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초액 처리가 돈분퇴비의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Acid Liquor on the Maturity of Pig Manure Compost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38 no.2, 2005년, pp.101 - 107  

이종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화학과) ,  홍주화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화학과) ,  장기운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화학과) ,  황준영 (한국과학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친환경농자재로 선정된 목초액이 돈분 퇴비화 과정중 이화학성과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그 이용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퇴비더미의 온도는 목초액 PAL-100 처리구에서 약 8일내에 가장 빠르게 $65-70^{\circ}C$ 정도에 도달하였으며, 약30일 이후에는 변화가 안정화되어 약 $28^{\circ}C$를 유지하였다. 반면, 관행구는 초기의 약 $60^{\circ}C$에서 반복적인 뒤집기와 수분조절에 따른 온도의 증감을 보인 후 약 50일 전후에는 안정화 되었다. pH는 발효초기에 PAL-100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나 약 10일내로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7.6을 유지하였고, PAL-300 처리에서는 최종 pH가 7.7이었으며 관행구에서는 약 8.0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모든 처리구에서 총탄소는 감소하였으며, 부피의 감소에 따른 용적밀도를 기준으로 계산된 총질소는 증가하였다. C/N율의 감소는 PAL-100, PAL-300 및 관행구 순서로 컸으며, 최종 퇴비의 C/N율은 PAL-100, PAL-300 및 관행구 각각 24.3, 29.6, 37.0이었다. 또한 퇴비의 부숙도와 안전성 평가는 원형여지크로마토그래피와 식물독성실험으로 조사하였는데, 목초액을 처리한 PAL-100과 PAL-300 처리구가 관행구의 여지보다 테두리에 용액의 전개현상으로 본 부숙의 안정화가 빨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최종퇴비의 GI는 PAL-100 처리구가 관행구보다 약 20%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퇴비의 부숙도가 더욱 안정화 되어 식물의 생육에 저해를 주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목초액을 약 100-300배로 희석하여 퇴비더미를 교반할 때 약 3회 정도 살포해 주면 퇴비 내 미생물의 증식을 도모하여 퇴비의 부숙 촉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yroligneous acid liquor (PAL) on the maturity of pig manure compost, PAL was treated to the compost piles. The treatments included applications of 100 and 300 times diluted PAL in addition to the control. The compost piles were stirred in three times at the 1st, 10t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목초액을 처리하였을 때 퇴비화 과정 중 이화학성의 변화와 부숙도 평가지표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 및 조사하여 퇴비에 대한 목초액의 부숙 촉진효과를 구명할 뿐만 아니라 유기 폐자원인 목초액의 활용방안 확대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ardenas, R. R., and L. K. Wang. 1980. Composting process. p. 269-327. In Handbook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II. The Human press, New York, USA 

  2. Chang, K. W., I. B. Lee, J. S. Lim, and H. T. Lim. 1996. Evaluation of phytotoxicity of food waste during composting. J. Korean Soc. Soil Sci. Fert. 29:312-320 

  3. Epstein, E. 1997. The science of composting. Technomic Publishing Co., Lancaster, PA, USA 

  4. Garcia, C., T. Hernandez, and F. Costa. 1991. Study on water extract of sewage sludge composts. Soil Sci. Plant Nutr. 37:409-417 

  5. Huh K. S., E. D. Jeong, and U. H. Paek. 1999. A study on odor removal of landfill site leachate by pyroligneous liquid. J. Korean Env. Sci. Soc. 8:607-610 

  6. Hertelendy, K. 1974. Paper chromatography, a quick method to determine the degree of maturity of humification. IRCWD NEWS. No.7, Nov. 1-3. WHO, Geneva, Switzerland 

  7. Ichikawa, T., and Y. Ota. 1982. Plant growth-regulating activity of pyroligneous acid. I. Effect of pyroligneous acid on the growth of rice seedling. Jpn. J. Crop Sci. 51:14-17 

  8. Jimenez, E. I., and V. P. Garcia. 1989. Evaluation of city refuse compost maturity. Biol. Waste. 27: 115-142 

  9. Kim, Y. H., S. K. Kim, and Y. H. Lee. 2001. Composition on constituents of commercial wood vinegar liquor in korea.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4:262-268 

  10. KT&G. 1999. Carbonization device development of rice hull heating by exhaust gas from fused magnesium phosphate furnace and utilization of neutralized charcoal for seedling bed media. p. 75-96. KT&G, Daejeon, Korea 

  11. Lee, S. J., and K. Y. Huh. 2002. The Effect of pyroligneous acid on turfgrass growth. J.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30:95-104 

  12. Morel, J. L., E Colin, J. C. Germon, P. Godin, and C. Juste. 1985.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the maturity of municipal refuse compost. p. 56-72. In J. K. R. Gasser (ed.) Composting of agricultural and other wastes.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New York, NY, USA 

  13. Mun, S. P., and C. S. Ku. 2002.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bamboo and wood crude vinegars by the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method. Mokchae Engin. 30:80-86 

  14. Park, H. J., and S. W. Im. 2000. Characterization of the natural chemicals from pyroligneous acids inhibiting urea hydrolysis and nitrificatio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5. Yatagai, M., and G. Unrinin. 1987. By-products of wood carbonization. III. Germination and growth acceleration effects of wood vinegars on plant seeds. Mokuzai Gakkaishi 33:521-529 

  16. Zucconi, F, A. Pera, M. Forte, and M. de Bertoldi. 1981. Evaluating toxicity of immature compost. Biocycle 22:54-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