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갑골 측방향 촬영에서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기 위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atient rotation angle to get the scapular true lateral image in scapular lateral projection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28 no.3, 2005년, pp.203 - 209  

박기봉 (전남대학교병원 진단방사선과) ,  강인희 (전남대학교병원 진단방사선과) ,  최남길 (전남대학교병원 진단방사선과) ,  장영일 (광양보건대학 방사선과) ,  전주섭 (전남대학교병원 진단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견갑골의 골절 유 무와 외상에 의한 탈구를 진단하는데 있어 견갑골의 정측면상의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측방향 촬영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회전 각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견갑골의 촬영을 위해 내원한 환자 30명(여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35.4세(15세부터 66세)였다. 수동각도기의 거상각도를 $32^{\circ}$, $37^{\circ}$, $42^{\circ}$로 하여 전 후방향 촬영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전문가 5명이 내측연과 외측연의 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4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불완전 겹침이 있는 영상은 3점, 견갑골체 내측연과 외측연이 겹침이 없는 영상은 2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사방향으로 나타난 영상은 1점으로 4단계로 나누어 blind test를 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평가한 각도별 평균점수는 $32^{\circ}$$1.53{\pm}0.39$점, $37^{\circ}$$3.83{\pm}0.15$점, $42^{\circ}$$2.17{\pm}0.43$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슴둘레가 100 cm이상인 군과 100 cm이하인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p<0.05) 없었고, 남자와 여자 간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고찰 : 지금까지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는데 적합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측을 $37^{\circ}$회전하며 검사측 상완골을 반대쪽으로 들며 촬영하는 것이 한국인 성인에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견갑골의 측방향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rue lateral scapular image was very important to diagnosis the scapular fracture and dislocation induced by traumatic inju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patient rotation angle to be showing the scapular true lateral in Korean. Subjects and Materials Thirty patients(22men, 8 w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 촬영법 모두 정확한 회전각도에 관한 언급은 없고, 다만 견갑익이 필름면에 수직이 되게 구간부(trunk)의 회전 정도를 조정하라고만 권고되고 있다. 연구에서 다년간의 임상의 경험을 통해 견갑골 측방향의 촬영 각도를 32°, 37°, 42° 로 정하여 촬영 후 견갑골의 내측연과 외측연의 겹침의 정도를 의료영상전송시스템(Pkr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PACS)상에서 비교 •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가적으로 가슴둘레가 큰 환자와 가슴 둘레가 적은 환자 군에 차이가 있는지, 남자와 여자 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해서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1) 내측연과 외측연의 겹쳐져야 한다.
  • 2) 견갑골체는 늑골의 위에 겹쳐지면 안 된다.
  • 3) 상완골이 주요 관심부위와 겹쳐서는 안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