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오염 위해성평가를 위한 국가별 노출인자 비교분석 및 국내 노출인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Exposure Factors for Risk Assessment in Contaminated Lands and Proposed Exposure Factors in Kore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2 no.1, 2007년, pp.64 - 72  

안윤주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이우미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매체중의 오염물질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체나 생태계에 노출되어 위해성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토양위해성평가(Soil Risk Assessment)는 토양오염물질로 인한 악영향의 개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으로, 유해성 확인(Hazard Identification), 용량-반응평가(Dose-Response Assessment),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그리고 위해도 결정(Risk Characterization)의 4가지 단계적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중 노출평가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노출인자(Exposure Factor)는 토양오염물질의 인체노출량을 산정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미국, 유럽국가 등 선진국에서는 나라별 상황에 적절한 노출인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국내에 적용하기 적합한 노출 인자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 위해성평가를 위한 국가별 노출인자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상황에 적용가능한 노출인자를 제시하였다. 국가별 노출인자 연구는 미국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영국 Environmental Agency, 네덜란드 RIVM, 호주, 그리고 독일에서 적용되고 있는 노출인자값에 대해 노출인자별로 총괄적인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가별 비교분석연구와 국내에서 제시된 노출인자 자료를 종합하여, 국내자료가 없는 경우 외국에서 보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인자값을 국내 적용 타당성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노출인자 조사항목은 평균수명, 노출기간, 노출빈도, 체중, 체표면적(또는 노출체표면적), 피부흡수계수(Skin Absorption Factor), 토양-피부간 흡착계수(Soil-Skin Adherence Factor), 음용수 섭취량, 호흡률, 토양 섭취량 그리고 농작물 섭취량 등이다. 본 연구는 오염토양의 위해성평가를 수행할 때 국내 상황을 고려한 노출평가에 필요한 기반연구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mans are exposed by a range of pollutants in soil via exposure routes such as ingestion, inhalation, and dermal contact. Risk assessment is a process of evaluating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chemicals as a result of exposure to stressors, and it is a very useful tool to establish the cleanup g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7)에서 적용되고 있는 노출인자값에 대해 노출인자별로 총괄적인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국가 별 비교분석연구와 국내에서 제시된 노출인자 자료를 종합하여, 현재 국내인프라를 토대로 국내에서 적용가능한 토양위해성평가 노출인자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노출인자 자료는 토양오염물질로 인한 인체노출량 산정에 필요한 항목으로 한정하였고, 포함된 노출인자 조사항목은 평균수명, 노출기간, 노출빈도, 체중, 체표면적(또는 노출체표면적), 피부흡수계수(Skin Absorption Factor), 토양-피부간 흡착계수(Soil-Skin Adherence Factor), 음용수 섭취량, 호흡률, 토양 섭취량, 그리고 농작물 섭취량 등이다.
  •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 위해성평가를 위한 국가별 노출인자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상황에 적용가능한 노출인자를 제시하였다. 국가별 노출인자 연구는 미국 환경보호청(US EPA, 1997; 2002a; 2002b; 2004), 영국 Environmental Agency(EA, 2002), 네덜란드 RIVM(RIVM, 2001), 호주(NEPC, 1999), 그리고 독일(Stubenrauch et al.

가설 설정

  • 노출빈도는 환경매체에 계속적으로 노출된다고 가정하여 주거지역은 365일, 상업·공업지역은 250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한편, 성인여자의 하박면적은 성인남자의 45%라고 가정한다(US EPA, 2004). 어린이(1-6세)는 반팔, 반바지를 입고 신발을 착용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따라서 노출 체표면은 머리, 손, 하박, 종아리, 발 부분이 되며, 어린이 노출체표면적 기본값은 2800 cm2이다. 네덜란드는 성인과 어린이에 대한 실외/실내 노출표면적을 제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해성평가를 구분하는 4단계는 무엇인가? 또한 토양오염기준 설정시 위해성평가기법을 적용할 경우 토양오염기준의 합리성과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위해성평가는 일반적으로 4단계로 구분되는데 유해성 확인(Hazard Identification), 용량-반응평가(Dose-Response Assessment) 또는 독성평가(Toxicity Assessment),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위해도 결정(Risk Characterization)의 단계이다. 이중 노출평가는 토양오염물질의 인체노출량을 산정하는 과정으로 노출경로에 따른 노출인자가 관여하며, 노출평가시 사용되는 노출인자값은 평가대상에 따라 상이하다.
토양매체의 정화가 다른 환경매체의 정화와 다르게 어려움을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토양매체의 특성상 토양 내 오염물질은 토양 내에 장기간 잔류하며, 지하수나 음식물 섭취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인체로 유입된다. 오염된 토양의 정화는 환경적으로 시급한 문제이나, 토양매체는 다른 환경매체와 달리 정화하는데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경제적으로 막대한 예산이 요구된다. 따라서 오염조사를 포함한 위해성 평가를 통하여 합리적인 정화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국내 실정에 적합한 위해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위해성 평가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토양오염관리는 토양오염항목별 오염기준에 의존하고 있고 노출평가 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실정에 적합한 위해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위해성 평가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국립환경과학원(NIER), 2006, 위해우려물질 평가기법연구(III) 

  2. 산업자원부(MOICE), 2004,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 보 고서(2차년도 최종 보고서) 

  3. 보건복지부(MOHW),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영양조사 (I) 

  4. 이주영, 2005, 한국인 성인남녀의 체표면적에 관한 연구,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진수, 전효택, 2005, 오염된 토양, 지하수 및 쌀의 인체노출에 따른 비소의 위해성 평가, 자원환경지질, 38(5), 535-545 

  6. 이효민, 김현정, 윤은경, 이근영, 박경아, 박신희, 김윤희, 구정완, 양지선, 양기화, 2003, 위해성평가를 위한 한국인의 노출인자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 보고서, 7, 236-239 

  7. 통계청(KNSO), 2005, 2003년 생명표 

  8. ASTM, 2002, Standard Guide for Risk-Based Corrective Action applied to Petroleum Release Sites, E 1739-95 (Reapproved),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 PA, USA 

  9. EA, 2005, CLEA UK Handbook (Draft), Support document for the CLEA UK software Beta Version 1.0, Environmental Agency, Bristol, United Kingdom 

  10. EA, 2002, The contaminated land exposure assessment model (CLEA): Technical basis and algorithms, Environmental Agency, Bristol, United Kingdom 

  11. Kulhanek, A., Trapp, S., Sismilich, M., Janku, J., and Zimova, M, 2005, Crop-specific human exposure assessment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Czech soil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 339, 71-80 

  12. NEPC, 1999, Guideline on Exposure Scenarios and Exposure Setting, National Environment Protection Council, Adelaide, South Australia 

  13. Paustenbach, D.J., 2002,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Theory and Practice, A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4. RIVM, 2001, Evaluation and revision of the CSOIL parameter set, 711701 021, Research for Man and Environment, Bilthoven, The Netherlands 

  15. Stubenrauch S., Koschmieder HJ., Bauer D., Doetsch P., Grunhoff D., Hempfling R., and Mahr A., 1997, The UMS system for exposure assessment in soil,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16, 375-389 

  16. US EPA, 1996, Soil screening guidance: Technical background document, EPA/504/R-95/128,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17. US EPA, 1997, Exposure factor handbook, EPA/600/8-89/043,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18. US EPA, 2002a, Child-Specific Exposure Factors Handbook, EPA/600/P-00/002B,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19. US EPA, 2002b, Supplemental guidance for developing soil screening levels for superfund sit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20. US EPA, 2004,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 (Part E. Supplemental Guidance for Dermal Risk Assessment), EPA/540/R-99/005,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