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지역사회 주민의 일반적 특성 및 체질량 지수에 따른 보건소 영양사업 요구도 평가 Needs Assessment of Nutrition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dy Mass Index of Community Residents원문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eeds for nutrition programs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dy mass index (BMI) of community residents. Inform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including age, education, income, marital status, res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eeds for nutrition programs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dy mass index (BMI) of community residents. Inform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including age, education, income, marital status, residence, and job, and resident's interest in nutrition programs, the preferred educational methods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nutrition programs were collected by an interview. W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and were used to calculate the BMI. The program that resident's were most interested in was 'diet therapy for chronic disease and counseling' ($28.5\%$), followed by 'nutritional management for the elderly' ($21.1\%$), and 'obesity and weight control' ($17.1\%$). 'Education and counseling by nutrition professionals' was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Among the programs that the subjects would participate in, if they were offered in public health centers, $65.8\%$ subjects would participate in 'diet therapy for chronic disease and counseling' programs, $64.9\%$ would participate in 'nutritional management for the elderly' programs and $52.2\%$ would participate in 'obesity and weight control' programs. The contents of programs that the subjects were interested in, the preferred methods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nutrition programs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incom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body mass index. The results imply that the planning of nutrition interventions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must be tailored and targeted group specific by taki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dy mass index into consideration. This would surely increase the nutrition program's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eeds for nutrition programs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dy mass index (BMI) of community residents. Inform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including age, education, income, marital status, residence, and job, and resident's interest in nutrition programs, the preferred educational methods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nutrition programs were collected by an interview. W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and were used to calculate the BMI. The program that resident's were most interested in was 'diet therapy for chronic disease and counseling' ($28.5\%$), followed by 'nutritional management for the elderly' ($21.1\%$), and 'obesity and weight control' ($17.1\%$). 'Education and counseling by nutrition professionals' was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Among the programs that the subjects would participate in, if they were offered in public health centers, $65.8\%$ subjects would participate in 'diet therapy for chronic disease and counseling' programs, $64.9\%$ would participate in 'nutritional management for the elderly' programs and $52.2\%$ would participate in 'obesity and weight control' programs. The contents of programs that the subjects were interested in, the preferred methods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nutrition programs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incom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body mass index. The results imply that the planning of nutrition interventions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must be tailored and targeted group specific by taki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dy mass index into consideration. This would surely increase the nutrition program's effectivenes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1개 중도시의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체질량 지수에 따른 보건소 영양사업 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요구에 부응 한 효과적인 보건소 영양사업을 계획하기 위한 자료를 마 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영양사업의 요구도는 전 문적인 판단에 근거한 요구 (need) 와 대상자의 자각에 의한 요구(want)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요구도가 적극적으로 반영이 되면 영양사업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Owen 등 1999).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자각에 의한 요구를 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과 체질량지수에 따라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 연령, 직업, 교육수주 결혼상태, 거 주지역, 체질량지수 등이 성별대상자의 분포가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모든 분석은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보건소에서 '영양식 및 식단 짜기', 비만 및 체중조절', '성 인병에 대한 상담 및 식이요법' , '이유식 및 편식교정' , '식 품오염 및 신선식품' , '건강조리 및 시식' , '노년기 영양관 리' , '건강보조식품'과 같은 영양사업이 실시된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이 '참가 하겠다' 고 응답한 프로그램은 '가장 관심이 많다' 고 응답하 였던 '성인병 및 식이요법'이 66.
본 연구는 효과적인 보건소 영양사업을 계획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주민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보건소 영양사업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연령, 소득수준, 결혼 상태, 교육수준, 체질량지수에 따라 관심 있는 영양사업의 종류, 영양사업의 방법, 참가의사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 방법
설문조사는 대상자의 성, 연령, 직업, 교육수준, 가계소득 등의 일반적 특성과 보건소 영양사업 요구도 등에 대한 문 항을 포함하였고, 면접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직업은 전문직 행정직, 사무직, 판매직등의 '비육체노동군', 농업, 생산직, 군인 등의 '육체 노동군, 주부, 학생 등의 '기타군 으로 구 분하였고,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이하군' 과 '고등학교 이 상군'으로 구분하였다.
결혼상태는 현재 배우자가 있는 경우 기혼', '사별', 그리고 미혼 별거, 이혼 등의 '기타'로 구분하였고, 가구 평균 소득수준은 '월 50만원 이하군', '월 50~150만원군', 그리고 '150만원 이상인 군' 으로 나누었 다. 신장과 체중은 소수점 1자리까지 측정하였고 체질량 지 수(Body Mass Index: kg/rrF) 을 산출하여 18.5 kg/m2 미만인 경우를 '저체중', 18.5-24.9 kg/nf 인 대상자를, 정 상 체중군', 그리고 25.0 kg/n?이상인 대상자를 '체중과다 군'으로분류하였다.
보건소의 영양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에서는 보건 소에서 보건영양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선호하는 영양프 로그램의 종류, 선호하는 방법, 그리고 참여의사에 대해 면 접 조사하였다. 보건소 영양프로그램의 종류와 방법은 기존 보건소 영양사업의 종류와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하였고, 프로그램의 종류는 '영양식 및 식단짜기', '비만 및 체중조 절' , '성인병에 대한 상담 및 식이요법' , '이유식 및 편식 교정', '식품오염 및 신선식품', '건강조리 및 시식', '노년 기 영양관리,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영양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선호하는 방법으로는 '전화상담', '영 양전문가 교육 및 상담', '게시판이용', '책, 인쇄물 이용 , 방 송' , '인터넷이용' 등을 포함하였다.
보건소의 영양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에서는 보건 소에서 보건영양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선호하는 영양프 로그램의 종류, 선호하는 방법, 그리고 참여의사에 대해 면 접 조사하였다. 보건소 영양프로그램의 종류와 방법은 기존 보건소 영양사업의 종류와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하였고, 프로그램의 종류는 '영양식 및 식단짜기', '비만 및 체중조 절' , '성인병에 대한 상담 및 식이요법' , '이유식 및 편식 교정', '식품오염 및 신선식품', '건강조리 및 시식', '노년 기 영양관리,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영양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선호하는 방법으로는 '전화상담', '영 양전문가 교육 및 상담', '게시판이용', '책, 인쇄물 이용 , 방 송' , '인터넷이용'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자각에 의한 요구를 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과 체질량지수에 따라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 연령, 직업, 교육수주 결혼상태, 거 주지역, 체질량지수 등이 성별대상자의 분포가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모든 분석은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보건소에서 영양 사업을 할 경우 '영양식 및 식단 짜 기', '비만 및 체중 조절', '성인병에 대한 상담 및 식이요 법' , 이유식 및 편식교정' , '식품오염 및 신선식품' , '건강 조리 및 시식', '노년기 영양관리', '건강 보조 식품' 중에서 가장 관심 있는 영양 사업에 대해 질문하였고, 응답률이 낮은 '이유식 및 편식교정', '식품오염 및 신선식품 , '건강조 리 및 시식', '건강 보조 식품' 의 항목은 기타로 분류하여 분 석하였다(Table 2). 남자대상자는 연령, 소득수준, 체질량 지수에 따라 여자대상자는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소득 수준, 체질량지수에 따라 영양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보건소에서 영양사업을 진행할 때 가장 선호하는 방법에 대해 '전화상담' , '영양전문가 교육 및 상담' , '게시판이 용' , 책 인쇄물 이용' , 방송' , '인터넷이용' 등을 예로 들 어 선택하도록 하였고, 응답률이 낮은 '게시판이용', '방 송' , '인터넷이용'는 묶어서 '기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 다(Table 3). 보건소에서 영양상담 업무를 진행할 경우 '전 문가 교육 및 상담' 을 선호한다는 대상자가 64.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 춘천시의 10개 면의 39, 214 명과 15개동지역의 212, 777명을 합한 251, 990명 중에서 협조가 원활한 4개면과 2개동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해당 지역 거주자 중에서 30세 이상의 남자와 여자 성인에게 조 사의 내용에 대해 홍보하였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주민 1, 0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신체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를 모두 완료한 대상자 1, 007명의 결과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대상자 1, 007명은 춘천시 30 세 이상 전체 주민의 0.
해당 지역 거주자 중에서 30세 이상의 남자와 여자 성인에게 조 사의 내용에 대해 홍보하였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주민 1, 0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신체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를 모두 완료한 대상자 1, 007명의 결과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대상자 1, 007명은 춘천시 30 세 이상 전체 주민의 0.7%이다.
본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는 1, 007명으로 남자는 293명(29.0%)이었고, 여자는 714명(71.0%)으로, 전체 춘천시 민의 남 . 여 비율이 약 49.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역주민 중에서 30세 이상만이 참 여할 수 있도록 하였고, 참여한 조사대상자의 성별 . 연령 별 분포를 보면 '65세 이상' 인 대상자의 비율이 남자는 41.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 춘천시의 10개 면의 39, 214 명과 15개동지역의 212, 777명을 합한 251, 990명 중에서 협조가 원활한 4개면과 2개동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해당 지역 거주자 중에서 30세 이상의 남자와 여자 성인에게 조 사의 내용에 대해 홍보하였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주민 1, 0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신체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를 모두 완료한 대상자 1, 007명의 결과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데이터처리
01, SAS Institute, Cary, NC)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분포나 비율을 zetest를 이용하여 독립성 을 검정하였다.
성능/효과
질병과 사망양상의 변화 및 사회 . 문화적 변화에 부응하 여, 정부의 보건정책과 사업의 목적이 의료이용수준향상에서 건강수준향상으로, 정책과 사업의 주 대상이 전염병 예 방에서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을 통한 만성퇴행성질환과 각종 사고의 예방으로, 정책과 사업의 방법론은 질병 진료 체계에서 건강 증진체계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1995 년 '건강증진법'이 제정 공포되고, 1996년에는 보건소법 이 지역보건법으로 개정 발표되어 건강증진 사업의 법적인 기초가 마련되었다.
2%나 되었다. 또한 본 조사 대상자의 약 45.5%나 되는 대상자 가 '월 평균 소득이 51만원 이하' 라는 것으로 보아 매우 경제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김 등(2001)이 연구한 보건소 이용대상자의 특성에서도 '월 소득 50만원 미만' 인 대상자가 44.
05). 체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체 질량 지수가 18.5이하인 경우를 '저체중', 18.5~25.0인 경우를 '정상체중', 25.0 이상인 경우를 '비만', 그리고 30.0 이상인 경우를 '고도비만' 으로 판정하였을 때, '저체중'인 대상자가 전체 대상자의 1.29%, '정상체중' 46.77%, '비 만 43.10%, '고도비만' 8.84%로 비만으로 분류되는 대상 자가 51.89%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자의 경우 '비 만' 으로 판정된 대상자의 비율이 43.
89%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자의 경우 '비 만' 으로 판정된 대상자의 비율이 43.8%, '고도 비만' 인 대상자의 비율이 10.8%로 남자의 '비만 41.3%, '고도비 만 4.1%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1998년 국민건 강 .
보건소에서 영양 사업을 할 경우 '영양식 및 식단 짜 기', '비만 및 체중 조절', '성인병에 대한 상담 및 식이요 법' , 이유식 및 편식교정' , '식품오염 및 신선식품' , '건강 조리 및 시식', '노년기 영양관리', '건강 보조 식품' 중에서 가장 관심 있는 영양 사업에 대해 질문하였고, 응답률이 낮은 '이유식 및 편식교정', '식품오염 및 신선식품 , '건강조 리 및 시식', '건강 보조 식품' 의 항목은 기타로 분류하여 분 석하였다(Table 2). 남자대상자는 연령, 소득수준, 체질량 지수에 따라 여자대상자는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소득 수준, 체질량지수에 따라 영양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장 등(Jang & Kim 2000)의 연구에서 주민의 보건사업 요구도는 성별, 연령별, 가족구성별, 교육수준별로 차이가 있다는 보고와 유사한 것이다.
보건소에서 영양사업을 진행할 때 가장 선호하는 방법에 대해 '전화상담' , '영양전문가 교육 및 상담' , '게시판이 용' , 책 인쇄물 이용' , 방송' , '인터넷이용' 등을 예로 들 어 선택하도록 하였고, 응답률이 낮은 '게시판이용', '방 송' , '인터넷이용'는 묶어서 '기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 다(Table 3). 보건소에서 영양상담 업무를 진행할 경우 '전 문가 교육 및 상담' 을 선호한다는 대상자가 64.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전화상담' 13.9%, '책 또는 인쇄물'10.6%로 조사되었고, '인터넷 이용'을 희망하는 대상자는 2.7%였다(Fig. 2). 성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면지역의 경우 69.
8%보다 높았다. 또한 '사별' 한 대상자의 70.8%가 '영양전문가 교육 및 상담방법'을 선호하여 '기 혼' (62.3%)이나 '기타' (59.3%)보다 높았고,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영양전문가 교육 및 상담방법' 에 대한 선호비율이 높았다. 여자대상자는 거주지역이나 체질량 지수에 따라서는 선호하는 방법에 차이가 없었다.
우리나라는 보건소 영양사업 방법으로 영양교육 및 상담 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이 방법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ye & Shin 2000; Kim 등 2001). 한편 본 연구결과 '전 화상담' 에 대한 선호도가 남자 대상자(16.8%)와 여자대 상자(12.7%) 모두에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 본 보건소에서는 개별지도, 집단지도, 방문지도, 감독관리, 훈련지도, 영양조사 등으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미 국에서도 Food Stamp, WIC (special supplemental food program for women, infant, and children), 학교점심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식량보조 프로그램이 주 정부의 보건 기관과 연방정부의 협조로 진행되고 있으며 성공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일본 보건소 영양사업 업무일람표 1996, Boyle & Morris 1994).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참가를 희망하는 프로그램의 종류가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으며, 남자 대상자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여자대상자는 연령, 소득수준 결혼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체질량 지수에 따른 차이는 남자와 여자 대상자 모두 비만한 대상자들이 '비만 및 체중조절' 에 대한 참가 의사가 높았다. 이 결과는 보건소 영양사업은 대상자의 일 반적 특성과 비만과 같은 영양위험도를 고려하는 것이 필 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보건소 영양사업을 계획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주민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보건소 영양사업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연령, 소득수준, 결혼 상태, 교육수준, 체질량지수에 따라 관심 있는 영양사업의 종류, 영양사업의 방법, 참가의사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건소 영양사업은 지역사회주민의 일반적 특성과 체질량지수 등을 고려하여 계획하는 것이 효과가 높 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함께 영양평가를 통한 영양위험 군의 선별과 건강검진을 통한 질병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영 양사업의 계획 및 실행에 반영한다면 영양사업의 효과를 크게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대상자의 결혼상태에 대한 결과를 보면 성별 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자의 경우에는 '기 혼 이 83.
후속연구
본 연구는 표본해당 지역의 30세 이상 전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하는 대상자만을 선 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므로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대상 자의 특성과 비교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대상자의 연령, 소득수준, 결혼 상태, 교육수준, 체질량지수에 따라 관심 있는 영양사업의 종류, 영양사업의 방법, 참가의사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건소 영양사업은 지역사회주민의 일반적 특성과 체질량지수 등을 고려하여 계획하는 것이 효과가 높 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함께 영양평가를 통한 영양위험 군의 선별과 건강검진을 통한 질병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영 양사업의 계획 및 실행에 반영한다면 영양사업의 효과를 크게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8)
Boyle MA, Morris DH (1994): Community nutrition in action, pp-345-527, West Publishing Company, St. Paul, MN
Chuncheon city (2003): www.chuncheon.go.kr: entered Aug 31, 2004
Diabetes Prevention Program Research Group (2002):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with lifestyle intervention or metformin. N Engl J Med 346: 393-403
Jang KJ, Kim Y (2000): Comparison of priorities in health center nutrition service needs between provider and consumer.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3): 529-536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2003):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Geneva
Kaufman M (1990): Nutrition in public health, pp3-62, ASPEN publication, Maryland
Kim H, Park H, Lee SK, Lee KH (2001) : A study of efficient delivery of health center based nutrition program through linkage with social welfare centers, Report of Health promotion fund
Kim NS, Moon OR, Kang JH, Lee SY, Jeong BG, Lee SJ, Yoon TH, Hwang KH (2001): Increasing prevalence of obesity related disease for Koreans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Korean J Prev Med 34 (4): 309-315
Kim Y, Jang K, Kim MK (2001): Determinants of nutrition service utilization in health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1): 91-96
Koo MJ, Kwon JW, Kim SM, Kim HY, Pae KA, So HS, Lee JY, Lim JH Chun DS, Chung YA, Shin EK, Park SK, Kang D, Chung MH, Cho SI (2002):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a rural population. Korean J Public Health 39 (1): 45-51
Kye SH, Shin AJ (2000): A Survey of the model nutrition survices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2S): 343-35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Results of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rat T, Riboli E (2001): Meat Consumption and Colorectal Cancer: A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Nutrition Reviews 59 (2) : 37-47
Owen AL, Splett PL, Owen GM (1999): Nutrition in the community pp375-403, Mc Graw-Hill, Boston
Son SM, Kim MJ (2001):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arm for various chronic disease in elderly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4): 668-677
US DHHS. The Surgeon General's report on nutrition and health.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199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