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오염 지역의 위해성 평가에 관한 외국 정책의 비교분석 및 우리나라의 정책 개선에 관한 고찰
Policy Suggestions to Korea from a Comparison Study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the Netherlands, and Denmark's Polices on Risk Assessment of Contaminated Soil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0 no.5, 2005년, pp.1 - 10  

박용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양재의 (강원대학교 생물환경학부) ,  옥용식 (강원대학교 생물환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지역의 위해성 평가에 관한 미국, 영국,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의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들 국기는 미국과 18개 유럽 국가들에 관한 유럽연합의 초기 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선택하였다. 이로부터 도출한 시사점은 토양오염지역의 조사 및 관리를 위해 각 국가들은 위해성 평가를 이용하고 있으며, 토양질 기준을 정책수 단으로 위해성 평가와 병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외국의 정책과 시사점을 고려할 때, 위해성 평가를 정책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책 추진을 제언할 수 있다. 첫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용 할 수 있는 합리적인 위해성 평가 방법의 마련이다. 둘째, 부지의 위해성 평가를 토양질의 기준과 연계시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부지의 위해성 평가방법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자료의 분석을 통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사회 다양한 계층간의 논의 및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토양오염으로 간주되는 토양질 기준을 초과하는 부지의 경우에 위해성 평가의 시행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해성 평가는 오염물질의 자연함량이 일반적으로 다른 특정 지역, 예를 들면 광산지역 등에 대해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금번 연구의 결과는 토양 오염지역의 위해성 평가에 관해 우리가 시행해야 할 추가적인 연구 및 정책시뮬레이션의 실행 동기를 함께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토양오염지역을 조사, 복원, 해제에 따른 법, 제도 발전의 한 부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the Netherlands, Germany and Denmark were compared and analyzed on risk assessment of contaminated sites. These countries were chosen from a feasible preliminary analysis of 18 countries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U. S. All the countries se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해성 평가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리나라 오염지역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오염토양의 관리 및 복원 방법으로 오염물질의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RBRS, risk based remediation strategy)을 수립하고, 주요 토양오염물질인 PAH(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를 포함한 유류를 대상으로 RBRS의 현장적용을 시도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국내에서의 RBRS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당시 우리나라에서 RBRS를 현실화하기까지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그러나 제 1 안에서는 “토양오염으로 간주되는 기준을 약간 초과하는 지역 또는 토야오염지역이 소규모로 제한적인 경우에 대해서 위해성 평가를 할 것인가 또는 하지 않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적절한 답으로는 오염물질이 토야오염으로 간주되는 토양질 기준을 약간 초과하는 지역 또는 토양오염지역이 소규모로 제한적인 경우에 대해 위해성 평가 기회를 토양 오염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토양오 염의 책임자에게 이에 대해 위해성 평가를 시행하여 복원 목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독성물질에 대한 생태계 보호 정책의 목적은 생태계의구조와 기능을 보호하는데 있다. 생태학적 위해성 평가를실시할 때, i) 토양농도와 육상 생물종 구성에 회복할 수없는 피해와의 상관관계, ii) 토양농도와 미생물과 효소작용에 대한 부정적 영향과의 상관관계를 고려한다.
  • 위해성 평가 방법은 토양오염물질의 위해성을 적절히 판단할 수 있는 위해성 평가 모델을 마련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관해 미국, 영국, 독일의 위해성 평가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고, 네덜란드의 C-Soil과 SEDl-Soil 모델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한 바있다.
  • 위해성 평가는 토양에서 발견되는 오염물질에 의한 위해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다. 토앙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크리닝, 단계와, 평가, 단계를 시행한다.
  • 연구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1998년도에 토양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토양오염물질 외에 추가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토양오염물질 및 토양오염유발시설의 확대 여부를 위해성 평가와 연계하여 검토한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당시 우리나라의 여건이 토양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기본 자료와경험 등이 미흡하여 위해성 평가제도의 도입은 어렵다는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 연구는 1998년도에 토양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토양오염물질 외에 추가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토양오염물질 및 토양오염유발시설의 확대 여부를 위해성 평가와 연계하여 검토한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당시 우리나라의 여건이 토양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기본 자료와경험 등이 미흡하여 위해성 평가제도의 도입은 어렵다는결론을 도출하였다.
  •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오염토양의 관리 및 복원 방법으로 오염물질의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RBRS, risk based remediation strategy)을 수립하고, 주요 토양오염물질인 PAH(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를 포함한 유류를 대상으로 RBRS의 현장적용을 시도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국내에서의 RBRS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이때 위해성 평가의 목적은 토양오염으로부터 야기되는 인체와 환경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위해성 평가는 사례에 기초하여 실시되며, 결과는 토지의 이용용도, 오염의 정도 및 범위, 관련된 수용체 및 노출경로의 존재 등에 따라 달라진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위해성 평가에 관해 연구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미국, 영국,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의 관련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토양오염지역의 위해성 평가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리나라 오염지역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 첫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용하고 국민들이 신뢰할 수있는 위해성 평가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위해성 평가방법을 마련하는 것은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문제이다.
  • 그리고 이에 대한 적절한 답으로는 오염물질이 토야오염으로 간주되는 토양질 기준을 약간 초과하는 지역 또는 토양오염지역이 소규모로 제한적인 경우에 대해 위해성 평가 기회를 토양 오염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토양오 염의 책임자에게 이에 대해 위해성 평가를 시행하여 복원 목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 지역의 방치에 의해 환경 위해성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법적인 책임이 토양오염책임자에게 부여되는 것은 당연한 조치일 것이다.

가설 설정

  • 제거하는 것이다. 부지의 위해성 관리는 i) 오염원의 제거. 및 감소, ii) 오염물질이 수용체로 도달하도록 하는 경로의 파괴 및 차단, ⅲ) 수용체의 제거 및 변경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행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박용하, 김미정, 정승우, 이양희, 김민정, 조장은, 2003a, 토지 이용 용도별 토양오염기준 및 복원기준 마련 연구, 환경부, p. 210-287 

  2. 박용하, 윤서성, 방상원, 김미정, 양재의, 이양희, 2002, 토양오염지역의 관리 및 복원방안 연구 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 72-79 

  3. 박용하, 윤서성, 송재우, 장지수, 이양희, 2003b, 토양오염지역의 관리 및 복원방안 연구 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 18-141 

  4.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방안,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5. 한국토양환경학회, 1998, 효율적인 토양오염조사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토양환경학회 

  6. Bieber, A., Franzius, V., and Freier, K., 1999, In: Ferguson, C. and Kasamas, H. (ed.), Risk assessment for contaminated sites in Europe, Volume 2 Policy Frameworks, LQM Press, Nottingham, U. K., p. 61-76 

  7. Dennemann, C.A.J., 1997, Risk assessment in soil policy in the Netherlands, Ministry of Housing, Spatial planning and environment, The Hague, The Netherlands. Proceedings of the 3rd CARACAS meeting, Vienna, Austria 

  8. Frank, A.S., 1999, Risk-based assessment of soil and groundwater quality in the Netherlands: standards and remediation urgency, Risk Analysis, 19(6), 1235-1249 

  9. Herbert, S., 1999, United Kingdom, In: Ferguson, C. and Kasamas, H. (ed.), Risk assessment for contaminated sites in Europe, Volume 2 Policy Frameworks, LQM Press, Nottingham, U. K., p.165-176 

  10. Jensen, B.K., 2001,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Denmark, Proceeding of the Brownfields 2001 1st Int. Conf. on Contaminated Land, DHI ref. 36/01, Kuala Lumpur, Malaysia 

  11. Kibblewhite, M., 2001, Identifying and Dealing with Contaminated Land, In: Hester, R. E. and Harrison, R. M. (ed.), Issue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No. 16 Assessment and reclamation of contaminated land,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Press, London, U. K., p. 45-64 

  12. Lowe, M. and Lowe, J., 2001, The New UK contaminated land regime, In: Hester, R. E. and Harrison, R. M. (ed.), Issue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No. 16 Assessment and reclamation of contaminated land,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Press, London, U. K., p. 21-44 

  13. Prokop, G., Schamann, M., and Edelgaard, E., 2002,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Western Europe, European Environment Agency, Copenhagen, Denmark 

  14. Quint, M., 2001, Ecological risk assessment under the new contaminated land regime, In: Hester, R. E. and Harrison, R. M. (ed.), Issue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No. 16 Assessment and reclamation of contaminated land,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Press, London, U. K., p. 103-114 

  15. U. K. Department of Environment, 2000, Transport, and regions, circular 2/2000 Annex 2 statutory guidance Chapter B, London, U. K 

  16. USEPA, 1999,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