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50 정밀추적 성능 향상을 위한 세로축 제어법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ngitudinal Control Law in order to Improvement of T-50 Fine Tracking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3 no.8, 2005년, pp.50 - 55  

김종섭 (한국항공우주산업) ,  황병문 (한국항공우주산업) ,  고기옥 (한국항공우주산업) ,  배명환 (경상대학교 항공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의 고성능 전투기는 공력성능 및 조종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대부분 세로축 방향으로 항공기를 불안정하게 설계하는 정안정성 완화(Relaxed Static Stability) 개념을 채택하고 있다. 비행제어법칙의 설계 작업은 이러한 불안정하게 설계된 항공기가 주어진 비행임무에 대하여 만족스런 안정성과 조종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비행성능을 조작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전투기의 조종성능은 공대공 전투(Air-to-Air Fighting)와 공대지 전투(Air-to-Ground Fighting)로 분류할 수 있다. 공대공 전투 시에는 전체포착(Gross Acquisition) 및 정밀추적(Fine Tracking)성능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T-50 비행시험 결과, 공대공 추적에서 전체포착성능은 만족하지만, 정밀추적성능은 만족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정밀추적성능의 향상을 위해 새로운 개념의 세로축 제어법칙 적용에 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HQS 조종사 시뮬레이션 및 비행시험 결과, 본 제어법칙을 적용하였을 때 전체포착성능의 저하 없이 정밀추적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dvanced method of Relaxed Static Stability (RSS) is utilized for improving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modern version supersonic jet fighter aircraft. The laws of flight control system utilize RSS criteria in both longitudinal and lateral-directional axes to achieve performance enhancem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4] 그러나 유인 항공기(Piloted Air- craft)의 조종성능을 해석적으로 정확히 예측하는 설계 요구조건의 정립은 조종사의 조종부하(Pilot Workload)가 주어진 비행임무, 비행 시의 외부환 경 및 조종사의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발전된 비행제어계통은 조종사에게 비행임무에 따라 다양하게 최적의 비행제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이다. 이러한 제어법칙의 적용으로 현대의 전투기는 공대공 및 공대지 전투에서 조종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 5로 하여 스케줄링을 적용했을 때 정밀 추적성능이 개선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350knots@20Kz UA형상에 대한 비행시험 자료를 제시하였다.
  • 는 문제점을 비행시험 조종사가 제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세로축 제어법칙 적용에 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며, ATLAS (Aircraft Trim, Linear and Simulation)를 이용한 비선형 해석, HQS 조종사 시뮬레이션 및 비행시험을 통해 제어법칙의 적절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Neal, T. P. and Smith, R. E, 'An Inflight Investigation to Develop System Design Criteria for Fighter Airplanes', Air Force Flight Dynamics laboratory, WPAFB, Ohio, AFFDL TR-70-74, 1970 

  2. Cooper, G. E. and Harper, R. P., 'The Use of Pilot Rating in the Evaluation of Aircraft Handling Qualities', NASA TN-D 5153, 1969 

  3. Anderson, M. R. and Schmidt, D. T., 'Closed-Loop Pilot Vehicle Analysis of the Approach and Landing Task', Journal of Guidance and Control, Vol. 10, No.2, pp. 187 - 194, 1987 

  4. McRuer, D. T. and Schmidt, D. T., 'Pilot-Vehicle analysis of Multi-Axis Tasks' , Journal of Guidance and Control, Vol. 13, No.2, pp. 348 - 355,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