and pear and its seasonal var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36-43. 

  27. Lee JA, Park G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made with yam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884-890. 

  28. Lee JB, Chung HS (2008).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unripe preaches. Korean J Food Preserv 15(1):79-83. 

  29. Lee JH, Ji YJ (2015).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elatin jelly incorporated with cranberry concentr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7):1100-1103. 

  30. Lee JH, Lee MK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incorporated with sweet pumpki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139-142. 

  31. Lee JY, Yoon HY, Kim M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with black garlic. Korean J Food Culture 25(6):832-838. 

  32. Lee KY, Lee JW, Han YS, Yoon H, Ko SH (2013). Qualitycharacteristics of jelly using the tarak, traditional fermented milk. Korean J Food Cookery Sci 29(5):599-603. 

  33. Lim YT, Kim DH, AhnJB, Choi SH, Han GP, Kim GH, Jang KI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with peach(Prunus persica L. Batsch) Juice. Korean J Food & Nutr 25(3):664-670. 

  34. Mo EK, Kim HH, Kim SM, Jo HH, Sung CK (2007). Production of sedum extract adding jelly assesment of its physi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6):619-624. 

  35. Na HS, Bae RN, Lee SG (2012). Effect of nitrous oxide ( $N_2O$ ) treatment on quality of peach (Prunus persica) postharvest. Korean J Hort Sci Technol 30(1):42-49. 

  36. Oh HJ, Lee JY, Lim SB(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pressed Kiwi(Actinidia chinensis var. 'Halla Gold') Jui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5):110-120 

  37. Paik JE, Joo NM, Sim YJ, Chun HJ (1996). Studies on making jelly and mold salad with grape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12(3):291-294. 

  38. Park BS, Han RM, Kim A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of jelly using Darae extract for childre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5):561-568. 

  39. Park GS, Cho JW (1998) The effects of addition of agar on the texture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 Nutr 11:(1) 61-67. 

  40. Park HJ, Yoon IK, Yang YJ (2010). Quality changes in peaches 'Hwangdo' treated with 1-MCP. Korean J Hort Sci Technol 28(2):97-98. 

  41. Park JY, Son IC, Kim D (2010). Effects of foliar spray of calcium hydroxide on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in 'Daewo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Korean J Environ Agric 29(2):102-108. 

  42. Park SG, Song TH, Kim DH, Kim GH, Jang KI (2014). Quality properties of peach pudding added with Korean peach(Prunus persica L. Batsch) juice and gelat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2):265-272. 

  43. Son JM, Whang K, Lee SP (2005). Development of jelly fortified with lactic acid fermented prickly pea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408-41. 

  44. Yu OK, Kim JE, Cha Y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okbunj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6):792-7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