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환경 정화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hytofiltration System on the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5 no.4, 2005년, pp.3 - 8  

송정은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방승기 (경민대학 실용건축과) ,  김용식 (인천대학교 건축공학과) ,  손장열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Phytofiltration system on the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a full-scale mock up model to examin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air by plants. Seven species of plants, which were recommended by NASA,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는 실내에 식물을 설치한 후에 식물의 종류, 식재량과 식재배치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여 실내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농도저감 효과를 파악한 결과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 식물을 설치하였을 경우, 실내 오염물질의 저감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식물에 의한 실내공기 정화효과에 대하여 1차, 2차 실험으로 나누어 실험실에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에 식물을 설치한 후에 식물의 종류, 식재량과 식재배치에 따른 실험을 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실내에서 식물 7종의 공기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실험한 결과, Toluene의 경우에는 벤자민고무나무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Formaldehyde의 경우에는 벤자민고무나무,아글라오네마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 외의 VOCs 개별물질을 측정한 결과 Toluene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들의 농도저감 효과도 있었으나, 그 양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효과가 좋은 종으로 판단된 아글라오네마를 공간부피의 10%, 5%, 3%로 식재량을 변화시키면서 실험한 결과, 식재량이 많을수록 농도저감량은 크게 나타났다. 특히 10%식재의 경우, 5%와 3%보다 3~5배 이상으로 저감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3) 식재배치에 따른 실험결과는 양지배치가 가장 효과가 좋았고, 산재배치와 음지배치는 비슷하거나 산재배치가 약간더 효과가 좋았다.
건축의 실내는 어떻게 여겨지는가? 건축의 실내는 실외 환경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여긴다. 그러나 실내공기는 실내의 건축자재와 가구, 카펫 등 합성제품에 의해 실외공기보다 오염되어 있다.
실내 공기오염을 줄이는 일반적인 방안은? 그러나 실내공기는 실내의 건축자재와 가구, 카펫 등 합성제품에 의해 실외공기보다 오염되어 있다. 실내 공기오염을 줄이는 일반적인 방안으로 환기를 위한 공기조절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여러가지 방법에 의한 오염물질 제어가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NASA, The Importance of Plants in Space, 2004 

  2. NASA, NASA Research Enhances Benefits of Plant Experiment, 2004 

  3. 송정은, 한승원, 김용식, 손장열,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환경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제25권 제1호, 2005 

  4. S.M.Owen, P.Harley, A.Guenther, C.N.Hewitt, Light depende ncy of VOC emissions from selected Mediterranean plant s pecies, ATMOSPHERIC ENVIRONMENT, 2002 

  5. J.J.Cornejo, F.G.Munoz, C.Y.Ma, A.J.Stewart, Studies on the Decontamonation of Air by Plants, Ecotoxicology, 1999 

  6. B.C.Wolverton, Interior Landscape Plants for Indoor air Pollution.Abatement. NASA Report,1989 

  7. 이진희, 실내조경과 건강,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 6권 6호,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