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 브랜드 태도, 지각된 품질이 VMD 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rand Previous Knowledge, Previous Brand Attitude, Perceived Quality on VMD Cognition and Attitude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7 no.5, 2005년, pp.519 - 526  

박현희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jor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brand previous knowledge, previous brand attitude, perceived quality on VMD cognition and attitude. Eight brand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stimuli brands for this study. A total of 320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college stu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 VMD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VMD 관련 중요 변인들의 영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VMD 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VMD 인지와 VMD 태도 형성시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 브랜드 태도, 지각된 품질의 배경변인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즉, 순수한 VMD에 의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VMD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인들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VMD 지각에 의한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로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 브랜드 태도, 지각된 품질변인을 선정하여 VMD 인지, VMD 태도와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VMD 태도를 브랜드 태도의 정의와 관련하여 개념적으로 매장의 VMD 요소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감정적 호감도로 정의하고자 한다. 추호정(1998)은 의류점포내 구매환경(최소요구, 판매원자질, 쇼핑편의성, 제품의 다양성)과 감정적 반응이 고객의 점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에서 고객이 점포내 구매환경에 의해 점포에 대한 호감도를 형성하게 된다면 이러한 일시적 태도의 형성이 재방문의도나 재구매의도와 같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 본 연구는 마케팅 전략적 측면에서 브랜드나 제품과의 관련성을 고려한 실제적인 VMD 전략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측정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기존에 소비자에게 형성되어 있는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 브랜드 태도, 지각된 품질이 매시즌 전략적 투자를 통해 보여지는 VMD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지금까지 VMD에 관련된 연구들이 VMD를 브랜드와 매장환경이라는 카테고리안에서 VMD에 관한 부분을 측정하여 다루는데서 일어날 수 있는 오류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되었다. 가상의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VMD 효과에 관한 부분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현실에 존재하는 브랜드나 브랜드 확장을 도모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경우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브랜드 사전지식, 사전 브랜드 태도, 지각된 품질이 매시즌 마다 새롭게 보여지는 VMD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지금까지 기존 연구에서 간과해온 VMD 효과를 측정하는데서 일어날 수 있는 오류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로 시도되었으며, 이는 VMD의 효과 측정을 위한 학문적 체계를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패션 브랜드의 VMD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 사전 브랜드 태도나 지 각된 품질과 같은 관련변인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캐주얼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사전 브랜드 태도나 지각된 품질이 유사한 브랜드를 대상으로 VMD 인지나 태도에서의 차이를 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브랜드에 대한 주관적 지식수준을 브랜드의 사전지식으로 정의하고 브랜드에 대한 친숙성, 느낌과 경험, 지식정도 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VMD 인지정보를 처리하여 VMD 태도를 형성하는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한 지식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태도를 신념(인지)에 영향을 받는 감정적 차원으로 보는 단일차원견해(이학식 외, 2004)에 따라 사전 브랜드 태도를 브랜드에 대해 기존에 형성되어있는 감정적인 호감도로 정의하고 사전 브랜드 태도가 패션 브랜드별 VMD 인지속성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품질을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로 정의하고 지각된 품질이 VMD 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경자 . 김은정 (1995) 의복구매시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서 디스플레이의 역할. 복식, 25, 171-181. 

  2. 김정민.김순자 (2004) VMD 방안으로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활 용에 관한 연구 -POP 광고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2(4), 648-662. 

  3. 박유식 . 한명회 (2001) 인터넷 쇼핑몰에서 위험지각과 품질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16(1), 59-84 

  4. 박현희 . 전중옥 (2004) VMD 구성요소의 패션 브랜드 태도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28(2), 224-234 

  5. 박찬욱 (2001) 제품 지식이 적은 소비자의 원산지 정보 및 광고모텔 정보 활용전략 : 정보처리 동기와 제품 유형의 조절적 역할을 중 심으로. 마케팅연구, 16(2), 49-68 

  6. 서문식 . 김유경 (2003) 온라인 브랜드 공동체 의식이 브랜드 커뮤니티 동일시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8(2), 49-77 

  7. 손영석 . 이진용 . 채서일 (1996)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과 광고내 용이 확장상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25(3), 1-28. 

  8. 신원혜 ? 유태순 (2004) 패션 브랜드에 따른 상품속성과 브랜드 태도 에 관한 연구,한국생활과학지,13(6), 943-957 

  9. 신혜영 . 홍병숙 (2004) 감성캐주얼 의류 매장의 VMD 매뉴얼 연구, 2004년 한국유통학회 발표논문집, pp.185-207 

  10. 안광호 . 황선진 . 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수학사,서울,p.398 

  11. 이연순 . 박성혜 . 박윤아(1993) 의류매장 종류에 따른 쇼윈도우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 205-211 

  12. 이학식 . 안광호 . 하영원 (2004) '소비자행동'. 법문사,서울,pp.252-256 

  13. 전중옥 . 박현희 (2005) 패션 VMD 인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10(2), 117-139 

  14. 주석출 (1991) 여성들의 백화점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도에 따른 의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추호정 (1998) 의류 점포내 구매 환경 만족도가 고객의 점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홍성태 . 강동균 (1997) 유사성,지각된 품질 및 기업의 신뢰도가 상표확장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12(1), 1-26 

  17. Aaker D.A. and Keller K.L. (1990) Consumer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4(1), 27-41 

  18. Baker J., Levy M. and Grewal D. (1992) An experimental approach to making retail store environmental decisions. Journal of Retailing, 68(4), 445-460 

  19. Bettman J.R. and Sujan M. (1987) Effects of framing on evaluation of comparable and noncomparable alternatives by expert and novice consum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2), 141-154 

  20. Blair M.E. and Innis D.E. (1996) The effects of product knowledge on the evaluation of warranteed brands. Psychology and Marketing, 13(5), 445-457 

  21. Hoch S.J. and Deighton J. (1989) Managing what consumers learn from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53(2), 1-20 

  22. Holbrook M.B. and Cofman K.P. (1985) Quality and Value in the Consumption Experience : Phaldrus Rides Again. in Perceived Quality, eds. J. Jacoby and J.C. Olson, Lexington, Massachusetts: Lexington Books 

  23. Keller K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24. Lea-Greenwood, G. (1998) Visual merchandising: a neglected area in uk fashion marke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26(8), 324-329 

  25. Makenzie S.B. and Lutz R.J.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in the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2), 48-65 

  26. Monroe K.B. and Guiltinan J.P. (1975) A path-analytic exploration of retail patronage influen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 19-28 

  27. Park C.W. (1976)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situation-related factors on consumer selection of judgement model.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3(2), 144-151 

  28. Wood S.L. and Lynch J.G.Jr. (2002) Prior knowledge and complacency in new product learn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9(3), 416-426 

  29. Zeithaml V.A. (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