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사망률 예측
Mortality Forecasting for Population Projection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29 no.2, 2006년, pp.27 - 51  

김태헌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래인구추계방법으로 코호트 요인법(cohort component method)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래출생, 사망, 이동을 정확하게 예측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망률예측방법을 검토하고, 다양한 모델 중에서 과거의 사망률 추세에 수학적 곡선을 적합시켜서 외삽 연장하는 대표적인 관계적 모형인 Lee-Carter법을 선택하여 우리나라의 성, 연령별 장래사망률을 추정하였다. 성, 연령별 생명표와 평균수명의 추세를 검토하고 기존 자료와 비교한 결과 lee-Carter 모형을 우리나라 사망력 예측에 적용하였을 경우 설명력이 매우 높았다. 실측자료와 lee-Carter 모형을 이용한 추정자료를 비교한 결과 남녀 모든 연령층에서 전 비교기간(1971-2003) 동안 모두 차이가 크지 않았다. Lee-Carter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장래 평균수명은 2051년에 남여 각각 82.73년과 89.41년으로 그 차이는 2005년의 7.06년에서 6.68년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우리나라 영아사망률자료의 제약으로 일본의 2050년 추계자료를 우리의 2051년 목표치로 사용하였다. 앞으로 충분한 시계열자료가 확보되면 우리나라의 자료를 직접 이용하여 장래예측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성, 연령별 사망원인을 극복한다는 가정을 도입할 수 있다면 장래 사망률 예측에 설명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통계의 정확성과 사망원인별 생명표의 시계열 확보가 이루어질 때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I have tested various kinds of methods for mortality projection and chose Lee-Carter method for projection of Korean mortality by age and sex. I reviewed the trends of life tables and life expectancies by age and sex from 2005 to 2050 projected by Lee-Carter method and found that the ...

주제어

참고문헌 (24)

  1. 권태환. 김태헌 (1990) ,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 김동회 (2006) '장래인구추계' 및 '장래인구추계-한국', , (미발간) 통계청. 한국인구학회 

  3. 김태헌 (2006) '연령별 사망유형' , (미발간) 통계청. 한국인구학회 

  4. 박유성 외 (2005) '사망률 예측을 위한 모형 비교' , 18(3): 636-654 

  5. 전광. 김태헌. 조영태 (2005) , 통계청. 한국인구학회 

  6. 통계청 (2005a) , 통계청 

  7. 통계청 (2005b) '장래연구특별추계결과' 보도자료 

  8. 한영자 외 (2002)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보건부 

  9. 高橋重? 외 (2002) '일본의 장래인구추계' , 58(1): 78-84 

  10. 小松隆一 (2002) '관계모형에 따른 일본의 장래생명표 작성의 시도' , 58(3): 3-14 

  11. 國立社會保障人口問題?究所 (2002) 일본의 장래인구추계, 2001-2050 

  12. Anderson, Robert N. (1999) 'Method for construction complete annual U.S. life tables', Vital and Health Statistics, Series 2. Data evaluation and methods research; No. 129.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13. Brass, W. (1974) 'Mortality models and their uses in demography', Transactoins of the Faculty of Actuarie, 33: 123-132 

  14. Coale, A. and P. Demeny (1966) Regional Model Life Tables and Stable Popula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Coale, A. and P. Demeny (1983) Regional Model Life Tables and Stable Population, 2nd ed. New York: Academic Press 

  16. Horiuch, Shiro (2003) 'Mortality, age pattern of' (eds.) P. Demeny & G. McNicoll, Encyclopedia of Population, pp. 649-654, New York: Macmillan Reference 

  17. Kim, T. H. (1990) Mortality Transition in Korea, 1960-1980, The Population and Development Studies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8. Lee, Ronald D. and Lawrence R. Carter (1992) 'Modeling and forecasting U.S. Mortality.'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7: 659-671 

  19. Lee, Ronald D. and Timothy Miller (2001) 'Evaluation the performance of the Lee-Carter method for forecasting mortality' Demography 38 (4): 537-549 

  20. National Institute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Research (NIPSSR) (2002) Population Projections for Japan: 2001-2050 

  21. United Nations (1982) Model Life Tables for Developing Countries, Population Studies, No. 77, New York: United Nations 

  22. United Nations (2002)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2 Revision 

  23. US Census Bureau (2002) 'Methodology and assumption for the population projections of the United States: 1999-2100' Population Division Working Paper, No. 38 

  24. van de Kaa, Dirk J. (2003)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eds.) P. Demeny & G. McNicoll, Encyclopedia of Population, pp. 872-875, New York: Macmillan Refer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