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릅나무과 식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 흰쥐의 혈장과 간조직 중의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aliaceae on Lipid Levels of Plasma and Liver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9, 2006년, pp.1172 - 1177  

신경희 (경북북삼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두릅나무과 식물이 당뇨를 유발한 흰쥐의 지질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두릅, 오가피, 느릅의 열수추출물(11.42 g raw araliaceae/kg diet)을 급여한 후 streptozotocin(55 mg/kg B.W.)을 1회 복강주사하여 7주간 사육하였다. STZ 투여로 식이섭취량은 증가된 반면 체중은 감소되었는데 두릅, 오가피 및 느릅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체중증가량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은 반면 식이섭취량은 억제되었다. 식이효율실험식이 중 오가피 열수추출물이 당뇨로 인한 다식증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혈장과 간조직 중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당뇨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실험식이 급여시 모든 군에서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당뇨로 인해 감소된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두릅나무과 식물 급여시 회복됨으로써 당뇨로 인한 지질대사 이상을 완화시키는데 이들 열수추출물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aliaceae water extracts on lipid concentrations in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rats. The Male Wistar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diabetic group. The diabetic group was futher sub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DM) and the Arali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두릅나무과 식물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뇨와 지질대사 개선 효과에 관한 과학적인 실험결과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제 1형 당뇨동물을 대상으로 두릅나무과 식물의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구명하여 두릅나무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Values are mean ± SD (n=8).
  • 2)Values are mean ± SD (n=8).
  • 3)Means within a column with same superscript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group (p<0.05).
  • 4)Means within a column with same superscript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group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Jain SK. 1989. Hyperglycemia can cause membrane lipid peroxidation and osmotic flaglility in human red blood cell. J Biol Chem 264: 21340-21345 

  2. Goldberg RB. 1981. Lipid disorders in diabetes. Diabetes Care 4: 561-572 

  3. West KM, Ahuja MM, Bennet PH. 1983. The role of circulating glucose and triglyceride and their interaction with other risk factors as determinations of arterial disease in nine diabetic population samples from the WHO multinational study. Diabetes Care 6: 361-369 

  4. Choi YG, Lee TH. 1995. Diabetes mellitus and hyperlipidemia. Medical Publisher, Seoul. p 111-134 

  5. 김윤숙, 전진호, 박정현, 강창일. 2000. 당뇨병 환자들의 대체의학 경험실태와 관련요인. 당뇨병 24: 78-89 

  6. 김경래. 1994. 당뇨병 민간요법의 실태. 당뇨병 18(부록 1). 61-64 

  7. 허준. 1989. 동의보감(東醫寶鑑). 남산당, 서울. p 446-506 

  8. 이성우. 1981. 한국식경대전(韓國食經大典). 향문사, 서울. p 401-410 

  9. 推田桂太. 1957. 資源植物(事典). 北隆館, 東京, 日本. p 429- 435 

  10. 江濠新學院編. 1978. 中藥大事典. 上海科學技術出版社, 上海, 中國. Vol 12, p 77-80 

  11. 신배구. 1978. 신씨본초학총론. 서문사, 서울. p 277-280 

  12. 문화방송편저. 1987. 한국민간요법대전. 금박출판사, 서울. p 57-65 

  13.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1977.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 J Nutr 107: 1340-1348 

  14. Rakieten N, Gordon BS, Cooney DA, Davis RD, Schein PS. 1968. Renal tumorgenic action of streptozotocin (NSC- 85998) in rats. Cancer Chemother Rep 52: 563-567 

  15. Muller PH. 1977. A fully enzymatic triglyceride determination. J Clin Chem Clin Biochem 15: 457-464 

  16. Richmond V. 1976.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continuous flow analysis. Clin Chem 22: 1579-1588 

  17. Katterman R. 1984. Rapid determination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Clin Chem Clin Biochem 22: 245-249 

  18. Eng LF, Noble EP. 1957. The maturation of rat brain myelin. Lipid 3: 157-162 

  19. Folch J, Mee L, Stanley GSH. 1975.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0. Preston AM. 1991. Diabetic parameters 58 weeks after in jection with streptozotocin in rats fed basal diets or diets supplemented with fiber, mineral and vitamins. Nutr Res 11: 895-906 

  21. Brooks DP, Nutting DF, Crofton JL, Share L. 1989. Vasopressin in rats genetic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Diabetes 38: 54-60 

  22. Ghosh R, Mukherjee B, Chatterijee M. 1994. A novel effect of selenium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Diabetes Res 25: 165-171 

  23. Yoshikawa M, Murakami T, Harada E, Murakami N, Yamikara J, Matsuda H. 1996. Bioactivity saponins and glycosides. Ⅶ. On the hypoglycemic principles from the root cortex of Aralia elata Seem.: structure related hypoglycemic activity of oleanolic acid oligoglycoside. Chem Pharm Bull (Tokyo) 44: 1923-1927 

  24. Todorov IN, Sizova ST, Kosagonova NY, Mitrokhin IN, German AV, Mitrofanova MA. 1984. Pharmacokinetics and mechanism of action of glycosides of eleutherococci. Effects of extract on the metabolism and biosynthesis of protein in several organs and tissues of rats. Khim Farm Zh 18: 529-533 

  25. Socher M, Kunjara S, Baquer NZ, Mclean P. 1991. Regulation of glucose metabolism in livers and kidneys of NOD mice. Diabetes 40: 1467-1471 

  26. Han HK, Lim SJ. 1998. Effects of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 of Commelina communis on blood glucose levels energy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Soc Food Sci 14: 577-583 

  27. Goldstein JL, Brown MS. 1997. The low-density lipoprotein pathway and its relations to atherosclerosis. Annu Rev Biochem 46: 897-930 

  28. Goodman A, Goodman LS, Gilman A. 1975.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6th ed.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p 1615-1620 

  29. Mardar Z. 1983. Effect of brown rice and soybean fiber on the control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Am J Nutr 38: 388-393 

  30. Niall MG, Rosaleen AM, Daphne O, Patrick BC, Alan HJ, Gerald HT. 1990. Cholesterol metabolism in alloxan- induced diabetic rabbits. Diabetes 9: 626-631 

  31. Kang BH, Son HY, Ha CS, Lee HS, Song SW. 1995. Reference value of h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in Ktc: Spraque-Dawley rats. Korean J Lab Anim Sci 11: 141-145 

  32. Lijnen P, Fenyvesi A. 1994. Transmembrane cationic fluxes in erythrocytes of diabetics and normal men. Methods Find Exp Clin Phrmacol 16: 37-47 

  33. Gordon T, Casfelli WP, Hjortland MC, Kennel WB, Dawher TR. 1977. High density lipoprotein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coronary heart diseases. The Feamingham study. Am J Med 62: 707-714 

  34. 대한당뇨병학회. 1982. 당뇨병학. 고려의학 

  35. Reitman S, Frankel S. 1963.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6-61 

  36. Wronski TJ, Cintron M, Dann LM. 1988.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bone loss and increased bone turnover in ovariectomized rats. Calcif Tissue Int 43: 179-183 

  37. Sarataho EP, Nyyssonen K, Salonen JT. 1996. Increased oxidative resistance of atherogenic plasma lipoproteins at high vitamin E levels in non-vitamin E supplemented men. Atherosclerosis 124: 83-94 

  38. Taskinen MR, Kuusi T, Helve E, Nikkila EA, Yki-Jarvinen H. 1988. Insulin therapy induce antiatherogenic changes of serum lipoproteins in non insulin-dependent diabetes. Atherosclerosis 8: 168-177 

  39. Rosenstock JG, Vega GL, Raskin P. 1988. Effect of intensive diabetes treatment on low-density lipoprotein apolipoprotein B kinetics in type diabetes. Diabetes 37: 393-397 

  40. Cho YO, Lee MS. 1998. Job's tears ameliorated the lipid profile of diabetic rats. Kor J Nutr 31: 386-392 

  41. Nikkila EA, Kekki M. 1973. Plasma triglyceride transport kinetics in diabetes mellitus. Metabolism 22: 1-22 

  42. Samochowiec L. 1983. Pharmacological study of the saponosides from Aralia mandshurica Rupr. et maxim. and Calendula officinalis L. Herba Pol 29: [CA:100:19242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