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선채소류의 대형매장과 재래시장에서의 청결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중에 유통 중인 상추, 깻잎, 오이를 서울과 경기남부의 15개 대형매장과 21개 재래시장에서 sampling하여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Escherichia coli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오염도 수준을 평가하였다. 대형매장과 재래시장에서의 상추, 깻잎, 오이의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의 오염도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그러나 3가지 채소에서의 총호기성균 오염수준은 상추, 깻잎, 오이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수준은 각각 평균 $7.01{\pm}0.14\;log_{10}CFU/g$(대형)과 $7.10{\pm}0.11\;log_{10}CFU/g$(재래), $6.69{\pm}0.20\;log_{10}CFU/g$(대형)과 $6.44{\pm}0.13\;log_{10}CFU/g$(재래), $5.37{\pm}0.25\;log_{10}CFU/g$(대형)과 $5.27{\pm}0.19\;log_{10}CFU/g$(재래)이었으며 대장균군의 오염 순위 또한 같은 양상을 보였다. E. coli 검출률 역시 3가지 채소 모두에서 매장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p>0.05) 상추와 깻잎은 대형매장과 재래시장 모두에서 $30\%$ 이상의 빈도로 검출되었으나, 오이에서는 $10\%$ 미만의 검출빈도를 보였다. L. monocytogenes는 모든 채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ND: 오이 <3 CFU/g, 상추, 깻잎<10 CFU/g). 따라서 본 연구에서 측정된 오염수준은 신선채소류의 미생물 위해평가(MRA)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onitored and compared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scherichia coli, and L. monocytogenes of either lettuce, sesame leaf, or cucumber sampled from either 15 super markets(SM) or 21 traditional markets(TM) located in both Seoul and the southern part of 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E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higella sonnent 등이 검출되거나 식중독을 유발한 사례가 있다.2-5)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추, 깻잎 및 오이를 대형매장과 재래시장으로부터 샘플링하여 대표적인 저온성 위해세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및 E. coli의 오염도를 정량적으로 측정, 비교함으로써 오염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미생물위해평가(microbial risk assessment, MRA)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박희옥, 김창민, 우건조, 박선희, 이동하, 장은정, 박기환: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식중독 모니터링 및 추이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6, 280-294 (2001) 

  2. Itoh, Y., Sugita-Konishi, Y. Kasuage, F., Iwaki, M., Hara- Kudo, Y., Saito, N., Noguchi, Y., Konuma, H. and Kumagai, 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Present in Radish Sprouts, Appl. Environ. Microbiol., 64, 1352-1535 (1998) 

  3. Hedberg, C.W., Angulo, F.G., White, K.E., Langkop, C.W., Schell, W.L., Stobierski, M.G., Schuchat, A., Besser, J.M., Dietrich, S., Helsel, L., Griffin, P.M., McFarland, J.W., Osterhorm, M.T. and The Investigation Team: Outbreaks of Salmonellosis Associated with Eating Uncooked Tomatoes: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Epidemiol. Infect., 122, 385-393 (1999) 

  4. Beuchat, L.R., Harris, L.R., Linda, J., Ward, T.E. and Kajs, T.M.: Development of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Fresh Produce Sanitizers. J. Food Prot., 64, 1103-1109 (2001) 

  5. Harris, L.J., Beuchat, L.R. Kajs, T.M. Ward, T.E. and Taylor, C.J.: Efficacy and Reproducibility of a Produce Wash in Killing Salmonella on the Surface of Tomatoes Assessed with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Produce Santizers, J. Food Prot., 64, 1477-1482 (2001) 

  6. 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Food Science & Inspection Service, Office of Public Health and Science. Microbiology Laboratory Guidebook. Available from http:// www.fsis.usda.gov. Accessed Oct.25, (2004) 

  7.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2002) 

  8. Luginbuke, R., Schlotzhauer, S.D.: SAS/SAT Guide for Personal Computers, $6^{th}$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987) 

  9. Taormina, P.J., Rocelle, M., Clavero, S. and Beuchat, L.R.: Comparison of Selective Agar Media and Enrichment Broths for Recovering Heat-stressed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ground beef, Food Microbiol., 15, 631-638 (1998) 

  10. Willcox, F., Mercier, M., Hendrickx, M., Tobback, P.: Modelling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upon the growth of Psedpmonas fluorescens. Food Microbiol., 10, 159-173 (1993) 

  11. Gram, L., Ravn L., Rasch, M., Bruhn, J.B., Christensen, A.B., Givskov, M.: Food spoilage-interactions between food spoilage bacteria. Int. J. Food Microbiol., 78, 79-97 (2002) 

  12. Francis, G.A., Thomas, C. and O'Beirne, D.O. :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Sci. Technol., 34, 1-22 (1999) 

  13.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ttp:// www.kfda.co.kr. Accessed Oct.25 (2004) 

  14. Lund, B. M.: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prepared salad vegetables. Food Technology International Europe, pp. 196- 2000. Institute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93) 

  15. Beuchat. L.R., R.E. Brackett, D.Y.Y. Hao and D.E. Conner: Growth and thermal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cabbage and cabbage juice. Can. J. Microbiol., 32, 791-795 (1986) 

  16. Donnelly, C.W. and E.H. Briggs: Psychrotropic growth and thermal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s a function of milk composition. J. Food Prot., 49, 994-998 (1986) 

  17. Welshimer, H.J.: Isol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from vegetation. J. Bacteriol., 95, 300-320 (1968) 

  18. Weiss, J. and H.P.R. Seeliger.: Incid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nature. Appl. Environ. Microbiol., 30, 29-32 (1975) 

  19. Skovgaard, N. and C.A. Morgan: Detection of Listeria spp. in faeces from animals, in feeds, and in raw foods of animal origin. Int. J. Food Microbiol., 6, 229-242 (1988) 

  20. Heisick, J.E., D.E. Wagner, M.L. Nierman and J.T. Peeler: Listeria spp. found on fresh market produce. Appl. Environ. Microbiol., 55. 1925-1927 (1989) 

  21. Wehr, M.H.: Listeria monocytogenes-A current dilemma. J. Assoc. Off. Anal. Chem., 70, 769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