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Nakai)즙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3 = no.187, 2006년, pp.342 - 347  

황인국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우관식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태명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대중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양미희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배의 열처리조건에 따른 성분변화 및 항산화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열처리온도(110, 120, 130, 140 및 $150^{\circ}C$)와 열처리 시간(1, 2, 3, 4 및 5시간)을 변수로 처리하고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유리당, 5-HMF 및 EDA(%)의 $IC_{50}$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구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0.233{\pm}0.024\;mg/g$$1.50{\pm}0.20\;{\mu}g/g$이였으며 열처리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150^{\circ}C$, 1시간 처리구에서 $3.342{\pm}0.007\;mg/g$,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150^{\circ}C$, 4시간 처리구에서 $561.49{\pm}16.93\;{\mu}g/g$로 가장 높았다. EDA(%)의 $IC_{50}$값은 대조구에서 $64.58{\pm}0.99\;mg/g$이였고 처리온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IC_{50}$ 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150^{\circ}C$, 2시간 처리구에서 $1.93{\pm}0.01\;mg/g$으로 최저 값을 보였다. 유리당 중 fructose는 $110-140^{\circ}C$, 2시간 처리구까지 변화가 작았지만 $140^{\circ}C$, 3시간 처리구부터 감소하였다. 5-HMF 함량은 대조구에서 $2.04{\pm}0.21\;ppm$이였고 처리온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140^{\circ}C$, 2시간 처리구까지 완만히 증가하다 그 이후 처리구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150^{\circ}C$, 5시간 처리구에서 $5,594.93\;{\pm}6.43\;ppm$으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통계분석결과 처리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fructose, 5-HMF 및 $IC_{50}$값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최적 열처리조건은 fructose 및 5-HMF의 함량변화가 적고, 총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활성이 높은 $130-140^{\circ}C$, 2-3 hr 처리구를 선정하였으며 열처리에 의한 성분변화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배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앞으로 과일 및 채소류 등의 다양한식품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pear juice heat-treated at various temperatures (110, 120, 130, 140, and $150^{\circ}C$) and times (1, 2, 3, 4, and 5 hr) was analyzed to determine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free sugar, and 5-HMF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Total polyphenol, to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능성 물질이나 이들을 함유한 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종 농산물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와 아울러 이들을 이용한 각종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일반 가정에서 열처리하여 착즙해 식음하는 배의 열처리조건에 따른 성분변화 및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고,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최적 열처리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결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 BJ, Lee JT, Gwag JH, Park JM, Lee JY, Son JH, Bae JH, Choe C. Biological activity of polyphenol group fraction from Korean pear pee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92-95 (2004) 

  2. Choi OJ, Park HR, Chough SH. Variation of free sugar and amino acid contents of pears during the ripening period. Korean J. Soc. Food Sci. 14: 250-254 (1998) 

  3. Hong SS, Hong YP, Im BS, Jeong DS, Shin IS. Influence of picking stage and storage type on the fruit respiration change and panel test in 'Wonhwang', 'Hwasan', and 'Mansoo' pear. Korean J. Hort Sci. Technol. 22: 55-62 (2004) 

  4. Choi HJ, Park JH, Han HS, Son JH, Son GM, Bae JH, Choi C.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 from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on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99-304 (2004) 

  5. Zhang YB, Bae MJ, An BJ, Choi HJ, Bae JH, Kim S, Choi C.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 in quality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olyphenol compound during long-ter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5-120 (2003) 

  6. Zhang YB, Choi HS, Han HS, Park JH, Son JH, Bae JH, Seung TS, An BJ, Kim HG, Choi C.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 isolated from korean pear (Pvrus pyrifolia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59-967 (2003) 

  7. Marina C, Maria M. Polyphenoloxidase activity and polyphenol levels in organically and conventional grown peach (Prunus persica L., cv. Reginabianca) and pear (Pyrus communis L., cv. Williams). Food Chem. 72: 419-424 (2001) 

  8. Carlos E, Mercedes M, Ramon V, Jose T, Francisco GC. Monophenolas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from blanquilla pear. Phytochemistry 44: 17-22 (1997) 

  9. Ji LC, Shijie Y, Zuoshan F, Lixia X, Xiao SH. Change in the volatile compounds and physical of Yali pear (Pyrus bertschneideri Reid) during storage. Food Chem. 97: 248-255 (2006) 

  10. Veltman RH, Kho RM, Schaik ACR, Sanders MG, Oosterhaven J. Ascorbic acid and tissue browning in pears (Pyrus communis L. cvs Rocha and Conference) under controlled atmosphere conditions. Postharvest Biol. Technol. 19: 129-137 (2000) 

  11. Veltman RH, Lentheric I, Van der Plas LHW, Peppelenbos HW. Internal browning in pear fruit (Pyrus communis L. cv Conference) may be a result of a limited availability of energy and antioxidants. Postharvest Biol. Technol. 28: 295-302 (2003) 

  12.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006) 

  13. Dewanto V, Wu X, Adorn KK, Liu RH.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2002) 

  14. Dewanto V, Wu X, Liu RH. Processed sweet com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002) 

  15. Jeong SM, Kim SY, Kim DR, Jo SC, Nam KC, Ahn DU, Lee SC.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peels. J. Agric. Food Chem. 52: 3389-3393 (2004) 

  16. Matook SM, Fumio H.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buntan (Citrus grandis Osbeck) fruit tissues. Food Chem. 94: 529-534 (2006) 

  17. Jia Z, Tang M, Wu J.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999) 

  18. Bektas T, Munevver S, Akpulat HA, Atalay S.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six Salvia species from Turkey. Food Chem. 95: 200-204 (2006) 

  19. Bae SK, Lee YC, Kim HW. The browning reaction and inhibition on apple concentrated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3 (2001) 

  20. Lee JH, Koh JA, Hwang EY, Hong SP.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5-Hydroxymethyl-2- furaldehyde from Rehmanniae radix Preparata according to various processings. Korean J. Herbol. 17: 145-149 (2002) 

  21. Tanrven D, Eki I. Phenolic compounds in pear juice from different cultivars. Food Chem. 93: 89-93 (2005) 

  22.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Lee J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003) 

  23. Manzocco L, Calligaris S, Mastrocola D, Nicoli MC, Lerici CR. Review of non-enzymatic browning and antioxidant capacity in processed foods. Trends Food Sci. Technol. 11: 340-346 (2000) 

  24. Nicoli MC, Anese M, Parpinel M. Influence of process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fruit and vegetables. Trends Food Sci. Technol. 10: 94-100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