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scherichia coli O157:H7균에 대한 녹차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 and Fractions on the E. coli O157:H7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0 no.1, 2005년, pp.48 - 52  

조선영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최재호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함승시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오덕환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판되는 증자 녹차의 에탄을 추출물과 에탄을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분획물로부터 최근 병원성 식중독균으로서 문제시되고 있는 E. coli O157:H7균에 대한 항균성을 검색하였다. 에탄을 추출물로부터 그 유효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물로서 분획한 후 MIC를 검색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0{\mu}g/ml$의 농도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헥산 분획물은 활성이 없었다.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낸 에틸아세테이트 분회물의 농도별 항균력 및 pH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균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3균주 모두 $250-2000{\mu}g/disk$농도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다. 또한 E. coli O157:H7균은 산성조건에서는 생육이 가능하지만 pH 10 이상의 강한 알칼리 조건에서는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35^{\circ}C$에서 E. coli O157:H7 933과 932균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농도별 생육저해 효과를 검색한 결과 두 균주 모두 $250{\mu}g/ml,\;500{\mu}g/ml$의 농도에서는 12시간 이후부터 생육하기 시작하였으나 $1000{\mu}g/ml$의 농도에서는 생육이 크게 저해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green tea, and of solvent fractionated ethanol extract on Escherichia coli O157:H7. MIC value of 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ated ethanol extract (hexane, ethyl-acetate, chloroform and water)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국내에서의 차 추출물의 항균성 시험은 국내외산 녹차 추출물의 항균 작용,13)식품 유해균에 대한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항균 효과14-16)와 쌀밥 부패 미생물과 Pediococcus pentosaceus와 Lactobacillus brevis에 대한 녹차 물추출물의 항균 작용15-20)등이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균활성과 같은 여러가지 생리적 유용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적용 방법이 비교적 쉬운 녹차를 여러가지 유기 용매로 특정 성분을 추출한 다음 이 추출물로부터 병원성 균인 E. coli O157:H7균에 대한 항균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천연 식품보존제의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일반 대중들이 기호식품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녹차를 사용하여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액과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은 각각의 분획물의 E. coli O157:H7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은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ee, B. W., Shin, D. H. :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l., 23, 205-211 (1991) 

  2. Shin, D. H., Kim, M. S., Han, J. S. :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fractionates against food-born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08-816(1997) 

  3. Oh, D. H., Ham, S. S., Park, B. K., Ahn, C., Yu, J. Y. :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mol., 30, 957-963(1998) 

  4. Davidson, P. M. and Post, L. S. : Naturally occurring and miscellaneous food antimicrobials. In 'Antimicrobials in foods' Branen, A. L. and Davidson, P. M.(e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371(1983) 

  5. Maeda, S and Nakagawa, M. : General chemical and physical analysises on various kinds of green tea. Tea Research J., 545, 85-88(1977) 

  6. Muramatsu, K., Fukuyo, M. and Hara, Y. : Effect of green tea catechins on plasma cholesterol level in cholesterol-fed rats. J. Nutr. Sci. Vitaminol., 32, 613-615(1986) 

  7. Masak, H., Atsumi, T. and Sakurai, H. : Detection of hydroxygen proxide hydroxy radicals in murine skin firoblasts under UVB irradi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6, 474-479(1995) 

  8. Fujita, Y., Yamane, T., Tanaka, M., Kuwata, K., Okuzumi, J., Takahashi, T., Fujiki, H. and Okuda, T. : Inhibitory effec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carcinogenesis with N-ethyl-Nnitro- N-nitroguanidine in mouse duodenum. Jpn. J. Cancer Res., 80, 503-508(1989) 

  9. Rhi, J. W. Shin, H. S. : Antioxidant effect of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759-763(1993) 

  10. Lee, J. O., Kim, M. C., Kim, M. H., Park, J. S. Park, E. J. : Studies on the phenolic compounds an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plant used as commercial teas. The Annual Report of KFDA, 1, p. 21-32(1996) 

  11. Park, C. O. Jin, S. H. Ryu, B. H. :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50-858(1996) 

  12. Ryu, B. H., Park, C. O. : Antioxidant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enzymatic activities of hairless mice skin induce by ultraviolet B ligh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355- 361(1997) 

  13. Kim, Y. G. : Antibacteria activities of korean and foreign green tea extract. Kor. J. Env. Hlth. Soc., 21, 39-49(1995) 

  14. Yeo, S. G., Ahn, C. W., Kim, I. S., Park, Y. B., Park, Y. H., Kim, S. B. :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3-298(1995) 

  15. Rho, H. J., Shin Y. S., Lee, K. S. Shin, M. K. :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against cooked rice putrefactiv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6-71(1996) 

  16. Oh, D. H., Lee, M. K. Park, B. K. :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rne organisms. J. Korean soc. Food Nutr. 28, 100-106(1999) 

  17. Choi, S. I., Lee, J. H., lee, S.R. : Effect of green tea beveratgge for the removal of cadmium and lead by animal experiments. J. Food Sci. Technol., 26, 740-744(1994) 

  18. Choi, S. I., Lee, J. H., Lee, S. R. : Effect of green tea beverage on the removal of cadmium and lead by membrane filtration. J. Food Sci. Technol., 26, 740-744(1994) 

  19. Cho, Y. J., Ahn, B. J. Choi, C. : Inhibition effect of agains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of flavan-3-ols isolated kroean green tea. J. Food Sci. Technol., 25, 238-242(1993) 

  20. Shin, M. K., Shin, Y. S. : Antimicrobial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against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obacillus brevis isolated from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5, 309-315(1995) 

  21. Siragusa, G. R. and Nettlesl, C. G. : Efficacy of organic acid decontamin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on the beef carcass tissue in a pilot scale model carcass washing system. Summary report prepared by U.S.Dept. of Agricutural Research Service, U.S. Meat Animal Research Center, Clay Center, NE(1993) 

  22. Zhoa, T., Doyle, M.O. and Besser, R.E. : Fate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in apple cider with and without prevervatives. Appl. and Environ. Microbiol. 59, 2526-2530(1993) 

  23. Brackett, R.E., Hao, Y.Y. and Doyle, M.P. : Ineffectness of hot acid sprays to decontaminate Escherichia coli O157:H7 on beef. J.Food Prot. 57, 198-203(1994) 

  24. Abdul-Raouf, U.M., Beuchat, L.R.. and Ammar, M.S. : Survival and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ground, roasted beef as affected by pH, acidualants, and temperature. Appl. and Environ. Microbiol. 31, 847-852(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