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수집한 쑥들에 대한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여 유효 약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우량계통을 선발한 후 대량 재배하였고, 한방건강식품으로 쑥차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쑥차의 우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차들을 구입하여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는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수집 선발한 쑥 AC60, AC67, AC77을 원료로 하여 만든 차들과 시판 차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들을 분석한 결과 AC67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9.6 mg/100 mL로 가장 높았다. 선발 쑥차들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선발 쑥 중에서는 AC67가 PH 1.2에서 92.5%로 가장 높았고, 시판 차들 중에는 쟈스민이 98.1%, 감잎차가 96.4%, 녹차가 98.5%, 작설차가 98.7%로 매우 높은 값들을 보여 주었다. SOD 유사 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선발 쑥을 원료로 하는 차들에서는 AC67가 91.7%, AC77이 93.7%로 높았고, 시판 차들에서는 설록차가 92.1%, 루이보스티가 93.8%로 높게 나왔다. 이 결과는 선발 쑥 AC60, AC67, AC77 등은 시판 중인 설록차, 자스민, 작설차, 녹차, 루이보스티 및 페퍼민트차 등과 같은 수준의 고급차의 제조에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국에서 수집한 쑥들에 대한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여 유효 약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우량계통을 선발한 후 대량 재배하였고, 한방건강식품으로 쑥차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쑥차의 우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차들을 구입하여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는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수집 선발한 쑥 AC60, AC67, AC77을 원료로 하여 만든 차들과 시판 차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들을 분석한 결과 AC67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9.6 mg/100 mL로 가장 높았다. 선발 쑥차들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선발 쑥 중에서는 AC67가 PH 1.2에서 92.5%로 가장 높았고, 시판 차들 중에는 쟈스민이 98.1%, 감잎차가 96.4%, 녹차가 98.5%, 작설차가 98.7%로 매우 높은 값들을 보여 주었다. SOD 유사 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선발 쑥을 원료로 하는 차들에서는 AC67가 91.7%, AC77이 93.7%로 높았고, 시판 차들에서는 설록차가 92.1%, 루이보스티가 93.8%로 높게 나왔다. 이 결과는 선발 쑥 AC60, AC67, AC77 등은 시판 중인 설록차, 자스민, 작설차, 녹차, 루이보스티 및 페퍼민트차 등과 같은 수준의 고급차의 제조에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Artemisia spp. collections, AC60, AC67, and AC77, that showed the high levels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had good growth characters and productivity, were cultivated for mass production. Using selected excellent ones, AC60, AC67, and AC77, after mass production, mugwort teas were made through rub...
Artemisia spp. collections, AC60, AC67, and AC77, that showed the high levels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had good growth characters and productivity, were cultivated for mass production. Using selected excellent ones, AC60, AC67, and AC77, after mass production, mugwort teas were made through rubbing and drying processes.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in mugwort teas and commercial teas were compare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was the highest in AC67 with 109.6 mg/100 ml.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AC67 tea was relatively high with 92.5% at pH 1.2 and Jasmine (98.1%), Persimmon Leaf Tea (96.4%), Green tea (98.5%), and Jakseolcha (98.7%) were very high as well. In SOD-like activity, mugwort teas, AC67 (91.7%) and AC77 (93.7%), were high as well as those of Seolrokcha (92.1%) and Rooibos Tea (93.8%). This suggests that AC60, AC67, and AC77 could be used fur making high quality teas as well as Seolrokcha, Jasmine, Green tea, Jakseolcha, Rooibos Tea, Peppermint Herb Tea.
Artemisia spp. collections, AC60, AC67, and AC77, that showed the high levels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had good growth characters and productivity, were cultivated for mass production. Using selected excellent ones, AC60, AC67, and AC77, after mass production, mugwort teas were made through rubbing and drying processes.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in mugwort teas and commercial teas were compare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was the highest in AC67 with 109.6 mg/100 ml.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AC67 tea was relatively high with 92.5% at pH 1.2 and Jasmine (98.1%), Persimmon Leaf Tea (96.4%), Green tea (98.5%), and Jakseolcha (98.7%) were very high as well. In SOD-like activity, mugwort teas, AC67 (91.7%) and AC77 (93.7%), were high as well as those of Seolrokcha (92.1%) and Rooibos Tea (93.8%). This suggests that AC60, AC67, and AC77 could be used fur making high quality teas as well as Seolrokcha, Jasmine, Green tea, Jakseolcha, Rooibos Tea, Peppermint Herb Te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전국에서 수집한 쑥들에 대한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여 유효 약용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우량계통을 선발한 후 대량 재배하였고, 한방건강식품으로 쑥차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쑥차의 우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차들을 구입하여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는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개발하였다. 개발된 쑥차의 우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차들을 구입하여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는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다양한 생육 환경에서 자라온 쑥들을 수집하여 유전형과 표현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Park et al., 2005), 우량 계통을 선발한 후 대량 재배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한방건강식품으로 쑥차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쑥차의 우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차들을 구입하여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 2005), 우량 계통을 선발한 후 대량 재배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한방건강식품으로 쑥차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쑥차의 우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차들을 구입하여 항산화력과 항산화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검량 선을 작성하기 위해 표준물질(Gallic acid)을 증류수로 희석 후 농도별로 희석하였다. 각각 시험관에 넣고, 2% Na2CO3, 50% Folin and 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30분간 방치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우선 검량 선을 작성하기 위해 표준물질(Gallic acid)을 증류수로 희석 후 농도별로 희석하였다. 각각 시험관에 넣고, 2% Na2CO3, 50% Folin and 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30분간 방치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위와 동일 방법으로 실시한 다음 O.
각각 시험관에 넣고, 2% Na2CO3, 50% Folin and 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30분간 방치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위와 동일 방법으로 실시한 다음 O. D. 값을 구하고 농도를 계산하여 시료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으로 역산하였다(Slinkard & Singleton, 1977).
아질산염 소거능의 측정방법은 1 mM NaNO2 20 ㎕에 시료의 추출액 40 ㎕와 0.1 N HCl(pH 1.2) 또는 0.2 M citrate buffer(pH 4.2) 또는 0.2 M citrate buffer(pH 6.0)을 140 ㎕ 사용하여 부피를 200 ㎕로 맞추었다. 37°C 항온수조에서 1시간 경과 후 2% acetic acid 1000 fit, Griess 시약 80 ㎕를 가하여 잘 혼합시켜 빛을 차단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37°C 항온수조에서 1시간 경과 후 2% acetic acid 1000 fit, Griess 시약 80 ㎕를 가하여 잘 혼합시켜 빛을 차단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52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아질산염 소거능을 구하였다(Cha et al., 2001).
SOD 유사 활성 측정방법은 시료 추출액 80 ㎕에 Tris- HC1 1200 ㎕와 7.2 mM Pyrogallol 80 ㎕를 가하여 잘 혼합하여 25°C 항온수조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IN HC1 40 ㎕를 가해 반응을 정지시키고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Marklund & Marklund, 1974).
대상 데이터
전국의 산과 들에서 사철쑥, 더위지기, 제비쑥, 넓은잎쑥, 뺑쑥, 쑥, 산쑥, 맑은대쑥, 물쑥 등에 대하여 수집한 쑥들을 충북대학교에 소재하는 농촌진흥청 지정 농업유전자원관리기관에 쑥 유전자원의 계통번호를 AC번호로 등재하였고그 계통들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쑥의 재배는 2004년 3월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실험농장에 120 cm 이랑에 90 cm 간격으로 1주씩 정식하여 재배하였으며, 재배 시 잡초와의 경합(競合)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을 하였다.
쑥의 재배는 2004년 3월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실험농장에 120 cm 이랑에 90 cm 간격으로 1주씩 정식하여 재배하였으며, 재배 시 잡초와의 경합(競合)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을 하였다. 수집한 쑥을 가지고 총폴리페놀 함량, 플라본 함량, EDA(Electron Donating Ability), AEAC(L-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등을 분석하여 우수성이 인정된 계통을 선발한 AC60, AC67, AC77(Choi et al.,2006)을 2005년 3월 별도로 격리하여 대량 재배하였고, 같은 해 단오(음력 5월 5일) 10일 전에 수확하여 쑥차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비비기와 건조 과정을 통해 쑥차를 제조하였고, 일반적으로 차를 우려내어 마시는 방법에 기준하여 2 g씩을 채취하여 70°C의 온수 100 ml에 넣고 3분간 추출하였다. 비교를 위해 구입한 감잎차(Song et al., 2000), 둥글레차(Choi & Kim, 2003), 루이보스티(Hong et al., 1998), 사자발쑥 (Bang et al., 2006), 설록차, 작설차, 녹차(Park et al., 2006; Sung, 2006), 쟈스민(Hwang et al., 2004) 등의 시판 차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건으로 분석용 시료들을 추출하였다.
계통들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쑥의 재배는 2004년 3월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실험농장에 120 cm 이랑에 90 cm 간격으로 1주씩 정식하여 재배하였으며, 재배 시 잡초와의 경합(競合)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을 하였다. 수집한 쑥을 가지고 총폴리페놀 함량, 플라본 함량, EDA(Electron Donating Ability), AEAC(L-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등을 분석하여 우수성이 인정된 계통을 선발한 AC60, AC67, AC77(Choi et al.
이론/모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s 방법에 의해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검량 선을 작성하기 위해 표준물질(Gallic acid)을 증류수로 희석 후 농도별로 희석하였다.
성능/효과
수집 선발한 쑥 AC60, AC67, AC77을 원료로 하여 만든 차들과 시판 차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들을 분석한 결과 AC67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9.6 mg/100 mL로 가장 높았다. 선발 쑥차들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선발 쑥 중에서는 AC67가 pH 1.
7%로 매우 높은 값들을 보여 주었다. SOD 유사 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선발 쑥을 원료로 하는 차들에서는 AC67가 91.7%, AC77이 93.7%로 높았고, 시판 차들에서는 설록차가 92.1%, 루이보스티가 93.8%로 높게 나왔다. 이 결과는 선발 쑥 AC60, AC67, AC77 등은 시판 중인 설록차, 자스민, 작설차, 녹차, 루이보스티 및 페퍼민트차 등과 같은 수준의 고급차의 제조에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8%로 높게 나왔다. 이 결과는 선발 쑥 AC60, AC67, AC77 등은 시판 중인 설록차, 자스민, 작설차, 녹차, 루이보스티 및 페퍼민트차 등과 같은 수준의 고급차의 제조에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1992) 등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집한 쑥을 가지고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본 함량, EDA 및 AEAC 등을 분석하여 우수한 계통을 선발한 쑥 AC60, AC67, AC77을 원료로 하여 만든 차들과 시판 차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들을 분석한 결과 AC67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9.6 mg/100 mL로 가장 높았다. 시판 차들 중에서는 쟈스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80.
선발 쑥 중에서는 AC67가 pH 1.2에서 92.5%로 가장 높았고, 시판 차들 중에는 쟈스민이 98.1%, 감잎차가 96.4%, 녹차가 98.5%, 작설차가 98.7%로 매우 높은 값들을 보여주었다. 아질산염은 그 자체가 지니는 독성 때문에 일정 농도 이싱- 섭취하게 되면 혈중 hemoglobin이 산화되어 meth- emoglobin을 형성하여 hemoglobinia 등과 같은 각종 중독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Peter, 1975) 되었고, 아질산염은 발암 전구물질로 암을 유발하는 물질과 관계가 있으며 보통 강산성에서 활발하게 반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아질산염의 소거능이 높다는 것은 위장 내에서 발암물질의 소거능이 높아 항암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생각해 볼 때 차를 마실 때 건강을 생각한다면 상기 언급한 차들을 마시는 것이 유익하리라 판단된다. 아질산염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각종 중독 증상, 더 나아가 그로 인한 암 발생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6 mg/100 mL로 가장 높았다. 선발 쑥차들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선발 쑥 중에서는 AC67가 pH 1.2에서 92.5%로 가장 높았고, 시판 차들 중에는 쟈스민이 98.1%, 감잎차가 96.4%, 녹차가 98.5%, 작설차가 98.7%로 매우 높은 값들을 보여 주었다. SOD 유사 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선발 쑥을 원료로 하는 차들에서는 AC67가 91.
후속연구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생각해 볼 때 차를 마실 때 건강을 생각한다면 상기 언급한 차들을 마시는 것이 유익하리라 판단된다. 아질산염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각종 중독 증상, 더 나아가 그로 인한 암 발생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생각해 볼 때 건강식품 또는 한방식품의 원료를 확보함에 있어 아무 것이나 무조건 사용할 것이 아니고, 수집 후 약효 성분 함량이 높은 것들을 선발하여 대량 재배한 작물들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같은 쑥이라 하더라도 그 계통에 따라 약효의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은 쑥이라 하더라도 그 계통에 따라 약효의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들이 더욱 더 활성화되어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