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of the Science Teachers at Science Academy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5 no.4, 2005년, pp.514 - 525  

김경진 (서울대학교) ,  권병두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  최승언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재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서는 영재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현재 각급 학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단 기간의 영재교육연수를 받은 후 영재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런 단기간의 영재교육연수만으로도 그동안 일반 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던 교사가 영재교육에 대한 나름대로의 철학을 정립하고 영재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최근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과학영재학교에서 과학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개인적 신념과 교수활동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구체적 으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아.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무엇인가? 둘째, 이들의 신념은 교수활동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 되고 있는가?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과학영재학교 물리교사 2명, 생물교사2명, 기구과학교사1명으로 총 5명이다. 자료는 참여교사 당 4차시의 수업 관찰 및 녹화, 심층면담을 통해서 수집하였고, 모든수업과 면담자료를 전사 후에 분석하였다. 이외에 추가적인 자료는 이메일을 통해서 수집하였다. 참여교사들의 사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신념이 서로 맞물려 하나의 신념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교사들의 신념체계는 '학생 중심', '교사 중심', '갈등 혼돈', 이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학생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수업진행 시 학생들의 질문이나 의견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며, 학생들이 교사의 지적권위에 의지하지 않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수업에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수업에 동참하게 하는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교사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주어진 시간 내에 많은 지식을 가르치는데 치중하고, 수업진행에서 학생보다 교사가 절대적인 역할을 수항하여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수업을 이끌어나가기 보다는 교사의 지적권위에 학생들이 의존하는 수동적인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갈등 혼돈'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는 자신만의 확고한 신념체계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교수활동에서 전통주의 교수학습관이 많이 반영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시켜준다. 특히, 영재학생 담당교사의 경우는 영재교육에 관한 신념뿐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개인적 신념이 교수활동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더하여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사교육에 대한 몇 가지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oviding education to gifted students as well as to students in general are the teachers themselves. However, at present in Korea, most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re educated by in-service training programs on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습 일반에 대한 질문은 교수학습관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교사활동(특히 R&E 활동), 가르치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이해와 기대礼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과학영재교사의 자질 등에 대한 질문들은 영재학생에 대한 인식 및 영재교육관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밖에 참여교사들이 자신의 과목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서 학생들에 대한 기대치와 수업내용 및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여 교과목에 대한 신념을 묻는 질문을 구성하였으며, 교수활동에서의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은 서로 주고받는 질문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질문에 대한 인식 및 대처방법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도 구성하였다.
  •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 활동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 이론수업이외의 R&E활동이나 실험수업의 교수 활동들에서 보여 질 수 있는 신념들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 중심' 신념체계와 교수 활동, '교사 중심' 신념체계와 교수활동, '갈등 혼돈' 신념체계와 교수활동의 순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2. 서혜애, 손연아 (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 분석. CR2003-26, 한국교육개발원 

  3.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정현철 (2004). 제 5기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 결과 보고서, TR2004-3, 한국교육개발원 

  4. 조영달 (2001). 한국 중등학교 교실수업의 이해, 교육과학사 

  5. 최호성, 남정희, 박수경, 서혜애, 주동범 (2004). 과학영재학교 운영 실태 분석 및 평가 방안연구. 한국과학재단 

  6. Brickhouse, N. W. (1990).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ir Relationships to Classroom Practic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 53-62 

  7. Brington, C. M (2001). In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 Change: Teachers' Beliefs and Conceptions.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8. Cronin-jones, L. L. (1991). Science Teacher Beliefs and Their Influence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Two Case Stud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3), 235-250 

  9. Haney, J. J., & McArthur, J. (2002). Four Case Studies of Perspective Science Teachers' Beliefs Concerning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Science Education, 86(6), 783 - 802 

  10. Kage. M., Uebuchi, H., & Oie, M. (1997). Effects of Teachers' Beliefs Related to Teaching Methods in Classroom Teaching and Children's Attitudes-in Relation with Teachers' Orientation toward Autonomy. The Japane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45(2), 192-202 

  11. Nespor, J. (1987). The Role of Beliefs in the Practice of Teach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9, 317-328 

  12.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13. Speer, N. M. (2001). Connecting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s: A Study of Teaching Assistants in Reform-Oriented Calculus Courses.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4. Tomlinson C. A. (1996). Good Teaching for One and All: Does Gifted Education Have an Instructional Identity?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0(2), 155-174 

  15.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