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피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Citrus unshiu Markovich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1 = no.85, 2005년, pp.40 - 46  

배지현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효은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희정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청피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청피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r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ia, Shigella sonnei) 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청피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taphylococcus auren와 Pseudomonas aeruginosa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백화사설초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cillus cereus 및 Shigella sonnei의 배양액에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온 각각 5,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Bacillus ce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higella sonnei의 생육도 12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Citrus unshiu Markovich extra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First, the Citrus unshiu Markovich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t room temperature, and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Citrus unshiu Markovich was ca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음료와 약재에 관한 청피의 활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식품 보존과 관련된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의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피 추출물이 각종 식중독 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청피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청피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이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주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r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 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청피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ames GC, Sherman J. 1987. Chemotheraperapeutic agent in microbiology, Alaboratory manual chemical agents of control, 2nd ed. pp. 247-254.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2. McSwane D, Rue N, Linton R. 2000. Essential of food safety and sanitation, 2nd ed., pp.305-306.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3. Yook CS. 1989.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pp.256-257. Academic Publishing Co. Seoul, Korea 

  4. Park JH. 2002. The Encyclopedia of chinese crude drugs. pp.770-772. Shinill. Seoul, Korea 

  5. Cha WS, Kim CK, Kim JS. 2002.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beverages using Citrus reticulata, Ostrea gigas. Kor. J. Biotechnol. Bioengineering 15(7):503-507 

  6. Cho HM, Son KH, Jeong JS, Seo HW. 1995.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traditional herbal drugs on 5 -Hydroxytryptamine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t brainstem neurons. Kor. J. Pharmacognosy. 26(4):349-354 

  7. Eun JS, Yum JY. 1998. Effect of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nd Aurantii immaturi Pericarpium on immunocytes in mice. Kor. J. Pharmacognosy. 29(3): 173-178 

  8. Karapinar M. 1990. Inhibitiory effects of anethole and eugenol on the growth and 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parasiticus.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 10: 193-200 

  9. Kang SK. 1995. Isol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microbial substance obtained from leaf mustard(Brassica juncea). Kor. J. Food Sci. Technol. 24(5):697-698 

  10. Han YS, Kim SI.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J. Kor. Food. Cookery Sci. 13(1): 56-63 

  11. Hong ND, Noh YS, Kim NJ, Kim JS. 1990. Original articles ; A Study on efficacy of Ulmi Cortex, Kor. J. Pharmacognosy. 21(3): 217-223 

  12. Kim CS, Jung SK, Oh YK, Kim RY.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reen tea against putrefactive microorganism in steamed bread. J. Food. Sci. Nutr. 32(3):413-417 

  13. Park SI, Nam ES, Lee HE.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 J. Food. Nutr. 16(1): 29-34 

  14. Kim MS, Sin DH, Han JS. 1997.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fractionates against food-bom bacteria. Kor, J. Food Sci. Technol. 29(4):808-8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