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일부 취약계층 노인에서 맞춤형 영양중재 프로그램에 따른 식품안정성 확보 및 건강·영양상태 개선 효과
The effects of a personaliz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on food security,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older adults in Seoul cit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4, 2020년, pp.416 - 430  

이예연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나래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민정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창희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랑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일부 취약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영양교육과 보충식품으로 구성된 영양꾸러미를 제공하여 식품안정성 확보와 건강·영양 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일부 자치구 내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65세 이상 노인 372명이었다. 맞춤형 영양중재 프로그램은 맞춤 영양교육과 보충식품 제공인 2가지 요소로 구성되었고, 영양중재는 약 4개월간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효과평가를 위해서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식품안정성, 빈혈 여부, 간이영양평가도구 (MNA)를 활용한 영양불량 여부, 만성 질환관리 수준, 허약 여부가 조사되었다. 영양중재 프로그램 참여 이후, 대상자의 모든 영양소 섭취량이 프로그램 참여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권장섭취기준 대비 50%에 미치지 못했던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는 프로그램 참여 이후 50%를 넘게 섭취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이전 모든 대상자가 식품불안정 상태였으나 프로그램 참여 이후 37.1%가 식품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영양 상태에서는 불량과 위험은 감소하였고, 정상이 0%에서 29.8%로 증가하였으며, 빈혈에서는 정상이 18.7%에서 28.5%로 증가하였다. 또한, 질환관리 수준에서는 정기 및 집중관리 수준의 대상자 비율은 감소하였고, 자기역량 관리 수준이 0%에서 4.6% 증가하였으며, 허약 상태에서는 허약 및 허약 위험 비율은 감소한 반면, 정상 비율이 0%에서 9.7%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분석하였을 때, 80세 이상의 고령인 노인일수록 특히 만성질환수준의 관리와 허약 수준에 대한 개선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자는 질환을 갖고 있는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자로 경제적으로나 건강상태로나 매우 취약한 대상자로서 이들의 질환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유지하거나 개선시키는 부분은 매우 중요하며, 본 연구는 대상자들의 질환 관리 및 영양상태 개선을 위하여 질환별 보충식품의 제공 및 영양교육 등의 전문적인 관리를 통해서 영양 상태 향상뿐만 아니라 질환 개선까지의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a personalized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on food security and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in the city of Seoul. Methods: A total of 372 elderly adults aged 65 years or above who resided in Seoul were enrolled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일부 자치구의 취약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영양꾸러미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자의 거동 여부, 조리 가능 여부, 만성질환에 따른 식사 관리 여부 등에 따라 맞춤형 영양교육과 보충 식품을 주기적으로 제공하여 프로그램 전·후의 식품안정성, 영양소 섭취상태, 빈혈 여부, 영양불량 수준, 만성질환 관리 수준 및 허약 수준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연령별로 분석하였을 때, 80세 이상의 고령인 노인일수록 특히 만성질환수준의 관리와 허약 수준에 대한 개선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자는 질환을 갖고 있는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자로 경제적으로나 건강상태로나 매우 취약한 대상자로서 이들의 질환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유지하거나 개선시키는 부분은 매우 중요하며, 본 연구는 대상자들의 질환 관리 및 영양상태 개선을 위하여 질환별 보충식품의 제공 및 영양교육 등의 전문적인 관리를 통해서 영양 상태 향상뿐만 아니라 질환 개선까지의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 본 연구는 서울시 일부 지역 취약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거동 및 조리 가능 여부, 질환에 따른 식사 관리 여부에 따른 맞춤형 영양교육과 보충 식품 제공으로 구성된 영양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식품안정성 확보와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롯하여 영양불량 수준 및 빈혈 여부, 만성질환 관리 수준과 허약 수준과 같은 건강·영양 상태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또한, 허약한 노인의 경우 고령인 노인에서 사회적 및 정서적 상호작용이 저하되어 허약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어 [40] 이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이 추후 설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질환을 고려한 맞춤형 영양중재에 프로그램이 초고령층 (80세 이상)보다는 건강 및 영양상태가 악화되기 이전의 80세 미만의 고령층 대상자에게 적용될 경우 개선 효과가 더 높을 가능성을 보여주어 향후 지역사회 기반의 영양중재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대상자의 연령 시기를 고려해서 수행하는 것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일부 취약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영양교육과 보충식품으로 구성된 영양꾸러미를 제공하여 식품안정성 확보와 건강·영양 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대상자의 거동 여부, 조리 가능 여부, 질환에 따른 식사 관리 필요 여부에 따라 대상자를 분류하고, 분류된 군에 따라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내용과 횟수를 달리하였다. 이와 더불어 2주에 1회씩 맞춤형 보충 식품을 대상자의 거동 능력, 조리 능력, 만성질환에 따른 식사 관리 필요 여부에 따라 신선식품 또는 간편 편의식품의 형태로 구성된 보충 식품이 대상자의 가정으로 제공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불량이 초래하는 것은 무엇인가? 9%를 차지하며, 2012년 이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 영양불량은 이와 같은 취약계층 노인에게서 빈번하게 일어나며, 신체기능에 영향을 미쳐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4]. 우리나라 전체 노인 중 89.
2017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전체 일반 수급자 중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은 어떠한가? 우리나라 노인 인구의 특징으로는 높은 빈곤율이 있다. 2017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전체 일반 수급자 중 65세 이상 노인은 28.9%를 차지하며, 2012년 이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 영양불량은 이와 같은 취약계층 노인에게서 빈번하게 일어나며, 신체기능에 영향을 미쳐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4].
맞춤 영양교육은 어떤 형태로 나뉘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맞춤 영양교육은 방문 영양상담, 조리 영양교육, 집합 영양교육인 세 가지 형태로 제공되었다. 방문 영양상담은 대상자의 조리 능력과 무관하게 거동에 제한 (스스로 장 보기에 어려움) 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해당 자치구 보건소의 임상 영양사가 직접 대상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개인의 건강, 만성질환, 식생활 상태 및 환경을 고려한 식사 선택, 조리법, 정보를 제공하였다. 조리 영양교육은 대상자 중 거동이 가능하며, 조리기술 부족으로 스스로 식생활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과 거동이 가능하며 스스로 조리가 가능하나 질환으로 인한 엄격한 식사 관리가 필요한 노인을 대상으로 조리 영양교육을 제공하였다. 20명 이내의 소그룹으로 조리 영양 교육을 제공하였으며, 거주지의 주민 센터, 노인정 등을 거점으로 소그룹 집합교육과 체험·조리 실습 교육을 실시하였다. 집합 영양교육은 대상자 중 거동이 가능하고 조리 능력이 있으며, 질환으로 인한 엄격한 식사 관리가 불필요하여 식사 관리 위험도가 낮은 대상자를 포함하였다. 임상영양사는 이들 대상으로 강의식 집합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거주지 보건소를 거점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강의식 집합교육을 실시하였다. 집합 영양교육과 조리 영양교육은 시범 사업 기간을 고려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한 2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각 자치구의 상황에 맞게 회차를 조절하여 운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7-2067)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May 28 [cited 2019 Dec 1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6/index.board?bmoderead&aSeq373873 

  2. Statistics Korea. 2018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Sep 27 [cited 2019 Dec 1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0779. 

  3. Kim JG. The impact of family type on health behavior of elderly people. J Welf Aged 2011; 51: 35-56. 

  4. Donini LM, Scardella P, Piombo L, Neri B, Asprino R, Proietti AR, et al. Malnutrition in elderly: social and economic determinants. J Nutr Health Aging 2013; 17(1): 9-15. 

  5. Abellan van Kan G, Rolland Y, Bergman H, Morley JE, Kritchevsky SB, Vellas B. The I.A.N.A task force on frailty assessment of older people in clinical practice. J Nutr Health Aging 2008; 12(1): 29-37. 

  6. Oh YH. The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s and policy considerations. Health Welf Policy Forum 2015; 223: 29-39. 

  7. Lee Y. Evidence-based prevention of frailty in older adults. J Korean Geriatr Soc 2015; 19(3): 121-129. 

  8. Kim CO, Kim MJ. Conceptual defini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frailty. Korean J Fam Pract 2011; 1: 85-93. 

  9. Han EH, Chung SD. Prevalence of and factors associated with food insecurity among the mid and old age householders by age group in South Korea. Korean J Gerontol Soc Welf 2018; 73(2): 141-170. 

  10. Yang YJ.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 adults depending on household food security: based on the 2008-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1): 30-40. 

  11. Kim K, Kim MK, Shin YJ.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food security.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 41(6): 387-396. 

  12. Han KS, Yang EJ. Evaluation of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intake of Korean elderly: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8; 28(4): 258-271. 

  13. Walsh JR. Hematologic disorders in the elderly. West J Med 1981; 135(6): 446-454. 

  14. Yang IS, Chae IS, Lee HY, Park MK. Evaluation of home - delivered meals service program for home - bound elderly with low income class. J Korean Diet Assoc 2000; 6(2): 57-70. 

  15. Kim KR, Kim MK, Shin YJ.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its characteristics in Korea. Health Soc Welf Rev 2009; 29(2): 268-292. 

  16. Choe JS, Baeg HY. Seasonal variation of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in adults in longevity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4): 668-678. 

  17. Han KH, Choi MS, Park JS. Nutritional risk and its related factors evaluated b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elderly who are meal service participants. Korean J Nutr 2004; 37(8): 675-687. 

  18. Yang EJ, Bang HM.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2008; 41(1): 65-76. 

  19. Lee KE. Development of tailored nutritional management model for vulnerable older adults.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7. 

  20. Vellas B, Guigoz Y, Garry PJ, Nourhashemi F, Bennahum D, Lauque S, et al.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and its use in grading the nutritional state of elderly patients. Nutrition 1999; 15(2): 116-122.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Global Prevalence of Anaemia in 2011.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cited 2019 Dec 12].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177094/1/9789241564960_eng.pdf.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7 Health Promotion Program Guideline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Jan 11 [cited 2019 Dec 12].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gm/sgm06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20503&page1&CONT_SEQ293366. 

  23. Lee IS. Development of practical guidelines for visiting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promote health of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1. 

  2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Internet].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Jan 11 [cited 2019 Dec 12].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25. Kwon SO, Oh SY. Associations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measure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low income elderly. Korean J Nutr 2007; 40(8): 762-768. 

  26. Kim HY, Kim MH, Hong SG, Hwang SJ, Park MH.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health risk factors, blood health status in elderly Korean women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216-223. 

  27. Lee I, Jeong IS. Frailty leve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mong participants of a tailored home visiting service. J Korean Geriatr Soc 2012; 16(2): 74-83. 

  28. Park E, Yu M. Frail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vulnerable elderly population by age groups. J Korean Acad Nurs 2016; 46(6): 848-857. 

  29. Choi YJ, Kim C, Park YS.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physical health,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oul. Korean J Nutr 2007; 40(3): 270-280. 

  30. Park HJ, Lim BK, Kim WY. Effect of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 for low income elderly people. Korean J Food Cult 2007; 22(1): 149-156. 

  31. Chu SK, Kang NE, Lee SH. The effects of nutrition evaluation related to suitable food supply program for elders living alone in Sung Nam city. Korean J Food Nutr 2007; 20(4): 467-475. 

  32. Do HJ, Lee YM. A study on customiz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design and application for the low-income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716-729. 

  33. Kim BH, Yang JS, Kye SH, Lee YN.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on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city. Korean J Food Nutr 2014; 27(3): 495-506. 

  34. Bae JS, Kim MH, Kim SB.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sonalized lunch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t senior welfare center in Jeonju.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1): 65-76. 

  35. Kim YJ, Jang SN. The study for improvement of frailty and depression in the health vulnerable elderly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Ann Geriatr Med Res 2016; 20(2): 85-93. 

  36. Lee YH. Evidence-based prevention of frailty in older adults. J Korean Geriatr Soc 2015; 19(3): 121-129. 

  37. Sternberg SA, Wershof Schwartz A, Karunananthan S, Bergman H, Mark Clarfield A. The identification of frailt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 Am Geriatr Soc 2011; 59(11): 2129-2138. 

  38. Chung YH, Cho YH.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 2014; 40(1): 55-64. 

  39. Christ MA.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gerontologic nursing, 2nd ed. Tokyo: HBJ; 1994. 

  40. Whitson HE, Purser JL, Cohen HJ. Frailty thy name is ... phrailty?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7; 62(7): 728-7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