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균수명을 이용한 사망률 예측모형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for Mortality Forecasting Models by Average Life Expectancy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4 no.1, 2011년, pp.115 - 125  

정승환 (고려대학교 경제통계학과) ,  김기환 (고려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망률 예측모형과 생명표 작성방법에 기반을 둔 예측평균수명 작성은 미래의 사망수준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2006년 통계청에서 장래인구추계 작성 시 예측평균수명을 작성하였으나, 2006년 이후 현재까지 실제평균수명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평균수명의 증가속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의 원인으로는 전망치에 대한판단, 사망률 예측모형의 선택과 사용 등이 이유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망률 예측모형의 선택관점에서 이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2011년 장래인구추계 작성을 앞둔 상황에서 오류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는 사망률 예측모형에 대한 특성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진 후 적절한 모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사망률 예측모형은 주로 사용되고 있는 LC(Lee와 Carter) 모형과 이의 개선모형들, 사망확률 확장모형인 HP8(Heligman과 Pollard 8 parameters) 모형 등 모두 5개의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5개의 모형별로 2030까지의 남녀별 예측평균수명을 작성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예측평균수명과 비교하였다. 5개의 모형에 의해 작성된 2030년까지의 새로운 예측평균수명은 통계청의 결과보다 높게 나타나 실제평균수명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use of a mortality forecasting model and a life table, forecasting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s an effective way to evaluate the future mortality level.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values of average life expectancy at present and the forecasted values of average life expectancy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예측평균수명을 구하기 위한 핵심은 연령별사망률 예측을 위해 어떤 예측모형을 어떻게 적용하였는가가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망률 예측모형의 비교가 주요 목적이므로 비교의 기준으로 통계청에서 2006년 장래추계인구 작성 시 사용하였던 모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6년 장래인구추계 보고서’에 기술된 연령별 사망률예측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논문에서는 예측평균수명 작성 시 사망률예측모형의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LC 모형을 비롯한 총 5개의 모형을 비교하였고, 우리나라 사망률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2010∼2030년 남녀별 평균수명을 예측하였다.

가설 설정

  • 2) 0세 및 1–4세 경우는 Lee-Carter 방법 적용 시 너무 급격하게 감소하여 2050년 일본의 사망확률로 수렴할 것으로 가정.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망자료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은 어떤 문제점을 대처 하기 위한 것인가? 사망자료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은 가까운 장래에 도래할 사회적·경제적 문제점들에 대처 하기 위한 정책수립에 중요한 바탕이 되므로 매우 중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의 고령화 속도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상황 파악과 예측에 근거한 정책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평균수명이란? 평균수명이란 연령별 사망률(연령별 사망자수/해당인구)을 이용하여 작성한 생명표(life table)의 0세기대여명을 말하고, 예측평균수명이란 연령별 사망률의 예측값을 이용하여 작성한 생명표의 0세 기대여명을 말한다. 따라서 예측평균수명을 구하기 위한 핵심은 연령별사망률 예측을 위해 어떤 예측모형을 어떻게 적용하였는가가 될 것이다.
연령별 사망률예측에 관한 내용은 어떠한가? 1) Lee-Carter 모형에 의해 추정한 후 보간법을 이용하여 연도별 사망확률 추정. 2) 0세 및 1–4세 경우는 Lee-Carter 방법 적용 시 너무 급격하게 감소하여 2050년 일본의 사망확률로 수렴할 것으로 가정. 3) 75세 이상은 기초자료 부족으로 Brass Logit 방법을 적용.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2. 권태환, 김태헌 (1990). , 서울대학교 출판부. 

  3. 김기환, 이동희, 정승환 (2006). 간이생명표 확장기법을 통한 사망확률 추정, , 8, 959?969. 

  4. 김기환, 정승환 (2006). 우리나라 생명표의 연령구간 확장 및 기대여명 예측, , 8, 1723?1733. 

  5. 박유성, 김기환, 이동희, 이연경 (2005). 사망률 예측을 위한 모형 비교, , 18, 639?654. 

  6. 통계청 (2006). 장래인구추계. 

  7. Booth, H., Hyndman, R. J., Tickle, L. and De Jong, P. (2006). Lee-Carter mortality forecasting: A multicountry comparison of variants and extensions, Demographic Research, 15, 289-310. 

  8. Booth, H., Maindonald, J. and Smith, L. (2002). Applying Lee-Carter under conditions of variable mortality decline, Population Studies, 56, 325-336. 

  9. Booth, H., Tickle, L. and Smith, L. (2005). Evaluation of the variants of the Lee-Carter method of forecasting mortality: A multi-country comparison, New Zealand Population Review, 31, 13-34. 

  10. Brass, W. (1971). On the Scale of Mortality, Biological Aspects of Demography, Taylor and Francis, London. 

  11. Heligman, L. and Pollard, J. H. (1980). The Age pattern of mortality, Journal of the Institute of Actuaries, 107, 49-77. 

  12. Hyndman, R. J., Booth, H., Tickle, L. and Maindonald, J. (2008). Demography: Forecasting Mortality and Fertility Data, R package version 0.995. 

  13. Hyndman, R. J. and Ullah, M. S. (2007). Robust forecasting of mortality and fertility rate: A functional data approach,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51, 4942?4956. 

  14. Kostaki, A. (1991). The Helignman- Pollard Formula as a tool for expanding an abridged life table, Journal of Official Statistics, 7, 311?323. 

  15. Kostaki, A. and Panousis, V. (2001). Expanding an abridged life table, Demographic Research, 5, 1-22. 

  16. Lee, R. D. and Carter, L. R. (1992). Modeling and forecasting the time series of U.S. mort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7, 659-671. 

  17. Lee, R. D. and Miller, T. (2001).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ee-Carter method for forecasting mortality, Demography, 38, 537-549. 

  18. United Nations (1982). Model Life Tables for Developing Countries, United Nations publi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